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거주형태와 건강행위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Health Behaviors and Residence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5 no.1, 2012년, pp.77 - 84  

이복임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김윤미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김윤정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서은옥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이동근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이석희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이수미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한경미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한유진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and residence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Using a quota sampling method by gender and residence type, 364 male and female students (126 students who live in their own house (SH), 123 students who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대학생의 거주형태 특성을 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건강생활습관 형성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대학생의 거주형태와 건강행위에 대한 기존 연구는 여대생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일부 거주형태나 건강증진행위에 편중되어 있어 종합적 판단에 제한적인 바, 본 연구는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성별과 거주형태를 기준으로 할당표출한 대학생 표본을 이용하여 거주형태별 포괄적 건강행위 즉 흡연, 음주, 운동, 식습관, 수면습관을 비교하였다.
  • 대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건강행위를 조사한 기존의 연구는 수면, 운동, 음주, 흡연, 영양 등 포괄적인 범위를 다루기보다는 단편적인 건강행위를 다루는 연구가 대다수이고(최경순 등, 2010; 양지와 손정민, 2009; 최미경 등, 2000) 포괄적 건강행위를 연구하였다 하더라도 주로 여대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이다(오영섭, 2009; 유경희, 2011).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여성과 남성 대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부모 등의 동거가족의 관리를 받으며 생활하는 통학군과 생활양식을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자취군, 기숙사에 거주하는 기숙사군 등 세 가지로 거주형태를 구분하여 식습관, 수면, 운동, 음주, 흡연 등 포괄적 건강행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첫째, 연구대상자의 흡연, 음주, 운동, 식습관 및 수면 실태를 파악하고, 둘째, 연구대상자의 거주형태별(통학군/자취군/기숙사군) 흡연, 음주, 운동, 식습관 및 수면 실태를 비교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주 형태(통학군, 자취군, 기숙사군) 별로 건강행위(흡연, 음주, 운동, 식습관 및 수면)의 차이를 조사한 비교조사연구(comparative study)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주 형태와 건강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의 건강증진 및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여성과 남성 대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부모 등의 동거가족의 관리를 받으며 생활하는 통학군과 생활양식을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자취군, 기숙사에 거주하는 기숙사군 등 세 가지로 거주형태를 구분하여 식습관, 수면, 운동, 음주, 흡연 등 포괄적 건강행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첫째, 연구대상자의 흡연, 음주, 운동, 식습관 및 수면 실태를 파악하고, 둘째, 연구대상자의 거주형태별(통학군/자취군/기숙사군) 흡연, 음주, 운동, 식습관 및 수면 실태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건강행위 조사는 대부분 어떠한 실정인가? 대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건강행위를 조사한 기존의 연구는 수면, 운동, 음주, 흡연, 영양 등 포괄적인 범위를 다루기보다는 단편적인 건강행위를 다루는 연구가 대다수이고(최경순 등, 2010; 양지와 손정민, 2009; 최미경 등, 2000) 포괄적 건강행위를 연구하였다 하더라도 주로 여대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이다(오영섭, 2009; 유경희, 2011).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여성과 남성 대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부모 등의 동거가족의 관리를 받으며 생활하는 통학군과 생활양식을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자취군, 기숙사에 거주하는 기숙사군 등 세 가지로 거주형태를 구분하여 식습관, 수면, 운동, 음주, 흡연 등 포괄적 건강행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는 어떠한 것으로 나타나는가? , 1990).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기존 연구에 따르면,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는 성인에 비하여 낮은 편이고(전미영 등, 2002; 한금선, 2005) 노인과 비슷한 수준이다(강은정, 207). 또한 자신의 건강에 대한 책임이나 스트레스 관리보다는 주로 자아실현, 대인관계증진, 위생적 생활 관련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김남선, 2007).
거주형태에 따른 흡연율에서 자취생들이 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는가? 거주형태에 따른 흡연율은 자취군이 타 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존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오영섭, 2009; 최경순 등, 2010). 이는 부모나 보호자로부터 일부분 생활을 통제받는 통학군 및 기숙사군과는 달리 자취군은 자기 스스로 생활습관을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올바른 건강생활습관의 형성과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금연 프로그램은 거주형태별 습관 형성 및 유지의 차이를 감안하고 특히 자율적 행위통제를 강화할 수 있는 기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