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연예술 산업의 입지 특성과 지역 경제경관의 연계성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 Industries and the Linkages with the Local Economic Landscape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19 no.3, 2016년, pp.437 - 456  

이수영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대학원) ,  이금숙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예술 산업의 입지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지역 경제와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공연예술 산업이 가장 집중되어 있는 서울을 대상으로 소비자가 관련시설이 있는 장소를 방문해야 하는 소비의 유사성을 지닌 갤러리와 영화 상영관의 각 사업체의 주소자료를 이용하여 커널밀도분석공간적 자기상관성(Spatial Autocorrelation)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를 적용하여 국지적 핫스팟을 확인한다. 분석 결과 갤러리와 영화 상영관의 분산 분포와 달리 공연장은 대학로 일대를 중심으로 응집된 단일 핫스팟이 나타난다. 대학로 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공연장 밀집지역에는 공연예술 산업의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다양한 활동들이 인근에 밀집분포하며 공연예술 산업의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입지적 특성이 파악된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공연장의 분포를 설명하는 경제활동을 파악하여 지역 경제경관과의 연계성을 분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 industries and to investigate the linkages with local economy. For the purpose, we examine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in Korea first, and than focus on Seoul where the reso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을 대상으로 문화예술산업들의 입지와 연관된 문화예술시설 및 경제활동들의 입지연계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세계적으로 연극공연장의 밀집도가 높은 서울 종로구의 대학로 일대를 대상으로 공연예술의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주요 활동들의 공간적 분포 양상을 분석하였다.
  • 서울시 전체를 대상으로 한 커널밀도 분석에서 연극 공연장의 분포 특징으로 대학로 일대에 단일핵을 가지고 밀집분포 되어 있는 핫스팟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연예술 가치사슬(Performing Art Value Chain)과 관련하여 공연예술조직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로 일대의 연극공연단체, 극단, 공연기획제작사, 공연장의 분포를 각의 주소자료를 바탕으로 커널밀도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림 6>은 이들 각각의 커널밀도 분석 결과를 보이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공연예술 산업의 입지와 지역 경제와의 연계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서울의 공연장 분포 분포를 설명하는 지역의 경제 및 문화활동 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7) 특히 소비자의 방문이 요구되는 유사한 문화산업과의 입지연계성 및 관련 변수의 비교를 위하여 서울시의 공연예술 공연장, 미술전시 갤러리, 영화상영관의 사업체 수와 서울시 상위 10개 업종의 사업체 수를 적용하여 단계적 방법을 통한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산업이 집중되어 있는 서울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분포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문화예술 산업중에서도 상품의 소비가 공연 현장에서 이루어지므로 소비자가 직접 공연장이 위치한 장소를 방문해야 하는 공연예술 산업을 중심으로 분포특성을 분석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산업의 입지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지역 경제와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에서 문화예술자원의 지역적 집중도를 분석하고, 이들이 가장 집중되어 있는 서울을 대상으로 그들의 입지분포에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한다.
  • 특히 문화산업 중에서도 매출액의 규모는 크지 않지만 그의 사회/문화적 기여도가 높으며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특성으로 종사자수 및 사업체 수의 비중이 크고, 관람객이 공연장이 입지한 지점을 직접 방문하며 전·후 연결되는 활동들과 관련된 업체들의 입지효과가 높아 지역경제 및 경제경관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되는 문화예술산업의 공간적 특성과 지역 산업과의 연계성을 분석해 보았다.

