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주지역 공연장 접근 형평성 평가와 입지선정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quality and the Direction of Location Selection for the Concert Hall in Jeju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1, 2021년, pp.614 - 620  

고혜영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  고태호 (제주연구원) ,  황경수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민은 문화예술 활동의 이용 내용에는 만족 비율이 높은 반면, 이용 환경의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제주특별자치도가 공연장 접근성이 낮아 문화소외지역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 2019년 제주특별자치도의 자료를 바탕으로 제주도 내의 공연장 중 공공기관이면서 문화예술회관, 종합공연장, 일반공연장인 경우를 선정하였으며 9개의 공연장이 이에 부합하였다. 이후 GIS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선정된 공연장의 입지 현황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공연장 접근성이 취약한 제주 서부지역, 동부지역의 입지선정방향을 제안하였다. 입지선정방향은 이론, 선행연구, 제주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거주밀집지역의 제외, 접근성 취약지역의 우선, 접근성 취약지역 내 접근성 양호지점,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권역과의 원거리 지점, 자연경관 친화, 대중교통접근성을 선정하였다. 제안한 입지 방향에 맞는 2020년 현재 공연장 건립가능 지역으로 성산일출봉, 새별오름, 표선 해수욕장, 송악산 등 4곳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입지선정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제주를 '문화의 섬'으로 만드는 문화마케팅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eju has many out-of-town cultural areas owing to its low accessibility to concert halls. Based on data from Jeju in 2019, this study selected possible sites for concert halls and examined the location status of existing concert halls in Jeju by utilizing GIS analysis. As a result, directions on loc...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주지역 공연장 접근성을 제고하고 지역 특성을 고려한 입지선정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제주지역 주민들에게는 공간 형평성 제약 해결을 통한 문화향수의 기회 확대, 제주지역 관광 분야에는 자연과 더불어 문화예술, 야간 관광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문화시설의 접근성과 제주특별자치도의 문화시설 중 공연장의 입지분표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제주지역만의 공연장 입지 방향성을 제안하고 공연장 접근 취약지역에 이에 알맞은 장소를 제안하고자 한다.
  • 또한 문화예술단체들이 예술 활동을 함에 있어 대관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문화소외 지역이 넓게 분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시설의 접근성과 제주특별자치도의 문화시설 중 공연장의 입지분표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제주지역만의 공연장 입지 방향성을 제안하고 공연장 접근 취약지역에 이에 알맞은 장소를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공연장 접근성 취약지역을 우선한다. 셋째, 공연장 접근성 취약지역 내 접근성 양호지점을 선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 K. Park, Culture abd National Abe, p. 701, dymbook, 2019. pp.197-199. 

  2. H. S. Limn, City culture environment-cultural measure, p. 173,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1996. pp.11. 

  3. Jeju Cultural Indicators Survey, Jeju Research Institut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Korea, pp.95-96 

  4. H. B. Kim, S. G. Kim, "A Site Selection of Public Facility Based on An Accessibility Theory & GIS Spatial Analysis Technolog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Vol. 26, No. 3D, pp.385-391, 2006. 

  5. S. M. Choi, J. H. Jeon, M. S. Chung,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Welfare Program from a Social Inclusion Perspective among Low Income People in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Cultural Accessibility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Seoul Studies, Vol. 16, No. 4, pp.177-194, 2015. 

  6. T. S. Hyun, "Study on the Concept of Cultural Welfare and Cultural Welfare Policy", Social Welfare Policy, Vol. 27, pp.101-122, 2006. 

  7. J. H. Kim, "A Study on Spatial Equity of Cultural Facilities's Distribution in Seoul", Journal of Geography Education, Vol. 15, pp.43-59, 2007. 

  8. T. I. Kim, "Basic Study on General Lacation of Culture and Art facilities and a Desirable Plan for Arrangement of New ones in Jeju", Jeju Research, Vol. 32, pp.69-86, 2009. 

  9. J. H. Park, C. H. Kim., "A Study on the Locational Elements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 Focused on the case of Urban-Rural Complex Citie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22, No. 2, pp.211-223, 2009. 

  10. T. S. Park, M. Y. Lee, "Accessibility Measure of Cultural Facilities Using Urban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5, No. 2, pp. 455-464, 2015. DOI : https://doi.org/10.12652/Ksce.2015.35.2.0455 

  11. S. M. Choi., S. H. Chae, "The Effect of Cultural Accessibility on Depression among Low income Elderly in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Mediation Role of Life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69, pp.417-447, 2015. DOI : https://doi.org/10.21194/kjgsw..69.201509.417 

  12. H. J. Kim, J. G. Lee, K. H. Yeo, "Regional Disparties and Determinants of Spatial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Seoul Studies, Vol. 16, No. 4, pp.109-127, 2015. 

  13. S. J. Lim, C. H. Kim, "Analysis of Selecting an Appropriate Location for Infrastructure Considering the Range of Service Area and Accessibility: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Regi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32, No. 3, pp.45-66, 2020. 

  14. H. B. Kim, S. G. Kim, "A site Selection of Public Facility Based on An Accessiblilty Theory & GIS Spatial Analysis Technologies", Journal of the Korean of Civil Engineers D, Vol. 26, No. 3D, pp.385-391, 2006 

  15. S. H. Kim, T. G. Kim, S. K. Suh, "Assessment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in Rural Areas using Real Road Distance focusing on Pyeongchang-gun", Vol. 57, No. 4, pp.39-49, 2015. DOI : https://doi.org/10.5389/ksae.2015.57.4.039 

  16. Y. S. Nam, "Evaluation of lacational accessibility to leisure facilities using GIS: Focusing on Jeju city Dong area",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Vol. 43, No. 3, pp. 69-80, 2019. DOI : http://dx.doi.org/10.26446/kjlrp.2019.9.43.3.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