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자본축적 과정과 도시화: 도시 위기와 대안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and Urbanization in S.Korea: Urban Crisis and Alternatives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19 no.3, 2016년, pp.512 - 534  

최병두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한국 사회가 처한 경제위기를 도시위기로 이해하고, 이러한 도시 위기의 발생 과정과 주요 상황들을 고찰하는 한편, 이 위기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의 자본주의 경제발전(또는 자본축적)은 기본적으로 건조환경 부문에의 투자 확대를 통해 추동되어 왔다. 이러한 자본 축적과정에서 발생한 과잉축적의 위기와 해외 금융자본의 외적 영향으로 발생하는 위기들(1997년 IMF 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의 결합으로, 정부 및 기업 부문에 잉여자본이 누적되는 한편, 정부, 기업 및 가계의 부채가 급속히 증가하는 결과가 초래되고 있다. 특히 가계의 부채 위기는 주택 및 부동산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국가 정책 및 주택의 공급과 수요를 촉진하기 위한 의제적 자본의 작동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잉여자본의 누적과 부채위기의 심화를 통해 전개되는 도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즉 실질임금의 인상, 건조환경에의 투자 완화, 기술 및 복지 분야 투자 확대 등이 모색될 수 있지만, 국가와 자본에 이를 요구하기 위한 운동 없이는 실현되기 어렵다. 최근 도시에 대한 권리에 바탕을 둔 도시운동은 국가에게 이러한 정책을 시행하도록 요구하는 한편, 도시의 잉여를 생산했지만 부채 위기로 인해 고통 받는 도시인들의 이해관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운동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to see what appears to be an economic crisis as urban crisis, to explore its emerging process and its major distinctive figures in the context of S. Korea, and to consider alternatives to overcome such an urban crisis. For this purpose, it first tries to show that the capitalist econo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경제적 및 도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정부의 대응책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국가의 임무들 가운데 하나는 이러한 사회·경제적 및 도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대응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 동안 정부의 대응책은 위기에 대한 전면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이라기보다 특정 정치권력의 이해관계에 바탕을 둔 선택적이고 전략적인 정책들에 불과했고, 이로 인해 위기는 해소되기보다 오히려 심화되거나 새로운 양상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예로, 기업인들이 경제위기를 유발하는 국내 요인으로 지적한 ‘가계부채’는 사실 한국 정부가 지난 2년여 동안 추진했던 부동산 경기부양책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대도시의 일상생활 공간에서 위기를 감지할 수 있는 사건으로 어떤 일이 있었나? 최근 대도시의 일상생활 공간에서 위기를 감지할 수 있는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예로 서울 강남역 인근 건물 화장실에서 한 남성이 전혀 알지 못하는 20대 여성을 살인한 사건이 있었고, 또 서울 지하철 구의역에서 스크린 도어를 정비하던 19세 젊은이가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러한 사례들은 현대 도시가 단순히 각종 재난 사고들이 발생하는 장소라는 의미를 넘어서 억압과 소외에 의한 적개심이나 비정규직 하청노동에 의해 내몰리는 위험에 의해 언제든지 ‘죽음의 현장’이 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사회·경제적 및 도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정부의 대응책으로 어떤 것들이 있었나? 하지만 그 동안 정부의 대응책은 위기에 대한 전면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이라기보다 특정 정치권력의 이해관계에 바탕을 둔 선택적이고 전략적인 정책들에 불과했고, 이로 인해 위기는 해소되기보다 오히려 심화되거나 새로운 양상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예로, 기업인들이 경제위기를 유발하는 국내 요인으로 지적한 ‘가계부채’는 사실 한국 정부가 지난 2년여 동안 추진했던 부동산 경기부양책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고용의 유연성 제고와 산업구조 조정을 위한 정부의 ‘노동시장 개혁’ 방안은 오히려 비정규직을 확대시킬 것으로 우려되며, 관련법 제정을 위해 국회를 압박했던 정부의 통치 양식은 점점 더 비 소통적 권위주의 경향으로 치닫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 동안 부동산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가 추진했던 규제 완화 정책, 특히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부동산 금융대출 규제 완화는 한편으로 도시 건조환경에의 투자가 자본 축적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부동산정책과 금융정책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 결과 전세 및 월세 폭등으로 서민들의 주거위기와 더불어 부채위기를 초래함으로써 소비 위축에 따른 경제침체와 생활 압박에 따른 극심한 소외감으로 일상생활(공간)의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내희, 2014, 신자유주의 금융화와 문화정치경제, 문화과학사. 