가설 설정

  • 위의 도표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공연예술 조직들은 a) 계층적 조직 울타리 안에서(hierarchy), b) 협력적 관계(partnership)를 통하여, 혹은 c) 독립을 유지하는 거래(market)에서 일차적 기능을 수행할건지 아니면 이차적 기능을 수행할건지를 선택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공연공간이 필요할 때 공연사는 1) 자체의 무대나 극장을 소유하거나(hierarchy), 2) 특정 극장의 공간과 스케줄 잡기의 우선순위를 포함하여 기존의 관계를 유지하거나(partnership), 혹은 3) 새로운 공연마다 그에 적절한 극장공간을 찾거나(market) 할 수 있다. 공연예술 가치사슬의 마지막 부분에 해당하는 평판은 “공연예술의 모든 것”(Austin, 2000)이라고 할 정도로 중요한 것으로 청중을 물론 기부자 및 다른 지분 소유자들에게 민감한 역학 작용을 하는 중요한 것으로 공연예술 가치사슬에 있는 모든 활동들이 평판에 영향을 미친다(Preece, 2005).
  • 원조는 공연예술조직들이 공연하거나 혹은 거주하는 지역의 지역사회에 연결하는 다리로 특별히 도안된 노력들을 포함한다. 위의 도표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공연예술 조직들은 a) 계층적 조직 울타리 안에서(hierarchy), b) 협력적 관계(partnership)를 통하여, 혹은 c) 독립을 유지하는 거래(market)에서 일차적 기능을 수행할건지 아니면 이차적 기능을 수행할건지를 선택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공연공간이 필요할 때 공연사는 1) 자체의 무대나 극장을 소유하거나(hierarchy), 2) 특정 극장의 공간과 스케줄 잡기의 우선순위를 포함하여 기존의 관계를 유지하거나(partnership), 혹은 3) 새로운 공연마다 그에 적절한 극장공간을 찾거나(market)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연예술 산업 종사자의 경제적 소득효과가 적은 이유는 무엇인가? 8%로 다른 문화 및 콘텐츠산업에 비해서 매출액 규모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므로 그 자체의 매출 규모나 사업 종사자의 경제적 소득효과는 그리 높지 않다. 그러나 공연예술 산업은 다른 문화산업에 비해서도 노동집약적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매출액 비중에 비해 업체수와 종사자수는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임진욱, 2009). 문화산업 전체에서 공연산업 업체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2.
창조계층이란 무엇인가? 후기산업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경제현상에 문화요소의 투입이 고도화되는 문화경제로의 전환이 가속되면서 지역정책 및 지역연구 부문에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문화산업의 유치가 화두가 되고 있다(Barnett, 1988; Scott, 1997; Barnes, 2001; Pratt, 2001; Evans, 2003; Gibson and Kong, 2005). 특히 1998년 영국 문화미디어체육부가 문화산업의 개념을 확장하여 광고, 건축물, 미술과 골동품, 공예, 디자인, 디자이너 패션, 영화와 비디오, 컴퓨터 게임, 음악, 공연예술, 출판, 소프트웨어와 컴퓨터 서비스, 텔레비전과 라디오 등을 창조산업의 범주로 규정하면서(DCMS, 1998) 개인의 창의력과 아이디어가 투입되어 무형의 가치를 생산하는 ‘창조계층’의 존재가 지역 경제성장에 새로운 동력원으로 작동한다는 주장(Florida, 2002; Scott, 2002; Jeffcutt and Pratt, 2002; Mommaas, 2004; Garnham, 2005; Amin and Thrift, 2007; Pratt, 2008; Boschama and Fritsch, 2009; Davies and Sigthorsson, 2013)과 함께 ‘창조 도시’에 관심이 모아지면서 이러한 창조적 인력을 유인할 수 있는 고품격 문화 향유가 가능한 도시환경 및 지역의 문화자산에 대한 다양한 연구 주제가 부상하고 있다(Florida, 2003; Scott, 2006; Amin and Thrift, 2007; Evans, 2009).
영국 문화미디어체육부에서 창조산업의 범주로 규정한 부분은 무엇인가? 후기산업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경제현상에 문화요소의 투입이 고도화되는 문화경제로의 전환이 가속되면서 지역정책 및 지역연구 부문에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문화산업의 유치가 화두가 되고 있다(Barnett, 1988; Scott, 1997; Barnes, 2001; Pratt, 2001; Evans, 2003; Gibson and Kong, 2005). 특히 1998년 영국 문화미디어체육부가 문화산업의 개념을 확장하여 광고, 건축물, 미술과 골동품, 공예, 디자인, 디자이너 패션, 영화와 비디오, 컴퓨터 게임, 음악, 공연예술, 출판, 소프트웨어와 컴퓨터 서비스, 텔레비전과 라디오 등을 창조산업의 범주로 규정하면서(DCMS, 1998) 개인의 창의력과 아이디어가 투입되어 무형의 가치를 생산하는 ‘창조계층’의 존재가 지역 경제성장에 새로운 동력원으로 작동한다는 주장(Florida, 2002; Scott, 2002; Jeffcutt and Pratt, 2002; Mommaas, 2004; Garnham, 2005; Amin and Thrift, 2007; Pratt, 2008; Boschama and Fritsch, 2009; Davies and Sigthorsson, 2013)과 함께 ‘창조 도시’에 관심이 모아지면서 이러한 창조적 인력을 유인할 수 있는 고품격 문화 향유가 가능한 도시환경 및 지역의 문화자산에 대한 다양한 연구 주제가 부상하고 있다(Florida, 2003; Scott, 2006; Amin and Thrift, 2007; Evans,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구운모, 2005, "창조산업의 경제적 기여와 서울시의 정책적 함의," 서울도시연구 6(4), pp.101-120. 

