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행복생활권 민관협치 구현 방안 연구
The action plan of community-based governance for the realization happy life zone in Jeju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9, 2016년, pp.178 - 187  

양성수 (제주특별자치도) ,  황경수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  김경범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행복생활권 사업 과정에서 공공부문, 전문가, 그리고 주민간의 협치 형태를 분석하고, 제주지역에 맞는 모델 구축을 통하여 제주행복생활권 사업이 제주의 가치 향상을 위한 민관협치 구현 방안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향후 추진될 제주행복생활권 사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조정을 통한 상생과 협력, 즉 협치 분위기 조성을 위한 지역생활권 발전협의회의 역할과 지원체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공미술프로젝트를 활용한 마을만들기 사례의 협업체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과정적 측면과 역할별 측면에서 민관협치 실현을 위한 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과정적 측면에서는 첫째, 행정시와 주민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 둘째, 생활권협의회는 의견수렴과 함께 중앙정부의 정책과 의지를 제주도와 행정시에 전달하고 중앙정부와의 매개역할을 해야 한다. 셋째, 독립기구로 행복생활권 자문센터(혹은 자문단)를 설치해야 한다. 넷째, 행정시에서 제안된 내용을 검토할 때 민과 관의 협치한 노력을 제시하도록 하고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한다. 다섯째, 행복생활권 협의 사업의 정책순응 확보를 위해서 주민 교육과 주민의 의견을 상시적으로 수렴해야 한다. 여섯째, 지방자치가 마을자치까지 진행되어야 한다. 역할적 측면에서는 퍼스넬러티 전문가를 배치해야 하며, 각 단계별로 역할 수행을 달리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overnance in the business processes of Jeju's proposed 'Happy Living Area.' This study found Jeju's 'Happy Living Area' plans for governance were realized and conflicts may frequently occur in future business processes. Furthermore, roles and support system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행복생활권 사업 과정에서 공공부문, 전문가, 그리고 주민간의 협치 형태를 분석하고, 제주지역에 맞는 모델 구축을 통하여 제주행복생활권 사업이 제주의 가치 향상을 위한 민관협치 구현 방안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향후 추진될 제주행복생활권 사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조정을 통한 상생과 협력, 즉 협치 분위기 조성을 위한 지역생활권 발전협의회의 역할과 지원체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행복생활권 민관협치 구현방안을 파악하기 위하여 마을 미술프로젝트 협업체계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행복생활권 사업의 추진체계와 관련하여 취지 및 사업 수행이 유사한 마을만들기 사업의 프로세스틀 통해서 행복생활권 사업 주체별 역할과 역할기능자들의 활동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마을 프로젝트 추진위원회를 결성하여 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지역을 사례분석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협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주체와 네트워크, 그리고 과정적인 측면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행복생활권 협업체계 구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18].
  • 협치에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학자들 마다 서로 다른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치의 기능과 형태로서 방법론적 측면, 공동 목표, 의사소통, 네트워크, 핵심주체, 발전그룹 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행복생활권 사업 과정에서 공공부문, 전문가, 그리고 주민간의 협치 형태를 분석하고, 제주지역에 맞는 모델 구축을 통하여 제주행복생활권 사업이 제주의 가치 향상을 위한 민관협치 구현 방안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향후 추진될 제주행복생활권 사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조정을 통한 상생과 협력, 즉 협치 분위기 조성을 위한 지역생활권 발전협의회의 역할과 지원체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현실에서 본 연구는 공공미술프로젝트 사업들의 상생과 협력을 기반으로 제주에 적용가능한 민관협치 실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미술프로젝트를 활용한 마을만들기 사례의 협업체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과정적 측면과 역할별 측면에서 민관협치 실현을 위한 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가설 설정

