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간호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essons Using Action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n Nursing Leadership,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 2020년, pp.494 - 503  

문숙자 (세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 강의식 교수학습방법과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들의 간호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리더십 교과명 2학점, 15주 학사일정 중 주 2시간 8주간 액션러닝 학습방법을 통해 그에 따른 효과를 보기 위해 간호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을 측정하였다. 일반 강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집단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집단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간호리더십, 학업적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과 각각의 하위영역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사전, 사후 비교는 대응표본 t-test로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 적용 후 학업적 자기효능감(t=.828, p<.000), 셀프리더십(t=8.92, p<.000)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으로 간호리더십에서는 리더십 발휘(t=5.06, p<.000),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는 자신감(t=2.04, p<.043), 자기조절 효능(t=.126, 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셀프리더십에서는 행동중심적 전략(t=8.74, p<.000), 인지적 전략(t=7.70, p<.000)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교과과정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다양한 환경의 교과과정과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적용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와 다양한 변수들을 추가하여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imparting education to nursing college students, using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and action learning teaching methods. The target of the study was to measure nursing leadership,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preservation of the student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리더십 교과목을 수강하는 간호대학생 중에서 팀 기반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학생과강의식 학습방법을 적용한 학생의 간호리더십, 학업적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의 효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두 집단 사전, 사후 시차 유사실험 설계이다. 시차 설계로 나타날 수 있는 실험의 효과 확산 통제를 위해 1개의 집단은 일반 강의식 교수학습방법을 대조군으로 하여 먼저 적용하였으며, 도 다른 집단은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실험군으로 하여 후에 적용하였다(Table 1).
  •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액션러닝 교수 기법을 교과과정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 1학년을 대상으로 일부 이론 수업이 이루어진 후, 액션러닝기법을 진행하였기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 본 연구는,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들의 간호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그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들의 간호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8회차는 액션러닝 팀활동 결과를 발표하게 함으로써 학습자들과 공유하게 하였다. 이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게 함으로써 토론을 하게 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팀의 다양한 사례와 비교하여 문제 해결 방법이 어떻게 다른지 성찰하게 하고 교수자의 피드백을 끝으로 과정을 마무리 하였다(Tabl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리더십이란 무엇인가? 간호리더십이란 간호사가 개인성장과 협력으로 간호의 탁월성과 창의적 문제해결을 통해 영향력을 이끌어내는 것[7]으로 최근 보건의료환경의 변화에 따른 간호리더들은 공식적․비공식적으로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모든 간호사들은 안전과 양질의 간호제공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해 변화에 참여해야하며[8],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고 적응해 나가는 능력으로서 리더십이 발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실제로 간호학학사학위 프로그램에서는 간호관리학 교과목을 통하여 지휘 기능의 주요 영역으로 간호리더십을 다루고 있거나, 별도 과목으로 간호리더십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어 간호사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중요한 역량임을 강조하고 있다.
액션 러닝이란 무엇인가? 액션 러닝은 학습자들이 팀을 구성하여 실존하는 문제점을 찾아내고, 러닝코치와 함께 주어진 과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지식습득, 질문, 피드백 및 성찰 등으로 문제를 해결해가는 학습방법[3]으로, 새로운 지식 습득과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행동을 변화시키고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하고, 리더십 개발과 팀을 만들어가는 역량 강화, 그리고 학습조직을 구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4]. 액션러닝은 개인의 간호역량 향상과 자기관리능력,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 등을 개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5], 의사소통 및 동기부여 등의 역량향상에 공헌하고 있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서[6], 간호교육에서 액션러닝 활용은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 H. Han, M. S. Lee, Y. H. Hong, The Effect of Action Learning Teaching-Learning Method Applied to Nursing Students in U Cit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ol.17, No.2, pp.17-30, 2016. https://www.earticle.net/Article/A287588 

  2. S. E. Choi, E. A. Kim,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on Application of Learning Portfolio in Nursing Management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6, No.1, pp.90-99, 2016. DOI : http://dx.doi.org/10.4040/jkan.2016.46.1.90 

  3. G. S. Jang, K. H. Jung, M. Baek, H. Y. Park, O. Choi, Action Learn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Nursing Leadership Development, pp.3-57, 2016. www.hyunmoon.co.kr 

  4. H. C. Bong, Key Success Factors of Action Learning Programs in Korean Companies:Contents and Relationships, Koreanische Zeitschrift fur Wirtschaftswissenschaften, Vol.25, No.3, pp.1-34, 2007. 

