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해 관찰한 식품영양정보의 사례분석
Analysis of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Presented throughout Various Television Program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4, 2011년, pp.680 - 686  

류혜숙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옥선 (장안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해연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topics presented throughout the television broadcast media, thereby find out the optimal communication method to give desirable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To perform this study were recruited and trained by monit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식생활정보의 정확성에 관해 어떤 영역에서, 어떤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는지, 주제의 키워드는 무엇인지와 전달 형태, 긍정적인 보도사례, 부정적인 보도사례의 채널별 경향이 어떠한지에 대해 모니터 사례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식생활 정보의 매스컴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이 올바른 식생활 정보를 위한 매스컴의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방향 제시에 도움이 되고,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방송매체에 의한 식품영양정보의 보도 경향을 분석하여 식품영양정보의 정확성과 유익성을 높이고,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채널 선정은 우리나라 3대 공중파 방송(KBS, MBC, SBS) 3개 채널을 중심으로 2008년 4월부터 6월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TV 프로그램은 보도, 오락, 교양이라는 세 가지 측면의 서비스 내용을 토대로 다양한 형식으로 담아낸다(Kline KN 2006).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모델로 하여(Ryu 등 2003) 모니터 대상을 넓은 의미의 테마로 시사 및 정보프로그램, 연예 및 오락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식품영양정보가 주로 어느 프로그램영역에서 다루어지는지 관찰하였다.
  • 즉, 이는 미디어를 통한 식품영양 정보가 정확하고 신중해야 하며, 올바르게 전달되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3대 공중파 3개 채널(KBS, MBC, SBS)을 대상으로 식품영양 관련 정보 전달의 사례를 모니터하여 건강정보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식품과 영양 관련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적절하고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식생활정보의 정확성에 관해 어떤 영역에서, 어떤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는지, 주제의 키워드는 무엇인지와 전달 형태, 긍정적인 보도사례, 부정적인 보도사례의 채널별 경향이 어떠한지에 대해 모니터 사례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식생활 정보의 매스컴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3대 공중파 3개 채널(KBS, MBC, SBS)을 대상으로 식품영양 관련 정보 전달의 사례를 모니터하여 건강정보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식품과 영양 관련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적절하고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식생활정보의 정확성에 관해 어떤 영역에서, 어떤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는지, 주제의 키워드는 무엇인지와 전달 형태, 긍정적인 보도사례, 부정적인 보도사례의 채널별 경향이 어떠한지에 대해 모니터 사례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식생활 정보의 매스컴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이 올바른 식생활 정보를 위한 매스컴의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방향 제시에 도움이 되고,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종 매체를 통한 건강 정보가 범람하고 있는 이유는? 건강에 대한 국민과 언론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각종 매체를 통한 건강 정보가 범람하고 있다. 또한 방송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각종 정보는 현대인의 의식과 가치, 규범을 정립하는 주요 원천이 되고 있다(Aldory L 2001; Kang 등 2001; Moon 등 2005).
우리나라 많은 국민의 여가 시간 활용이 TV 시청이라는 보고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또한 방송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각종 정보는 현대인의 의식과 가치, 규범을 정립하는 주요 원천이 되고 있다(Aldory L 2001; Kang 등 2001; Moon 등 2005). 우리나라 많은 국민의 여가 시간 활용이 TV 시청이라는 보고는 현대사회에서 TV가 국민 건강에 매우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텔레비전은 건강정보를 감성적인 호소의 방식으로 제공해 공중의 반응을 이끌어내는데 효과적이다(Goldber 등 1982; Voss M 2003).
미디어를 통한 식품영양 정보가 정확하고 신중해야 하며, 올바르게 전달되어야 하는 이유는? 또한 음식 관련 메시지는 건강에 바람직한 영양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심어주고, 건강에 해로운 음식의 섭취를 촉진할 수도 있으며(Coroli M 등 2004), 미디어의 음식 관련 보도는 사람들의 먹는 것과 식생활패턴의 형성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Porto MP 2007). 반면, 소비자들은 미디어에 부여된 권위와 신뢰 등의 요인으로 인해 영양에 관련된 미디어 정보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정확하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Campo 등 2007). 즉, 이는 미디어를 통한 식품영양 정보가 정확하고 신중해야 하며, 올바르게 전달되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dory L. 2001. Making health communications meaningful for women: Factors that influence involvement. Journal of Public Research 13:163-185 