  2. 김유미.이금숙, 2001, "문화 산업의 입지적 특성 분석: 음반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4(1), pp.37-60. 

  3. 김의준.윤민경.이창근.최명섭, 2009, "창조산업의 도시 고용 효과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2), pp. 13-34. 

  4. 권오혁.이수장, 2001, "문화산업의 특성과 문화산업지구 전략," 공간과 사회 15, pp.211-230. 

  5. 나혜영, 2012, "문화콘텐츠산업의 공간분포와 입지요인 분석," 한국지역경제연구 10(1), pp.41-63. 

  6. 문화체육관광부, 2015, 2015 예술인 실태조사. 

  7. 문화체육관광부, 2013, 2013 공연예술 실태조사. 

  8. 문화체육관광부, 2007년, 2012년, 2013년 콘텐츠산업백서 연차보고서. 

  9. 박재운.김호범, 2011, "한국창조산업의 부가가치 구조와 부가가치유발효과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지 29(2), pp.153-185. 

  10. 서울연구원 도시정보센터, 2013, 서울연구원NEWS(2013년 9월 2일자). 

  11. 서울연구원, 2015, 서울시 문화자원 실태와 분포특성 

  12. 신현준, 2016, "한남동의 창의계급들과 경합하는 장소들의 생산: 세 가지 길의 상이한 행위자들과 젠트리피케이션의 상이한 유형들,"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pp.33-50. 

  13. 유지연.이금숙, 2013, "패션제조업의 분포 특성과 직능간 연계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1), pp. 1-16. 

  14. 이경옥.이금숙, 2006, "문화경제의 발현과 확산의 공간적 특징: 북촌의 창의적 소매점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9(1), pp.23-38. 

  15. 이민수, 2014, 서울시 미술품 전시공간의 입지패턴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병민, 2005, "문화산업을 통한 지역경제의 발전전략과 정책과제," 지리학연구 39(3), pp.399-420. 

  17. 이병민, 2010, "광역경제권하에서의 문화산업클러스터의 운용방향과 거버넌스 재편 전략," 문화경제연구 13(2), pp.96-125. 

  18. 이병민, 2011, "창조적 문화중심도시 조성 전략과 문화정책 방향," 문화정책논총 25(1), pp.7-36. 

  19. 이병민, 2012, "콘텐츠 생태계 중심 창조적 문화도시의 발전 방향," 인문콘텐츠 25, pp.9-38. 

  20. 이병민, 2016, "문화자산을 토대로 한 도시재생과 지역발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pp.51-67. 

  21. 이정훈, 2004, "중소도시 지역개발 수단으로서 제3의 문화전략: 관광과 문화산업의 사회.공간적 결합: 부천시를 사례로," 관광경영연구 22, pp.257-292. 

  22. 이희연.황은정, 2008, "창조산업의 집적화와 가치사슬에 따른 분포특성: 서울을 사례로," 국토연구 58, pp.71-93. 

  23. 임진욱, 2009, "대학로지역 공연장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문화예술경영학연구 2(1), pp.139-170. 

  24. 장윤정.이승일, 2009, "서울의 창조산업 분포특성과 도시상업활력의 공간회귀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4(6), pp.51-64. 

  25. 정선기, 2010, 창조집단 유인을 위한 대전의 문화 정책, 대전발전포럼, 2010 기획특집, pp.8-27. 

  26. 주성재, 2006, "한국영화산업의 발전과 공간적 집적 특성: 새로운 부흥의 중심지로서 서울 강남지역의 등장?," 대한지리학회지 41(3), pp.245-266. 

  27. 한국산업은행, 2014, "산업연관 분석을 통한 창조산업의 구조분석 및 경제 파급효과 추정," 산은조사월보 제 699호(2014.2). 

