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거주형태에 따른 스트레스 증상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ymptom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University Students by the Type of Reside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9, 2016년, pp.447 - 457  

이선미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숙사 생활을 하는 대학생과 비기숙사 생활을 하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증상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기숙사 생활 대학생 313명, 비기숙사 생활 대학생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는 2015년 10월 21일부터 11월 20일까지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적 통계, 피어슨 상관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가 남녀 모두 비기숙사 생활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경우 흡연 및 음주여부는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비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경우 학업성취도와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쳤다. 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경우에 우울, 불안, 정서적 분노가, 비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경우에는 인식력 장애, 우울, 정서적 분노가 건강증진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경우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정서적 분노 및 불안이었으며 설명력은 67%였으며, 비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경우에는 우울과 정서적 분노가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력은 63%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에 대한 적합한 건강증진행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HPB) among two residence groups of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313 students living in a dormitory and 281 students not living in a dormitory. Data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거주형태에 따라 기숙사 생활과 비 기숙사생활을 하는 대학생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의 스트레스증상 중 습관적 행동형태, 인식력 장애, 우울, 불안, 정서적 분노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거주형태에 따라 기숙사 생활과 비기숙사생활을 하는 대학생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의 스트레스 증상 중 습관적 행동형태, 인식력 장애, 우울, 불안, 정서적 분노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기숙사 생활 대학생과 비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스트레스 증상과 건강증진행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숙사 생활을 하는 대학생과 비기숙사 생활을 하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증상 중 정서적 증상인 습관적 행동형태, 인식력 장애, 우울, 불안, 정서적분노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위한 보건교육자료 개발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주형태에 따라 기숙사 생활과 비기숙사 생활 대학생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의 스트레스증상 중 습관적 행동형태, 인식력 장애, 우울, 불안, 정서적 분노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위한 보건교육자료 개발 및 건강증진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교 졸업생들이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이유는? 1%를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였으나 2014년에는 70.9%(통계청, 2015)로 나타나 아직도 많은 고교 졸업생들이 집을 떠나 타 지역으로 이동하여 기숙사 생활을 하거나, 하숙 또는 자취 등을 하고 있는 실정으로 주거생활의 환경변화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2].
기숙사 생활을 하는 대학생들은 어떠한 건강상태와 질병에 노출되어 있는가? 기숙사 생활을 하는 대학생들은 독립된 공간이나 자유로운 생활에서 부모의 지지와 간섭 없이 전반적으로 운동부족, 음주, 흡연, 불규칙한 식생활 습관으로 인한 영양섭취 불균형, 불규칙한 건강관리를 하며, 주거형태상 집단생활을 함으로 인해 인플루엔자, 결핵 등의 감염병이나 식중독으로 인한 수인성 감염병의 노출에도 취약한 대상이기도 하다. 그리고 집에서 다니는 대학생들도 기숙사 생활을 하는 대학생들과 마찬가지로 흡연과 음주에 쉽게 노출되면서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3].
대학생은 어떠한 시기고 이때의 건강습관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 시기는 상대적으로 건강행위의 수정가능성이 큰 단계로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의 중요한 시기이고[4], 이때 정착된 건강습관은 성인기의 건강증진행위와 이에 따른 건강한 삶의 기반으로 미래의 건강에 대한 태도, 실천등이 자신이나 주변, 가족의 건강실천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될 뿐만 아니라[5], 다가오는 중년기, 노년기까지의 건강한 삶을 영위케 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 건강수명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 K. Kim, M. S. Jung, C. H. Han,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and rel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19, no. 1, pp. 59-85, 2002. 

  2. S. J. Lee, J. H. Yu,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and career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2, no. 3, pp. 589-607, 2008. 

  3. N. S. Oh, J. Y. Park, C. H. Han,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for college students by types of residenc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8, no. 2, pp. 27-40, 2011. 

  4. M. K. Dinger, A. Waigandt, "Dietary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behaviors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m. J. Health Promot, vol. 11, no. 5, pp. 360-362, 1997. DOI: http://dx.doi.org/10.4278/0890-1171-11.5.360 

  5. A. Yarcheski, N. Mahon, "A casual model of positive health practices: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oach and replication", Nursing Research, vol. 38, no. 2, pp. 88-93, 1989. 

  6. A. Stoepo et. at., "Trends in smoking, diet, physical exercise, and attitudes toward health in European university students from 13 countries, 1990-2000", Prev. Med., vol. 35, no. 2, pp. 97-104, 2002. DOI: http://dx.doi.org/10.1006/pmed.2002.1048 

  7. J. H. Kim,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stres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11. 

  8. K. S. Han, N. S. Kim, J. H. Kim, K. M. Lee, "Influencing factors on symptoms of stress among hospital staff nurses", J Korean Acad Nurs, vol. 34, N0.7, pp. 1307-1314, 2004. 

  9. M. J. Han, H. A. Cho "The food habit and stress scor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16, no. 1, 84-90, 2000. 

  10. E. J. Ryu, Y. M. Kwon, K. S. Lee, "A study on psychosocial well-being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18, no. 1, pp. 49-60, 2001. 

  11. K. S. Han, G. M. Kim, "Comparison to self esteem, family adapta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between nursing and other major university women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16, no. 1, pp. 78-84, 2007. 

  12. K. S. Paek,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 14, no. 2, pp. 232-241, 2003. 

  13. Y. M. Lee, "Quality of lif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4, no. 2, pp. 77-91, 2007. 

  14. Y. H. Chung, N. S. Seo, S. H. Moon, "Related factor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gender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vol. 12, no. 2, pp. 29-42, 2011. 

  15. N. H. Kogan, A. Gaber, K. Egan, "Hypertension self-regulation: Predictor of success on diastolic blood pressure reduction", Research of Nursing Health, vol. 11, pp. 105-115, 1988. DOI: http://dx.doi.org/10.1002/nur.4770110206 

  16. K. S. Han, "Effect of integrated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the stress symptoms of psychophysiolo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7, no. 2, pp. 289-302, 1997. 

  17. Y. O. Seo, "Structural model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mid-life wome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1995. 

  18. C. H. Han, J. O. Park, J. Y. Park,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on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 in a dormito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3, no. 2, pp. 63-76, 2006. 

  19. M. Y. Chon, M. H. Kim, C. M. Cho,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19, no. 2, pp. 1-13, 2002. 

  20. H. K. Kim,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Pender's mode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2, no. 2, pp. 132-141, 2006. 

  21. N. J. Pender, "Health promotion and nursing", Paper presented at Korea University Institute of Nursing Research, International Nursing Conference, Seoul, 1999. 

  22. S. Y. Joe, I. S. Lee, Y. K. Ham, J. H. Kim, "Factors leading to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students in a nursing school of a universit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2, no. 1, pp. 75-85, 2006. 

  23. H. K. Hwang,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health promotion behavior",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san, 2008. 

  24. H. N. Park, M. J. Kim, "Health promoting lifestyle,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college female students", Journal of Korea Community for Health & Nursing Academic Society, vol. 14, no. 2, pp. 318-331, 2000. 

  25. K. S. Park,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health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in relation to living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Wonju, 2007. 

  26. M. S. Ki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e, personality, situational barrie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16, no. 3, pp. 442-451, 2004. 

  27. K. S. Han,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5, no. 3, pp. 585-592, 2005. 

  28. J. Y. Ahn, "Comparison to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perception of sex among women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08. 

  29. J. Y. Hong, "How the university students' stress affects their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Kyeongsan, 2005. 

  30. E. H. Lee,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s of coping style with structural equatio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9, no. 1, pp. 25-48,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