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로서의 봇(bot) 뉴스 챗봇에 대한 시론적 논의
(ro)Bot as media An experimental discussion on news chatbot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79, 2016년, pp.70 - 103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뉴스 미디어 산업이 위기를 겪으면서 새로운 기술이 구원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많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그 기술이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그것이 가진 한계는 무엇인지, 어떤 방향으로의 발전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글은 현재 주목받고 있는 새로운 기술인 뉴스 챗봇의 의미와 작동 방식, 그리고 전망에 대해 미디어 관점에서 시론적으로 분석했다. 쿼츠, 포브스, CNN 챗봇 등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현재 챗봇은 초기 인공지능이 적용된 뉴스 추천 서비스 수준이라고 할 수 있었다. 뉴스 챗봇은 대화라는 의인화된 행위를 통해 뉴스를 전달할 뿐, 능동적 수행 측면에서는 완전하다고 할 수 없었다. 인공지능의 발전에 따라 챗봇도 지속해서 진화가 이루어질 것은 분명하지만, 어떠한 방향을 갖고 가느냐에 따라 결과가 심하게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규범론적 접근, 하향식 접근, 상향식 접근 등 세 가지 방식을 어떠한 방향을 갖고 가야 할지에 대한 논의를 위한 출발점으로 제시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face of crisis in the news media industry, many people prospect that new technology can save it. But there is no discussion about how new technology works and what is its limitations and which direction of development is needed. In view of media, this article analyzed 'news chatbot' as new t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챗봇이란 무엇인가? 챗봇이라는 친구가 일상에 개입하고 있으며, 세계적 기업들이 앞다퉈 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내용이다. 챗봇이란 전자게시판이나 통신망에서 여러 사용자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실시간으로 모니터 화면을 통하여 대화를 나누는 채팅(chatting)과 사람이 하던 일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계인 로봇(robot)에서 한 글자씩을 따와 만들어진 용어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사람과 자동으로 대화를 나누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챗봇이 주로 작동하는 공간은 메신저(instant messenger)다.
인공지능 기술이란 무엇인가? 챗봇은 인공지능 기술에 의해 대화를 나눈다. 인공지능은 일반적으로 사람이 수행했을 때 지능이 필요한 일을 기계에 수행시키고자 하는 기술로 언어 구사 능력, 물체 식별 능력, 논리적 추론 능력 등 인간의 지적 능력을 기계가 갖추도록 한 기술이다. 인공지능에 의해 이용자는 사람이 아닌 봇과 대화를 나누지만, 실제 대화를 하는 것과 같은 친숙한 느낌을 가지면서 인터넷 검색, 뉴스, 쇼핑, 결제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챗봇이 주로 작동하는 공간은 어디인가? 챗봇이란 전자게시판이나 통신망에서 여러 사용자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실시간으로 모니터 화면을 통하여 대화를 나누는 채팅(chatting)과 사람이 하던 일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계인 로봇(robot)에서 한 글자씩을 따와 만들어진 용어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사람과 자동으로 대화를 나누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챗봇이 주로 작동하는 공간은 메신저(instant messenger)다. 간단한 질문이나 확인, 회의나 작업 조정, 즉석 친교 만남 조정, 친구나 가족과 지속적인 연락 등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메신저는 스마트폰이 일상화되면서 우리 일상에 더욱 깊이 들어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KISDI (2015, 11, 30). 2015년 미디어보유와 이용행태 변화. 15-17. 

  2. 고인석 (2014). 로봇윤리의 기본 원칙: 로봇 존재론으로부터. 75호, 401-426쪽. 

  3. 김진형 (1994). 인공지능 방법론의 변천사. 8호, 52-66쪽. 

  4. 뉴스핌 (2016, 4, 9). 일상으로 들어오는 '챗봇', 음식 주문부터 스타일링까지. URL: http://www.newspim.com/news/view/20160409000015 

  5. 머니투데이 (2016, 5, 21). "나와 늘 동행하는 나만의 AI 비서"… '챗봇' 전쟁. URL: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52010512851154 

  6. 박노일 (2008).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과 사회적 실재감에 관한 연구: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매개효과 및 남녀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6권 3호, 51-78쪽. 