  28. 채지민.이원호, 2014, "수도권 창조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사회통합적 영향 분석," 한구경제지리학회지 17(4), pp.660-674. 

  29. 최정수, 2006, "경북 문화산업의 혁신환경과 클러스터 구축방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3), pp.364-381. 

  30. Amin, A. and Thrift, N., 2007, "Cultural-economy and citie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1(1), pp. 143-161. 

  31.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27, pp.93-115. 

  32. Barnes, T., 2001, "Retheorizing Economic Geography: From the quantitative revolution to the "cultural turn," Annals of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91(3), pp.546-565. 

  33. Barnett, C., 1988, "The cultural turn: Fashion or progress in Human Geography?," Antipode 30 (4), pp.379-394. 

  34. Boschama, R. A. and Fritsch, M., 2009, "Creative class and regional growth: empirical evidence from seven European countries," Economic Geography 85(4), pp.391-423. 

  35. Crain Communications, 2015, "Broadway's box offices say goodbye to record-setting 2014," Retrieved January 5, 2015. 

  36. Davies, R. and Sigthorsson, G., 2013, Introducing The Creative Industries, London: SAGE. 

  37. DCMS, 1998, Creative Industries Mapping Document, London: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38. DiMaggio, P., 1987, "Nonprofit Organizations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e," In Walter Powell (Ed.), The nonprofit sector: A research handbook,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39. Evans, G., 2003, "Hard-branding the cultural city-from Prado to Prada,"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7, pp.417-440. 

  40. Evans, G., 2009, "Creative cities, creative spaces and urban policy," Urban Studies 46(5-6), pp.1003-1140. 

  41. Florida, R. L., 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New York: Basic Books. 

  42. Florida, R. L., 2003, "Cities and the creative class," City & Community 2(1), pp.3-19. 

  43. Gapinski, J. H., 1984, "The Economics of performing Shakespeare," American Economic Review 74, pp. 458-466. 

  44. Garnham N, 2005, "From cultural to creative industries: An analysis of the implications of the 'creative industries' approach to arts and media policy making in the United Kingdom,"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11, pp.15-30. 

  45. Getis, A. and Ord, J. K., 1992,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Geographical Analysis 24(3), pp.189-206. 

  46. Gibson, C. and Kong, L., 2005, "Cultural economy: a critical review,"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9(5), pp.541-561. 

  47. Harvey, J., 1999, "The arts in transition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1(2), pp.40-47. 

  48. Jeffcutt, P. and Pratt, A. C., 2002, "Managing creativity in the cultural industries"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1, pp.225-233. 

  49. Mommaas, H., 2004, "Cultural clusters and the post-industrial city: Towards the remapping of urban cultural policy," Urban Studies 41, pp.507-532. 

  50. Moran, P., 1948, "The interpretation of statistical map,"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10, pp.243-251. 

  51. Pincus-Roth, Z., 2008, "Ask Playbill.com: Broadway or Off-Broadway-Part I" Playbill.com, February 7, 2008. 

  52. Porter, M., 1985, Competitive Advantage, New York: The Free Press. 

  53. Pratt, A. C., 2001, "Understanding the cultural industries: is more less?," Culturelink 35, pp.51-68. 

  54. Pratt, A. C., 2008, "Creative cities: the cultural industries and the creative class," Geografiska Annaler: Series B-Human geography 90(2), pp.107-117. 

  55. Preece, S., 2005, "The performing arts value chain,"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8(1), pp.21-32. 

  56. Scott, A. 2006, "Creative cities: conceptual issues and policy questions," Journal of Urban Affairs 28(1), pp.1-17. 

  57. Scott, A. J., 1997, "The cultural economy of c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1(2), pp.323-339. 

  58. Scott, A. L., 2002, The Cultural Economy of Cities, London: SAGE. 

  59. Tobler, 1970,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46(2), pp.234-240. 

  60. Throsby, D. and Withers, G., 1985, "What price culture?,"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9(2), pp.1-33. 

  61. Throsby, D., 2012, "Why should economists be interested in cultural policy?," Economic Record 88(1), pp.106-109. 

  62. Withers, G. A., 1980, "Unbalanced growth and the demand for performing arts: an econometric analysis," Southern Economic Journal 46, pp.735-7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