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초·중학생의 컴퓨터 활용 및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이 ICT 리터러시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omputer Use and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al Experiences on their ICT Literacy Levels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및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에 따른 ICT 리러터시 수준을 측정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도 초등학교 300개 학교의 4~6학년, 중학교 300개 학교의 1~3학년을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의 내용에는 능력요소와 내용요소이라는 두 가지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 중학교 모두에서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 및 학교 밖 컴퓨터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대체로 ICT 리터러시 수준이 높아지지만, 과도한 컴퓨터 활용은 오히려 ICT 리터러시 수준을 낮추는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초 중학교 모두에서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 시간이 많을수록, ICT 리터러시 수준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및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에 따른 ICT 리러터시 수준을 측정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도 초등학교 300개 학교의 4~6학년, 중학교 300개 학교의 1~3학년을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의 내용에는 능력요소와 내용요소이라는 두 가지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 중학교 모두에서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 및 학교 밖 컴퓨터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대체로 ICT 리터러시 수준이 높아지지만, 과도한 컴퓨터 활용은 오히려 ICT 리터러시 수준을 낮추는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초 중학교 모두에서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 시간이 많을수록, ICT 리터러시 수준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CT literacy by their computer use and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al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mplemented ICT literacy test for students in 300 elementary (4th~6th)- and 300 midd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CT literacy by their computer use and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al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mplemented ICT literacy test for students in 300 elementary (4th~6th)- and 300 middle(7th~9th) schools in 2015. The ICT literacy test was composed of two components of 'literacy ability elements' and 'literacy content elem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both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computer use at home' and 'computer outside school,' and their ICT literacy test scores, but their extreme computer use affected their ICT literacy test scores negatively. Second, in both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ir ICT literacy test sco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CT literacy by their computer use and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al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mplemented ICT literacy test for students in 300 elementary (4th~6th)- and 300 middle(7th~9th) schools in 2015. The ICT literacy test was composed of two components of 'literacy ability elements' and 'literacy content elem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both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computer use at home' and 'computer outside school,' and their ICT literacy test scores, but their extreme computer use affected their ICT literacy test scores negatively. Second, in both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ir ICT literacy test scor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컴퓨터 활용 정도가 ICT 리터러시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추론 가능하지만, 본 연구의 의의는 이러한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해 표집단위를 전국적 단위의 규모로 유층무선표집의 방법으로 실시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추후 ICT 교육 정책 연구에 반영할 수 있는 기초 연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단위의 ICT 리터러시 검사 도구들에 대해서 정리 및 분석을 시행하고, 검사문항을 재구성하여, ICT 리터러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컴퓨터 활용 빈도 관련 변인을 탐색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초·중학생들의 ICT 리터러시 수준에 미치는 컴퓨터 활용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 학교 밖 컴퓨터 이용 정도 및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에 따른 리터러시 능력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다양한 교육적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1.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에 따른 학생 집단의 ICT 리터러시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2. 학교 밖 컴퓨터 이용 정도에 따른 학생 집단의 ICT 리터러시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3.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에 따른 학생 집단의 ICT 리터러시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도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전체 문항수를 초등학교(기초(Core) 수준)과 중학교(발전(Advanced) 수준) 모두 기존에 개발된 36문항에서 30문항으로 축소하였다. 그리고 초중등교사 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위에서 제시된 6개 능력요소별로 적합한 문항수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또한,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기법을 통해 컴퓨터 교육 전공 교수 4명, 교육공학 전공 교수 1명, 컴퓨터 및 교육공학 관련 연구원 2명, 일선 학교 컴퓨터교과 담당 교사 2명를 포함한 총 9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고, 앞서 언급한 설문조사 결과와 종합하여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초중등교사 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위에서 제시된 6개 능력요소별로 적합한 문항수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또한,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기법을 통해 컴퓨터 교육 전공 교수 4명, 교육공학 전공 교수 1명, 컴퓨터 및 교육공학 관련 연구원 2명, 일선 학교 컴퓨터교과 담당 교사 2명를 포함한 총 9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고, 앞서 언급한 설문조사 결과와 종합하여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학교 밖 컴퓨터 이용 정도에 따른 초등학교의 리터러시 능력 차이 분석 결과는 [표 11]과 같다. 이를 위해, [표 10]에 나타난 7개의 영역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1.00~5.00의 범위를 가지는 연속변수를 산출하였다. 원 척도를 고려할 때 평균값이 1에 가까워질수록 컴퓨터 이용을 적게 한다는 것이며, 5에 가까울수록 매일 컴퓨터를 이용하는 편에 가까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상 데이터
먼저, 초등학교의 경우를 살펴보면, [6]에 따르면, ‘컴퓨터와 네트워크’, ‘정보처리’, ‘정보 사회와 윤리’를 포함한 3개의 내용 영역과 ‘문제의 인식’, ‘정보의 탐색’, ‘정보의 분석과 평가’, ‘정보의 조직과 창출’, ‘정보의 활용과 관리’, ‘정보의 소통’을 포함한 6개의 능력 요소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개발된 검사도구를 가지고, [2]는 3~4학년과 5~6학년을 구분하여 전국에 있는 총 31개 학교 3,461명을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내용영역에선 3~4학년, 5~6학년 모두에서 ‘정보처리’ 영역의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00개 학교의 4∼6학년, 중학교 역시 300개 학교의 1∼3학년을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검사를 시행하였다.