  2. Andsager JL, Powers A. 2001. Framing women's health with a sense-making approach: Magazine coverage of breast cancer and implants. Health Communication 21:35-44 

  3. Berry TR, Naylor PJ. 2007. SARS Wars: An examination of the quality and construction of health information in the news media.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2:151-160 

  4. Campo S, Mastin T. 2007. Placing the burden on the individual: overweight and obesity in African American and mainstream women's magazines.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2:229-240 

  5. Coroli M, Argentieri L, Cardone M, Masi A. 2004. Role of television in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13:44-58 

  6. Choi BS, Lee IS, Lee YE. 1997. The study of nutrition-related messages in food advertising by content analysis of a women's magazine-Woman's Donga, 1968-1995. J Dietary Culture 12:309-321 

  7. Goldber ME, Gorn GJ. 1982. Behavior evidence of the effect of televised food messages on children. J Consumer Res 9: 200-205 

  8. Gibson TA. 2007. The existing media system may be toxic to your health: Health communication and the politics of media reform.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35: 125-132 

  9. Jeffery RW, French SA. 1998. Epidemic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Are fast foods and television viewing contributing?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8:277-280 

  10. Kang HJ, Kim KM, Kim KJ, Ryu ES. 2001.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in kindergarten. Korean J Nutr 34:230-240 

  11. Kim EK, Park YS, Jang MR, Myung CO, Nam HW. 1996. The content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articles in the Korean newspapers from January 1960 to June 1996-1. food habits and food consumption patterns. J Dietary Culture 11:516- 526 

  12. Kim EK, Park YS, Jang MR, Lee KW. 1996. The content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articles in the Korean newspapers from January 1960 to June 1996-2. nutrition life cycle, health and disease. J Dietary Culture 11:527-538 

  13. Kim HS. 1996. Television food advertisement: Review and recommendation. The Korean J Dietary Culture 11:507-515 

  14. Kim KN. 2003. Health and nutrition messages in the baby food advertisements of wemen's magazin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178-185 

  15. Kline KN. 2006. A decade of research on health content in the media: The focus on health challenges and sociocultural context and attendant informational and ideological programs.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43-59 

  16. Lee JW, Lee BK. 1998. Analyzing the producer's attitudes toward specialist's advice and the panelist constitution of nutritionrelated TV program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317-328 

  17. Lee JW, Lee BK. 1998. Examination about the television's role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content analysis of nutritionrelated program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642-654 

  18. Mackenzie SB. 1986. The role of attention in mediating the effect of advertising on attribute importa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174-195 

  19. Moon HK, Yong MJ, Jang YJ. 2004. An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for articles and advertisements in the daily newspaper (year 2002). J Korean Diet Assoc 10:143-158 

  20. Moon HK, Jang YJ. 2005. Quantitative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offered in television programs. J Korean Dietetic Assoc 11:51-66 

  21. Morgan J, Sharma S, Lukachko A, Ross G. 1999. The breast cancer prevention diet by Dr. Bob Arnot: Unscientific and deceptive-A disservice to American wome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4:235-248 

  22. Porto MP. 2007. Fighting AIDS among adolescent women: Effect of a public communication campaign in Brazil.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2:121-132 

  23. Ryu HS, Kim HS, Yang IS, Kim KT, Bae MY. 2003. The monitoring case analysis of nutrition-related programs presented on television broadcast media. J Korean Dietetic Assoc 9:138-148 

  24. Ryu HS, Yang IS, Kim HS. 2003. Monitoring of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presented throughout various television brodcast media. Korean J Nutr 36:508-514 

  25. Voss M. 2003. Why reporters and editors get health coverage wrong: Health journalists need and want special training. Nieman Reports 46-48 

  26. Yanvitzky I, Blitz CL. 2000. Effect of media coverage and physician advice on utilization of breast cancer screening by women 40 years and older.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5:117-134 

  27. You EY, Sung HI, Kwak JO, Chang KJ. 2002. The dietary intakes and internet searches reagarding by disease i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web clas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696-704 

  28. Yoo EK, Lee SE, Kim MH. 1998. An analysis on the contents related to health in the three major monthly women's magazine(march, 1997-February). J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4:309-321 

  29. Yang IS, Lee JM, Chae IS. 1998.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 analysis of elderly people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Korean Dietetic Assoc 4:76- 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