  5. S. I. Ko, K. G. Chang, Case Study on Interpersonal Relation -ship Class by Action Learning, Management Education Research, Vol.29, No.6, pp.256-281, 2014. 

  6. K. W. Chang, E. H. Koh, S. I. Ko,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f Action Learning in School, The Korean Association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y, Vol.27, No.3, pp.429-455, 2015. DOI : https://doi.org/10.17927/tkjems.2015.27.3.429. 

  7. J. S. Kim, Y. M. Kim, K. S. Jang, B. N. Kim, S. H. Jeong, Concept Analysis of Nursing Leadership,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21, No.5, pp.575-586, 2015. DOI :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5.575 

  8. Finkelman A. W., Leadership and management for nurses: Core competencies for quality care. 2nd ed. Upper Sadler River, NJ:Pearson, 2012. 

  9. Bessie, L. Marquis, C. J., Huston, Leadership roles and management functions in nursing: Theory and application(7th ed). PA:Woltors Kiuwer, 2012. 

  10. Manz C. C., Sims H. P., Super 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Vol.19, No.4, pp.18-35, 1991. 

  11. B. C. Min, S. W. Lim, Han Kyoul Kim, Hyun Sill Rhee, The Influence Factors and Effects of Self-leadership: Focusing on Members of the Hospital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Vol.23, No.1, pp.66-77, 2013. DOI : http://dx.doi.org/10.4332/KJHPA.2013.23.1.066 

  12. DiLiello T. C., Houghton J. D., Maximizing organizational leadership capacity for the future: Toward a model of self leadership, innovation and creativity.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1, No.4, pp.319-337, 2006. 

  13. Baudura, A. Self-efficacy: The excercise of control. New York : Freeman, 1997. 

  14. A. Y. Kim, I. Y. Park, Construction and Validation Academic Self-Efficacy Scal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39, No.1, pp.95-123, 2001. 

  15. S. S. Bu, The Effect of Action Learning Program on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Vol.18, No.5, pp. 29-52, 2014. 

  16. J. W. Park, C. J. Kim, Y. S. Kim, M. S. Yoo, S. M. Chae, Impa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General Self- Efficacy, and Leadership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4, No.3, pp.223-231, 2012. DOI : http://dx.doi.org/10.3946/kjme.2012.24.3.223 

  17. E. J. Kim,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of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4, No.12, pp. 303-326, 2014. 

  18. E. J. Chang, S. J. Lee, Effects of the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on Self-Efficacy and Job-Seeking Stress, The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Vol.33, No.8, pp.75-102, 2016. 

  19. H. J. Cha, Y. M. Ko, J. H. Kim, S. J. Byun,,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Leadership of freshme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6, No.9, pp.293-313, 2016. 

  20. Y. M. Ko, Y. U. Yoo, Effects of a Self-Leadership Lecture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of Freshmen Majoring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Vol.18, No.5, pp.541-560, 2014. 

  21. Y. H. Choi, C. S. Jung,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elf-efficacy and Impower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7, pp.4604-4613, 2015.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604 

  22. K. H. Chung, Reflection Analysis after Action Learning based Team Project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Capacity Development, Korean Academy of Nursing Education Conference, Seoul, 5, pp.152-153, 2015. 

  23. K. S. Jang, B. N. Kim, S. H. Jeong, Y. M. Kim, J. S. Kim,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for Nursing Bachelor Degree Program Outcomes: Focus on Improvement in Nursing Leadership Ability,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22, No.5, pp.540-552, 2016. DOI :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5.540 

  24. J. S. Lee,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dership of College Students on the Employment Strateg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Master's Thesis, 2001. 

  25. Schunk, D. H..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Vol.25, pp.71-86, 1990. 

  26. Putwain, D. W., Symes, W., Remedios, R., The impact of fear apples on subjective-task value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role of appraisal.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1, pp.307-313, 2016. 

  27. Rothwell W. J., The action learning guidebook: a real time stratege for problem solving training design, and employee development. Jossey-Bass Pfeiffer, 1999. 

  28. Y. M. Kim, K. S. Jang, An Action Research Study on the Effects of an Action Learning-Based Nursing Professionalism Course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Vol.41, No.4, pp.123-147, 2014. 

  29. Yu-Mi Kim,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7, pp.112-122, 2016.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6.17.7.112 

  30. J. R. Han, The Effects of Metacognition and Self-leadership on Social Responsi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6. No.11, pp.393-400, 2018, DOI : https://doi.org/10.14400/JDC.2018.16.11.39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