한편, ICT 리터러시 검사 실시를 위한 대상자는 학급 단위로 표집되었고, 초등학교는 13,866명, 중학교는 21,619명이 검사에 응답하였다. 결측치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분석대상에 포함된 학생 수는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13,802명이고, 중학교의 경우에는 21,474명이었다.
한편, ICT 리터러시 검사 실시를 위한 대상자는 학급 단위로 표집되었고, 초등학교는 13,866명, 중학교는 21,619명이 검사에 응답하였다. 결측치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분석대상에 포함된 학생 수는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13,802명이고, 중학교의 경우에는 21,474명이었다.
데이터처리
구체적으로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의 어느 급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중학교의 경우,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의 어느 급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성능/효과
첫째, ICT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ICT 리터러시 평가 영역은 유사하지만, 수준 차이를 고려하여 세부 요소에서는 다르게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내용영역에선 3~4학년, 5~6학년 모두에서 ‘정보처리’ 영역의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초등학생의 경우, 영재분야에 따라 내용 요소 중 ‘컴퓨터와 네트워크’, 정보사회와 윤리’, 능력요소 중 ‘문제의 인식’, ‘정보의 소통’에서 차이를 보였고, 중학생은 영재분야에 따라 ‘정보사회와 윤리’, ‘정보의 조직 및 창출’ 요소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11]은 ICT 활용 교육 실태에 대해서 국내와 국외인 캐나다의 경우를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인터넷 활용에 있어서 한국의 초등학생들은 상대적으로 게임 활동에 비중이 놓고, 캐나다 학생들은 과제 수행이 높게 나타났으며, 양국 학생 모두 채팅언어 및 이모티콘 활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학생들은 ICT 활용의 개선방안 측면에 있어서 실제적인 측면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캐나다의 학생들은 정보화 마인드 측면에 관심을 높게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인터넷 활용에 있어서 한국의 초등학생들은 상대적으로 게임 활동에 비중이 놓고, 캐나다 학생들은 과제 수행이 높게 나타났으며, 양국 학생 모두 채팅언어 및 이모티콘 활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학생들은 ICT 활용의 개선방안 측면에 있어서 실제적인 측면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캐나다의 학생들은 정보화 마인드 측면에 관심을 높게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도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전체 문항수를 초등학교(기초(Core) 수준)과 중학교(발전(Advanced) 수준) 모두 기존에 개발된 36문항에서 30문항으로 축소하였다. 그리고 초중등교사 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위에서 제시된 6개 능력요소별로 적합한 문항수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에 따른 초등학교의 리터러시 점수를 살펴보면, ‘주 1회 이상 일 1회 미만’으로 이용한다는 응답이 34.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 응답한 비율이 9.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에 따른 차이는 ‘정보의 활용 및 관리’ 능력요소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의 어느 급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5개의 컴퓨터 이용 정도 급 간에서 리터러시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학교의 경우,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의 어느 급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든 5개의 컴퓨터 이용 정도 급 간에서 리터러시 점수가 유의수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하지만, 초등학교에서는 ‘컴퓨터와 네트워크’ 내용요소에 있어서 컴퓨터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계속해서 리터러시 점수가 높아졌다. 또한, 컴퓨터 이용 정도에 따른 내용 요소별 리터러시 수준의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001 유의수준에서 유의하였으며, 사후 검정을 통해 전술한 내용요소별 특이점들이 컴퓨터 이용 정도와 리터러시 수준 간의 전반적인 관계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님을 확인하였다.