  7. 신선아.정지훈 (2016). SF 영화에 등장하는 인공지능 로봇의 분류체계. , 449-453쪽. 

  8. 오세욱 (2016). 페이스북의 메신저 챗봇앱과 뉴스 미디어: 혁신적 저널리즘 출구될까 찻잔 속 미풍일까. 2016년 6월호, 33-37쪽. 

  9. 이원태 (2015). 인공지능의 규범이슈와 정책적 시사점. 15-07. 

  10. 이재현 (2009). 디지털 에크프라시스: "멀티미디어로의 전환"과 언어적 표상. 53권 5호, 244-267쪽. 

  11. 이재현 (2013).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2. 포커스 뉴스 (2016, 4, 8). 시리보다 똑똑한, AI친구 '챗봇'시대 눈앞. URL: http://www.focus.kr/view.php?key2016040800110313678 

  13. 한상기 (2016). 챗봇: 기술의 진보를 통한 새로운 사회 존재의 등장. 2016년 4월. 

  14. 황하성 (2006). 미국 대학생들의 인스턴트 메신저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동기 및 타매체와의 상호 관계성을 중심으로. 50권 2호, 227-255쪽. 

  15. Arkin, R. C. (2007). Governing ethical behavior: Embedding an ethical controller in a hybrid deliberative-reactive robot architecture. GVU Technical Report GIT-GVU-07-11: College of Computing, Georgia Tech. 

  16. Barot, T. (2015). The botification of news. NiemanLab. Retrieved from http://www.niemanlab.org/2015/12/the-botification-of-news/ 

  17. Barot, T., & Oren, E. (2015). Guide to Chat Apps. Tow Center for Digital Journalism. Retrieved from http://www.gitbook.com/book/towcenter/guide-to-chat-apps/details 

  18. Berry, D. M. (2011). The Philosophy of Software: Code and Mediation in the Digital Age. London, UK: Palgrave Macmillan. 

  19. Bogost, I., & Montfort, N. (2009). Platform Studies: Frequently Questioned Answers. Paper presented at the Digital Arts and Culture 2009, UC Irvine. 

  20. Bolter, J. D. (1996). Ekphrasis, virtual reality, and the future of writing. In G. Nunberg (Ed.), The future of the book (pp.253-272). Berkeley &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Bostrom, N. (2014). Superintelligence: Paths, Dangers, Strategies. London, UK: Oxford University Press. 

  22. Cooley, H. R. (2004). It's all about the fit: The hand, the mobile screenic device and tactile vision. Journal of Visual Culture, 3(2), 133-155. 

  23. Eisenmann, T. R., Parker, G., Alstyne, M. V., & Paper, W. (2009). Opening platforms: How, when and why? In A. Gawer (Ed.), Platforms, Markets and Innovation (pp. 131-162). Cheltenham: Edward Elgar Publisher. 

  24. Floridi, L., & Sanders, J. W. (2004). On the morality of artificial agents. Minds and Machines, 14(3), 349-379. 

  25. Gips, J. (1995). Towards the ethical robot. In K. M. Ford, C. Glymour, & P. Hayes (Eds.), Android epistemology (pp. 243-252). Cambridge & MA: MIT Press. 

  26. Goertzel, B. (2002, may). Thoughts on AI morality. Dynamical Psychology. Retrieved from http://www.goertzel.org/dynapsyc/2002/AIMorality.htm 

  27. Goggin, G. (2004). 'mobile text'. M/C: A Journal of Media and Culture, 7(1). Retrieved from http://www.journal.media-culture.org.au/0401/03-goggin.php 

  28. Hadfield, T. (2016, 3, 17). Facebook's messenger bot store could be the most important launch since the app store. TechCrunch. Retrieved from http://techcrunch.com/2016/03/17/facebooks-messenger-in-a-bot-store/ 

  29. Hayles, N. K. (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30. Hayles, N. K. (2012). How we think: Transforming power and digital technologies. In M. Berry (Ed.), Understanding Digital Humanities (pp. 42-67). US: Palgrave Macmillan. 