  • 장기적으로는 지방자치가 보다 더 확대되어 지역커뮤니티, 즉 마을자치까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근린정부의 형태, 읍면동의 자치행정체계 구성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행복생활권뿐만 아니라 마을단위의 유사 마을만들기 사업들이 지역주민의 참여에 의해, 지역주민을 위한 사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읍면동의 자치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 자원 조사에서부터 마을주민과 행정시 공직자들 간에 비젼을 공유할 수 있도록 자문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행복 생활권 진흥·촉진센터는 진행유지관리단계에서는 총감독 역할을 수행하되 공무원과 함께 공동으로 추진하며, 예산 집행에 있어서도 행정시 공무원들과 협의를 통해서 집행해야 할 것이다.
  • 근린정부의 형태, 읍면동의 자치행정체계 구성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행복생활권뿐만 아니라 마을단위의 유사 마을만들기 사업들이 지역주민의 참여에 의해, 지역주민을 위한 사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읍면동의 자치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 현재 제주도 행복생활권사업과 관련한 정책들의 경우 기초자치단체격인 행정시에서는 공모를 하고, 광역자치 단체 제주도는 선정하는 정도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행정시와 주민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려면 비전을 공유하는 작업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지역 간 협력과 의견 수렴 등의 절차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코틀랜드에서 지역사회 발전을 위하여 비전을 공유하고 함께 협력하기 위해 만든 법은 무엇입니까? 스코틀랜드에서는 지방자치단체와 그 외의 공공기관, 그리고 지역사회 및 민간부문들이 파트너쉽 관계를 맺고 있다. 즉 이들 간에 지역사회 발전을 위하여 비전을 공유하고 함께 협력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법적으로 커뮤니티 계획 파트너쉽(CPPs : Community Planning Partnership)이라는 제도를 만들고 있다.
협치하는 사업주체들의 정책 참여 과정을 분석할 때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협치는 공공부문과 비영리조직 간의 수평적 네트워크 외에도 사업 주체들의 정책 참여과정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거기에는 3가지 중요한 측면이 있다. 첫째는 공공기관, 개인, 비영리기관간의 수평적 네트워크 (horizontal networks)이며, 둘째는 시민을 포함한 주체 (one that involves the citizenry)이며, 셋째는 과정(the process through which they participate)이다.[18]여 기서 주체에는 시민, 이해관계자, 그리고 공직 관료가 모두 포함되며, 과정에는 정책결정 과정뿐만 아니라 정책을 형성하고, 대안을 결정하며, 집행하는 것까지 포함한다.
협치란 무엇입니까? 협치는 지역주민, 자원봉사기관 등의 민간파트가 공공부문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공동으로 참여하여 의견 제시 및 결정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협치는 기존의 통치방식과 다른 새로운 형태의 정치방식이며, 기업, 정부, 지역사회 커뮤니티 그룹, 시민들이 공공목표를 향하여 상호의존 및 공동 노력을 하는 것이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I, Koo, "Building local governance and local regeneration", PLANNING AND POLICY. vol. 4, pp. 32-41, 2014. 

  2. Y. J. Tae, S. H. Park, "Characteristics of Maeul-mandeulgi in Korea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Related Local Ordinances", Planning & design, vol. 26, no. 7, pp. 175-182, 2010. 

  3. T. S. Seo, "Regional Development and Public Participation governance building measures", Planning and Policy, vol. 10, pp. 20-27, 2002. 

  4. J. J. Lee, S. M. Lee, "Analysis on the Factors Motivating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Sustainable Rural Village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38, no. 3, Korea Planners Association, pp. 39-55, 2003. 

  5. Y. Kim, P. Y. Lee, N. R. Kim, K. S. Jeong, "A Study of Characteritics and Evaluation on Community Building Governance(The Case in Sunche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21, no. 3, pp. 87-108, 2008. 

  6. S. H. Park, H. S. Chun, S. J. Jeon, "Participatory Governance Analysis in Community Planning: an Institutional Approach",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4, no. 3, pp. 207-220, 2009. 

  7. D. S. Yoo, H. B. Baek, "A Study on the Ways of Pocheon Inner City Revitalization (Strategies of Govern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vol. 18, no. 1, pp. 117-140, 2011. DOI: http://dx.doi.org/10.17089/kgr.2011.18.1.005 

  8. W. L. Kim, J. H. Koo, "The Influence of Making Collaborative Governance on Building Social Capital i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s(Focused on case of 'Seoul human town, livable Maeul-mandulgi)",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6, no. 4, pp. 105-119, 2011. 

  9. Y. J. Ham, J. S. Kim, "A Study on the role of local governance and social enterprise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24 no. 4, pp. 365-383, 2011. 

  10. J. J. Kwon, J. H. Jo, W. S. Jeon, H. Y. Hwang, "Analyses on the Influences of the Governance Participants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of Jungang-dong, CheongJu-city",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25, no. 2, pp. 325-343, 2012. 

  11. Y. Kim, G. S. Jeong, S. B. Cheon,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Local Governance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n Social Capita (Focused on old downtown Masan Hapogu in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25, no. 2, pp. 43-69, 2013. 

  12. J. I. Koo, "Building local governance and local regeneration", PLANNING AND POLICY, vol. 4, pp. 32-41, 2014. 

  13. Christopher Gates, "Community governace" Futures 31, pp. 519-525, 1999. DOI: http://dx.doi.org/10.1016/S0016-3287(99)00011-7 

  14. K. N. Bickers, J. T. Williams, "Public Policy Analysis : A Political Economy Approach", Houghton Mifflin Company, Boston, New York, 2001. 

  15. Gerard. Bellefeuille, Dawn. Hemingway, "The new politics of community-based governance requires a fundamental shift in the nature and character of the administrative bureaucracy",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7, pp. 491-498, 2005. DOI: http://dx.doi.org/10.1016/j.childyouth.2004.10.007 

  16. Kevin O'Toole, Neil Burdess, "New community governance in small rural towns: the Australian experience", Journal of Rural Studies 20, pp. 433-443, 2004. DOI: http://dx.doi.org/10.1016/j.jrurstud.2004.01.002 

  17. Lisa Blomgren Bingham, Tina Nabatchi, Rosemary O'Leary, "The New Governance : Practics and Processes for Stakeholder and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Work of Govern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September/October, vol. 65, no. 5. pp. 547-558,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540-6210.2005.00482.x 

  18. H. C. Hong, "A critical study on the public art led by the government through the Maeul-misul project analysis", Humanities research, vol. 42, pp. 451-494, 2011. 

  19. H. S. Jo,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Hakji Publisher, pp. 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