$\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도서관 불안 측정과 분석: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Library Anxiety Measurement and Analysis of Married Immigrant Women: 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Gwangju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3 no.3 = no.101, 2016년, pp.195 - 217  

장예솔 (광주 사직도서관) ,  김지현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도서관 이용의 어려움을 도서관 불안 척도를 통해 측정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은 광주에 위치한 공공도서관 5곳에서 2015년 12월부터 2016년 3월까지 도서관 불안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37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의 전체 도서관 불안 점수는 5점 척도에서 2.91점으로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개인특성에 따른 도서관 불안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한국어 능력, 남편직업, 이용목적, 방문횟수, 도서관거리, 그리고 모국경험의 차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도서관 불안 완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iculty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 use of library with LAS (Library Anxiety Scale). The data were collected by LAS survey with 137 married immigrant women in five public libraries in Gwangju from December 2015 to March 2016. As the results, married immigrant wom...

주제어

참고문헌 (28)

  1. 권나현 (2004).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도서관불안과 측정도구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2), 29-47. http://dx.doi.org/10.4275/kslis.2004.38.2.029 (Kwon, Na-Hyun (2004). Library anxiety and library anxiety scale in the digital library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2), 29-47. http://dx.doi.org/10.4275/kslis.2004.38.2.029) 

  2. 김영미, 조인숙 (2009). 공공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한 다문화 서비스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3), 47-64. (Kim, Young-Me, & Cho, In-Sook (2009). A study on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through the public library homepag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3), 47-64.) 

  3. 김이선 (2010). 다문화사회의 전개와 다문화 정책의 성격: 문화의제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4(1), 167-192. (Kim, Yi-Seon (2010). Multiculturalization of Korean society and multicultural policy's approach on cultural agenda. Social Science Studies, 34(1), 167-192.) 

  4. 김홍렬 (2010). 지역주민들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461-478. (Kim, Hong-Ryul (2010). A study on the library anxiety of public library user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4), 461-478.) 

  5. 남영준, 김규환, 최성은 (2010). 외국인 유학생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313-332. (Nam, Young-Joon, Kim, Gyu-Hwan, & Choi, Sung-Eun (2010). A research on library anxiety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Concentrated on the CAU library user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4), 313-332.) 

  6. 남태우, 박현영 (2006).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151-168. (Nam, Tae-Woo, & Park, Hyun-Young (2006). A study on library anxiety of domestic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1), 151-168.) 

  7. 노지현 (2012). 한국 도서관계의 다문화서비스 방향 모색: 미국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참고하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5-27. (Rho, Jee-Hyun (2012). Toward the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Korea: With reference to the Americ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5-27.) 

  8. 박주범 (2010).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ark, Joo-Bum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y anxiety scale.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hwa Womans University,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9. 양수연, 차미경 (2011).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311-332. http://dx.doi.org/10.4275/kslis.2011.45.1.311 (Yang, Soo-Youn, & Cha, Mi-Kyeong (2011). A study on the model of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1), 311-332. http://dx.doi.org/10.4275/kslis.2011.45.1.311) 

  10. 오선혜, 이성숙 (2012). 공공도서관 시니어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및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 257-276.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2.23.1.257 (Oh, Sun-Hye, & Lee, Seoung-Suk (2012). A study on the library anxiety and relief strategies for senior user in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1), 257-276.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2.23.1.257) 

  11. 오의경 (2012). 도서관 불안과 성격 유형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2), 199-217. http://dx.doi.org/10.4275/kslis.2012.46.2.199 (Oh, Eui-Kyung (2012). A study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library anxiety and personality trai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2), 199-217. http://dx.doi.org/10.4275/kslis.2012.46.2.199) 

  12. 오해연, 김기영 (2014).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의 주민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2), 125-145.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4.25.2.125 (Oh, Hae-Yeon, & Kim, Gi-Yeong (2014). Perception of local residences on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2), 125-145.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4.25.2.125) 

  13. 이란주 (2002).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2), 183-195. (Lee, Lan-Ju (2002). A study on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3(2), 183-195.) 

  14. 이연옥, 장덕현 (2013). 공공도서관의 이주민서비스 전략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1), 357-384. (Lee, Yeon-Ok, & Chang, Durk-Hyun (2013). Strategies for the services for immigrant population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1), 357-384.) 

  15. 이상노 (2014).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 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Lee, Sang-No (2014). A phenomenological study on adaptation in living in Korea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Venture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Counseling.) 

  16. 이혜원 (2015). 다문화정책 방향 제시 및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337-366. http://dx.doi.org/10.16981/kliss.46.2.201506.337 (Lee, Hye-Won (2015).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planning and modelling of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2), 337-366. http://dx.doi.org/10.16981/kliss.46.2.201506.337) 

  17. 장보성, 김은정, 남영준 (2010).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측정과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 309-327. (Jang, Bo-Seong, Kim, Eun-Jeong, & Nam, Young-Joon (2010).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ibrary anxiety among library handicapped user.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 309-327.) 

  18. 장우권, 박성우, 여진원 (2014).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345-367.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1.345 (Chang, Woo-Kwon, Park, Seong-Woo, & Yeo, Jin-Won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for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1), 345-367.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1.345) 

  19. 정종기 (2014). 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노출경험이 도서관 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1), 271-296. (Jung, Jong-Kee (2014). A study on the impact of library exposure experience to freshmen's academic library anxiety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1), 271-296.) 

  20. 조용완, 이수상 (2011). 국내 다국어/다문화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269-297. (Cho, Yong-Wan, & Lee, Soo-Sang (2011).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269-297.) 

  21. 한윤옥, 조미아, 김수경 (2009). 다문화가정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135-160. http://dx.doi.org/10.4275/kslis.2009.43.1.135 (Han, Yoon-Ok, Cho, Mi-Ah, & Kim, Soo-Kyoung (2009). A study on the current states and proble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1), 135-160. http://dx.doi.org/10.4275/kslis.2009.43.1.135) 

  22. Bostick, S. L. (199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ibrary anxiety scale. Ph.D. dissertation, Wayne State University. 

  23. Jiao, Q. G., Onwuegbuzie, A. J., & Lichtenstein, A. A. (1996). Library anxiety: Characteristics of 'at-risk' college student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8(2), 151-163. http://dx.doi.org/10.1016/s0740-8188(96)90017-1 

  24. Kuhlthau, C. C. (1983). The library research process: Case studies and intervention with high school seniors in advanced placement English classes using Kelly's theory of constructs. Ph.D. dissertation,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Rutgers. 

  25. Kuhlthau, C. C. (1988). Developing a model of the library search process: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RQ, 28(2), 232-242. 

  26. Mellon, C. A. (1986). Library anxiety: A grounded theory and its development. College & Research Libraries, 47(2), 160-165. http://dx.doi.org/10.5860/crl_47_02_160 

  27. Onwuegbuzie, A. J. (1997). Writing a research proposal: The role of library anxiety, statistics anxiety, and composition anxiety.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9(1), 5-33. http://dx.doi.org/10.1016/s0740-8188(97)90003-7 

  28. Van Kampen, D. J. (2002). Library anxiety: The information search process and doctoral use of the library.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