  31. Hesslow, G. (2002). Conscious thought as simulation of behaviour and percep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6(6), 242-247. 

  32. Holland, O., & Goodman, R. (2003). Robots with internal models a route to machine consciousness? In O. Holland (Ed.), Machine Consciousness (pp. 77-110). Thorverton: Imprint Academic. 

  33. Johnson, S. (1997). Interface culture: How new technology transforms the way we create and communicate. New York: HarperEdge. 

  34. Kay, A. (1984). Computer software. Scientific American, 251(3), 41-47. 

  35. Kirschenbaum, M. (2003). Virtuality and VRML: Software studies after manovich. In M. Bousquet & K. Wills (Eds.), The politics of information: The electronic mediation of social change (pp. 149-153). California: Alt-X Press. 

  36. Kitchin, R., & Dodge, M. (2011). Code/space: Software and everyday life. Cambridge, MA: The MIT Press. 

  37. Knuth, D. E. (1973). Computer science and mathematics. American Scientist, 61(6), 707-713. 

  38. Krishna, G. (2015). Best interface is no interface: The simple path to brilliant technology. San Francisco: New Riders. 

  39. Kuzweil, R. (2000). The age of spiritual machines: When computer exceed human intelligence. London, UK: Penguin. 

  40. Latour, B. (1991). Nous n'avons jamais ete modernes. 홍철기 (역) (2009). . 서울 : 갈무리. 

  41. Latour, B. (1997). On actor-network theory: A few clarifications plus more than a few complications. Retrieved from http://www.cours.fse.ulaval.ca/edc-65804/latour-clarifications.pdf 

  42. Latour, B. (2005). Reassembling the social: An introduction to actor-network-theo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3. Levy, S. (2010). How google's algorithm rules the web. WIRED, 18.03. Retrieved from http://www.wired.com/magazine/2010/02/ff_google_algorithm/ 

  44. Mackenzie, A. (2007). Protocols and the irreducible traces of embodiment: The viterbi algorithm and the mosaic of machine time. In R. Hassan & R. E. Purser (Eds.), 24/7: Time and Temporality in the Network Society (pp. 89-106).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45. Manovich, L. (2011). What is visualisation?. Visual Studies, 26(1), 36-49. 

  46. Manovich, L. (2013). Software Takes Command. New York & London & New Delhi & Sydeney: Bloomsbury. 

  47. McKitterick, W. (2016, 1, 4). Messaging apps are now bigger than social networks. Business Insider. Retrieved from http://www.businessinsider.com/the-messaging-app-report-2015-11 

  48. Montfort, N., & Bogost, I. (2009). Racing the Beam: The Atari Video Computer System. MA & London: The MIT Press. 

  49. Moor J. H. (2006). The natur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machine ethics. IEEE Intelligent Systems 21(4), 18-21. 

  50. Moravec, H. (1988). Mind Children: The Future of Robot and Human Intelligence. Cambridge &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박우석 (역) (2011). 마음의 아이들: 로봇과 인공지능의 미래. 파주: 김영사. 

  51. Ong, W. J. (1982). Orality and literacy: The technologizing of the word. 이기우.임명진 (역) (1997). . 서울: 문예출판사. 

  52. Stephens, M. (2007). A History of News (3rd Ed.). 이광재.이인희 (역) (2010).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53. Stiegler, B. (1998). Technics and Time, 1: The fault of Epimetheus (R. Beardsworth & G. Collins, Trans).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94) 

  54. Veruggio, G., & Operto, F. (2006). Roboethics: A bottom-up interdisciplinary discourse in the field of applied ethics in robotics. International Review of Information Ethics, 6, 3-8. 

  55. Wallach, W., & Allen, C. (2009). Moral machines: Teaching robots right from wrong. USA: Oxford University Press. 노태복 (역) (2014). . 서울: 메디치 

  56. Wrench, J. S., & Punyanunt-Carter, N. M.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ter-mediated-communication competence, apprehension, selfefficacy, perceived confidence, and social presence.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72(4), 355-378. 

  57. Yudkowsky, E. (2001). Creating friendly AI 1.0: The analysis and design of benevolent goal architectures. San Francisco, CA: The Singularity Institute.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