  2. 강현수, 2010, 도시에 대한 권리, 책세상. 

  3. 국회예산정책처, 2011, 법인의 사내유보금에 대한 과세방안 연구. 경제동향 & 이슈, 통권 40호, 13-30. 

  4. 국회예산정책처, 2016, 2016년 한국경제 리스크요인 점검. 

  5. 김용창, 2015, 신자유주의 도시화와 도시 인클로저(1): 이론적 검토, 대한지리학회지 50(4), 431-449. 

  6. 박영균, 2009, 욕망의 정치경제학과 현대 도시의 위기, 마르크스주의 연구 6(2), 152-186. 

  7. 손정목, 2003, 경부고속도로 건설과 도시 체계, 도시문제, 411, 106-117. 

  8. 재벌사내유보금 환수운동본부, 2015, 재벌의 사내유보금, '네' 것이 아니야! 

  9. 조정환, 2011, 인지자본주의, 갈무리. 

  10. 최병두, 2009, 경부고속도로: 이동성과 구획화의 정치경제지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312-334. 

  11. 최병두, 2012, 자본의 도시: 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도시정책, 한울. 

  12. 통계청, 2015.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보도자료). 

  13. 하비(최병두 역), 1995, 자본의 한계, 한울: Harvey, D., 1982, The Limits to Capital; Blackwell, Oxford. 

  14. 하비(최병두 역), 2007, 신자유주의: 간략한 역사, 한울: Harvey, D., 2005, A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Oxford Univ. Press. 

  15. 하비(한상연 역), 2014, 반란의 도시: 도시에 대한 권리에서 점령운동까지, 에이도스: Harvey, D., 2012, Rebel Cities: From the Rights to the City to the Urban Revolution, Verso, London. 

  16. 한국경제연구원, 2014, 사내유보금 과세, 쟁점과 평가(대외세미나 자료집). 

  17. 한국경제연구원, 2015, 국가총부채 4,835.3조원 GDP 대비 338.3%... 관리 요망(보도자료). 

  18. 한국은행, 2015, 2014년 기업경영분석(보도자료). 

  19. 한국은행, 2015, 금융안정보고서. 

  20. 현대경제연구원, 2016, 가계부채 한계가구의 특징과 시사점, 경제주평 116-11(통권 684). 

  21. Adorno, T., 1992, Negative Dialectics, trans. E.B. Aston, Continuum, New York; 홍승용 역, 1999, 부정변증법, 한길사. 

  22. Arendt, H., 1958, Human Condition, Univ. of Chicago Press; 아렌트, 이진우 외 역, 1996, 인간의 조건, 한길사. 

  23. Bookchin, M., 1992, Urbanization without Cities: The Rise and Decline of Citizenship, Black Rose, Montreal. 

  24. Cecchetti et al., 2011, "The Real Effect of Debt", BIS Working Paper. 

  25. French, S., Leyshon, A., Wainwright, T., 2011, Financializing space, spacing financialization,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5(6), 798-819. 

  26. Negri, A. and Hardt, M., 2009, Commonwealth, Harvard Univ.; 정남영.윤영광 역, 2014, 공통체, 사월의책. 

  27. Harvey, D., 2009, The right to the city and alternatives to neoliberalism, http://wsf2009.wordpress.com/2009/01/30/the-right-to-the-city-and-alternatives-to-neoliberalism/ 

  28. Lees, L., Shin, H-B., Lopez-Morales, E., 2016, Planetary Gentrification, Polity, London. 

  29. Lefebvre, H., 1973, The Survival of Capitalism: Reproduction of the Relations of Production, St Martin's press, New York. 

  30. Lefebvre, H., 1996, The right to the city, in H. Lefebvre (ed), Writings on Cities, Blackwell, Oxford, 63-184. 

  31. Merrifield, A., 2013, The urban question under planetary urbaniz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7(3), 909-922. 

  32. Mitchell, D., 2005, The Right to the City: Social Justice and the Fight for Public Space, Guilford Press. 

  33. Ostrom, E., 1990,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UP., Cambridge; 윤홍근 옮김, 2010, 공유의 비극을 넘어, 랜덤하우스 코리아. 

  34. Sevilla-Buitrago, A., 2015, Capitalist formations of enclosure: space and the extinction of the commons, Antipode 47(4), 999-1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