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액션러닝 교수학습 방법 적용의 효과: 리더십, 문제 해결능력, 일상적 창의성, 비판적사고 성향
The Effect of Action Learning Teaching-Learning Method Applied to Nursing Students in U City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7 no.2, 2016년, pp.17 - 30  

한현희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이미숙 (경주대학교 간호학과) ,  홍영혜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traditional lecture teaching learning method and action learning teaching learning method of nursing students' leadership, problem solving competence,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Methods: This study wa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주요 역량 중 리더십, 문제해결능력, 일상적 창의성, 비판적사고 성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학습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액션러닝 교수 설계에 의한 간호과정 교과목을 운영한 후 그 수업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과정 교과목을 수강하는 간호대학생 중에서 팀 기반 액션러닝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학생과 일반 강의 방법을 적용한 학생의 리더십, 문제해결능력, 일상적 창의성, 그리고 비판적 사고 성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유사 실험 연구이다<;표 1>.
  • 본 연구는 간호과정 교과목을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과 일반강의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여 간호대학생들의 리더십, 문제해결 능력, 일상적 창의성, 비판적 사고 성향의 교수 학습 방법에 따른 수업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현재 간호교육과정에서 시도되고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 중에서 액션러닝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전공이론 교과목인 간호과정 수업에 적용을 시도하여 간호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며 더 나아가 간호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과정 교과목을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과 일반강의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여 간호 대학생들의 리더십, 문제해결 능력, 일상적 창의성, 그리고 비판적 사고 성향의 교수 학습 방법에 따른 수업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액션 러닝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이에 따라 간호대학들은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한 효과적 학습성과 달성 방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정현철 등, 2012; 김정미와 최영실, 2015), 팀 기반 학습(한수정, 2013; 임소희, 2015), 문제중심학습(김지윤과 최은영, 2008;이인숙 등, 2015), 웹 기반 학습(최영순, 2012), 액션 러닝(장금성 등, 2014; 김윤민, 2012)등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여러 교수학습방법 중 액션 러닝은 최적의 학습방법으로 전 세계 각 기업에서 검증된 바 있으며, 새로운 지식 습득과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행동을 변화시키고 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하고, 리더십 개발과 팀을 만들어 가는 역량 강화, 그리고 학습조직을 구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장경원과 고수일, 2014), 개인이 경험한 성찰을 통해 행동변화를 가져오며,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김소명과 박상연, 2016)으로 제안되었다. 또한 임상현장에서도 간호관리자의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의사소통 및 프리젠테이션 등을 포함하는 공통기본역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장금성 등, 2006).
비판적 사고가 간호교육의 핵심적 요소로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비판적 사고는 ‘간호과정’, ‘의사결정’, 과학적 추론’이 합리적으로 검증되는 것으로 설명되며(Bandman EL 와 Bandman B, 1995) 간호교육의 핵심적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 이것은 간호교육이 주어진 상황에서 무비판적으로 간호 실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적용하고, 분석, 종합, 추론하며, 의사결정시 자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자기 의견을 논리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능력과 이러한 능력을 사용하고자 하는 성향을 갖춘 간호사를 양성하도록 도전받고 있기 때문이다(권인수 등, 2006)
한국 간호교육평가원에서 간호사의 핵심간호 역량으로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 급변하는 보건의료계의 환경은 간호사의 자질향상과 뛰어난 업무수행능력(nursing competencies)을 요구하고 있고 이에 따라 간호 대학생들의 교육은 실무 중심 통합 교육과정이 중요시되고 있다. 한국 간호교육평가원(2012)에서는 간호교육인증평가 인증기준에 간호사의 핵심간호 역량으로 비판적 사고 능력, 문제해결능력, 리더십 능력, 의사소통과 협력능력을 포함한 학습성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간호대학들은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한 효과적 학습성과 달성 방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정현철 등, 2012; 김정미와 최영실, 2015), 팀 기반 학습(한수정, 2013; 임소희, 2015), 문제중심학습(김지윤과 최은영, 2008;이인숙 등, 2015), 웹 기반 학습(최영순, 2012), 액션 러닝(장금성 등, 2014; 김윤민, 2012)등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소영, 김현주.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적 능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2;13(3):1122-1128. 

  2. 권인수 외 9명.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지 2006;36(6):950-958. 

  3. 김소명, 박상연. 액션러닝을 활용한 수업운영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6;22(1): 42-50 

  4. 김연순, 김진영. 액션러닝 기반의 다문화 간호교육이 문화적 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014;15(11):6527-6535 

  5. 김윤민. 간호대학생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 간호 전문직 수업설계 및 운영 평가[박사학위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6. 김윤민, 김윤희. 간호관리학 임상실습에서 액션 러닝의 개발 및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10(6):312-322 

  7. 김정미, 최영실.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과 간호과정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 융복합 연구 2015;13(4):263-270. 

