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사찰의 3X3칸 주불전 건물지 복원을 위한 자료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 현존 주불전과의 평면 계획 비교를 중심으로-
An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Basic Data System for Restoration of 3x3 Kan Central Hall Remains of Buddhist Temple in Joseon Dynasty - Comparison with the floor plan of the extant Hal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9, 2016년, pp.163 - 177  

김환철 (선문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과) ,  안대환 (충북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조선시대 사찰 주불전 발굴지를 복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는 발굴지와 현존 주불전이 동시에 존재하는 유일한 시기이므로 평면계획의 비교를 통하여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상관성이 있는 비교항목들을 선정하여 순차적으로 여러 단계의 비교를 통하여 복원을 위한 가장 적합한 사례들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기초자료 구축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비교항목의 선정과 비교 순서, 그리고 사례의 비교방식 등이 모두 중요한 요소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5개의 3x3칸 주불전 발굴지를 대상으로 70개의 현존 주불전과 비교하여 최초의 비교에서 4개의 사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다시 한 번 비교를 통해서 사례들을 좁혀보았다. 비교항목으로서 면적과 정면/측면 길이의 비율은 서로 관련성이 있어 둘 다 만족하는 사례가 있어 복원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정면어칸길이/협칸길이의 비율과 측면어칸길이/협칸길이의 비율은 둘 다 만족하는 사례가 없어 비교항목 서로간의 관련성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자료 구축방식은 비교 항목, 비교 순서, 비교 사례의 선정 수량 및 범위 등에서 고려할 점이 많아서 장단점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어 그 가치가 높으며 자료구축의 다양성에 의해 개별적인 특징이 많은 발굴지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making a system of basic materials for the restoration of the 3X3 Kan central hall remains of a Buddhist temple from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re are both an extant hall and remain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basic material can be constructed through comparis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존하는 사찰의 주불전은 대부분 언제 건립되었는가? 삼국시대에 불교가 전해진 이후 오랜 기간 동안 사찰이 건립되어 왔다. 그러나 현존하는 사찰의 주불전은 대부분 조선시대에 건립된 것이다. 그래서 조선시대 발굴 지와 현존하는 주불전이 공존하는 특수한 시기라고 할수 있다.
현존 건물의 선정 대상을 70동으로 한 이유는 무엇인가? 70동을 대상으로 하였다.[Table2] 이들 현존 건물들은 도면이 작성되어 있어 평면규모를 비교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조선시대는 무엇이 존재하는 유일한 시기인가? 이 연구는 조선시대 사찰 주불전 발굴지를 복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는 발굴지와 현존 주불전이 동시에 존재하는 유일한 시기이므로 평면계획의 비교를 통하여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상관성이 있는 비교항목들을 선정하여 순차적으로 여러 단계의 비교를 통하여 복원을 위한 가장 적합한 사례들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기초자료 구축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Sang-Cheol Park, The Study of Structure and Design in three-bay-square Buddhist Halls, Master Dissertati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1. 

  2.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SSourcebook of excavation research of Architectural Site-Buddhist templesI,II,III, 2007. 

  3. MahanBaeje-culture Institute, Namwon Silsangsa baekjangam, 2005. 

  4. Museum of Kyungpook University, Hwasan Ingaksaji, 1993. 

  5. Joongang Sangha University, Hwasan Ingaksa, 1999. 

  6. Museum of Gongju University, Jumisiju, 1999. 

  7.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Excavation report of Cheongnyongsaji, 1998. 

  8. Dai Whan An, Relationship and it's change between location of Altar and wooden structure of Central halls in Korean Buddhist temples, Doctoral Thesis of Yonsei University,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