  8. 김정숙. 간호대학생을 위한 액션러닝기반 학습성과중심의 수업설계 및 운영의 효과. 성인간호학회 동계학술대회. 성인간호학회 2014년 12월. 

  9. 김지윤, 최은영. 시뮬레이션 실습이 접목된 문제 중심학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PBL 학습요소별 인식과 학업성취도. 성인간호학회지 2008;20(5):731-742. 

  10. 김희경. 간호사의 인간관계, 의사소통, 창의적 행동, 간호서비스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2007;13(1):25-36. 

  11. 박명신, 한상훈, 김영미.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리더십 및 정서조절전략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2014;16(1):197-225. 

  12. 박지원 외 6명.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 효능감, 리더십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학교육 2012;24(3): 223-231. 

  13. 박현주. 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5; 21(2):227-236 

  14. 배수현, 박정숙.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리더십 향상을 위한 교과외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5;21(2): 204-214. 

  15. 양선희 외 5명.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3개 간호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9;15(2):149-158. 

  16. 양승애.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 해결능력. 간호행정학회지 2010;16(4): 389-398. 

  17. 윤진,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 간호학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18. 이경화, 유경훈, 김은경.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심리연구 2010;24(2), 327-346. 

  19. 이경화, 김은경, 유경훈. 대학생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동기의 관계. 창의력교육연구 2013; 3(1):125-139. 

  20.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열. 생애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대상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21. 이숙자, 장금성. 액션러닝이 간호사의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정서창의성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지 2014;8(2):73-87. 

  22. 이인숙, 박희옥, 박창승. 간호대학생의 PBL 적용에 따른 자존감, 성취동기,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의 효과: 종단적 분석. 군진간호연구 2015;33(1):134-147. 

  23. 이종율, 조미혜.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과정의 관련성 비교연구.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논문집 2012;13(3.4):241-253. 

  24. 임소희. 기초간호과학 해부학 교육에서의 팀기반 학습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015;16(10):7098-7108 

  25. 장경원, 고수일. 액션러닝으로 수업하기. 학지사, 2014. 

  26. 장금성, 김남영, 박현영. 액션러닝 교수설계에 의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과의 학습성과. 간호행정학회지 2014;20(5):587-598. 

  27. 장금성 외 12명, 액션러닝 적용에 따른 간호관리자의 공통 기본역량 변화와 반응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006;12(3):424-433. 

  28. 정경희. 간호대학생의 협력과 조정역량 개발을 위한 액션러닝기반 팀프로젝트 활동 후 성찰 분석. 2015년도 한국간호교육학회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간호교육학회, 2015 

  29. 정은이. 일상적 창의성과 개별성-관계성 및 심리 사회적 적응의 관계[박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30. 정은이. 일상적 창의성과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양식과의 관계. 교육학연구 2004; 42(4):379-399. 

  31. 정은이. 문제해결 토의활동이 대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2009; 10(2):27-49. 

  32. 정현철, 최나영, 김미선, 전미양. 시뮬레이션 기반 정맥주사 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수행 자신감 및 대상자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012; 13(6):2600-2606 

  33. 정희욱, 박병기, 최성욱, 강일국. 지도력 진단도구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34. 차경숙, 전원희, 홍성실.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사회불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4; 14(7): 324-333. 

  35. 최은영, 김지윤.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핵심능력. 기본간호학회지 2007;14(4): 412-419. 

  36. 최영순. 웹기반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012;13(11): :5284-5291 

  37. 최정. 간호학생이 지각한 자신의 리더십 유형과 임파워먼트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006;12(2):196-203. 

  38. 한수정. 간호대학생에 팀기반 학습 적용의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2013;11(11):595-602 

  39. Bandman EL, Bandman B. Critical thinking in nursing(2nd ed). Appleton and Lange, 1995. 

  40. Fero LJ, Witsberger CM, Wesmiller SW, Zullo TG, Hoffman L.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new graduate and experienced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1):139-148. 

  41. Marquardt MJ. Action learning in action: transforming top companies are re-creating their leaders and themselves. Jossey-Bass, 1999. 

  42. Sternberg R, Lubart T.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1996;51:677-688. 

  43. Rothwell WJ. The action learning guidebook: a real-time strategy for problem solving training design, and employee development. Jossey-Bass Pfeiffer, 1999. 

  44. Terzioglu F. The Perceived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e manager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6;14(7):340-3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