학교 밖 컴퓨터 이용 정도의 하위문항에 따른 학생분포를 살펴보면, 먼저 초등학교에서는 “문서 작성 및 편집”, “간단한 ‘슬라이드쇼’ 발표 자료 제작”, “학교 공부를 돕기 위해 만들어진 교육용 소프트웨어 사용”, “그리기, 색칠하기, 그래픽 작업 관련 소프트웨어 사용”에서 과반의 학생이 적어도 이러한 용도로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이용 정도가 “2.50 이상 3.50미만” 집단이 “3.50이상 4.50미만” 집단이나“4.50이상 5.00이하” 집단에 비해 리터러시 수준이 높게 나타나, 학교 밖 컴퓨터 이용 정도와 리터러시 수준의 관계가 무조건 정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음을 확인하였다.
초등학교에서 학교 밖 컴퓨터 이용 정도에 따른 리터러시 수준 차이를 확인한 결과, 컴퓨터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컴퓨터를 이용한 집단이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용 집단 내에서 빈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1.00이상 1.50미만” 집단과 “1.50이상 2.50미만” 집단에서 점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 학교 밖에서 컴퓨터를 어느 정도 이용하는 것이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것보다는 리터러시 능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887)이 가장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으며, ‘정보의 소통’이 가장 적은 차이를 보였다. 모든 능력요소에 대하여 집단 간 차이는 .001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 시간에 따른 리터러시 수준은 교육 시간의 급간에 관계없이 정적인 비례 관계를 나타냈다. 초등학교의 경우, 교육 시간이 많은 학생일수록 리터러시 점수가 높았으며, 구간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001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이 확인되었다. 예외적으로 11~30시간의 교육을 받은 집단과 31~50시간의 교육을 받은 집단 간의 리터러시 수준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그렇다고 전반적인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는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
중학교의 경우, 초등학교와 마찬가지로 교육 시간이 많은 학생일수록 리터러시 점수가 높았으며, 구간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001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이 확인되었다.
첫째,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의 경우, 초·중학교 모두에서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가 ‘일 1회 미만’까지 증가할 때, 리터러시 수준도 함께 증가하지만, 그 이상으로 이용 정도가 증가하면 오히려 리터러시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능력요소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에서, ‘문제의 인식’, ‘정보의 탐색’, ‘정보의 분석 및 평가’, ‘정보의 조직 및 창출’, ‘정보의 활용 및 관리’ 및 ‘정보의 소통’이라는 6개의 리터러시 능력 요소 모두에서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 시간이 많을수록, 능력요소별로 리터러시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과 관련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에서 ICT 리터러시 수준이 긍정적인 관계를 보인 것은 향후 소프트웨어(SW) 및 정보 관련 교육과 관련해서 단기적인 교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ICT 리터러시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장기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마스터플랜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내용요소별로 살펴보았을 때, 초등학교와 중학교 두 학교급 모두, ‘정보처리’, ‘컴퓨터와 네트워크’, ‘정보사회와 윤리’라는 3개의 내용 요소에서 정보(컴퓨터) 교육 시간이 많을수록 리터리시 수준도 함께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컴퓨터 이용 정도에 관해서는, 초등학교의 경우, 컴퓨터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 집단보다는 컴퓨터를 이용한 집단이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이용 집단 내에서 이용 정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학교의 경우, 컴퓨터를 매일 이용하는 집단이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는 집단보다 오히려 리터러시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에 관해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에서, 교육시간이 높을수록 리터러시 점수도 함께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컴퓨터 이용 정도와 관련하여 능력요소 및 내용요소 모두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교급별로 상이한 ICT 리터러시 수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세부적인 ICT 리터러시 요소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급별로 ICT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차별화 및 정교화에 더욱 주력을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속연구
컴퓨터 활용 정도가 ICT 리터러시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추론 가능하지만, 본 연구의 의의는 이러한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해 표집단위를 전국적 단위의 규모로 유층무선표집의 방법으로 실시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추후 ICT 교육 정책 연구에 반영할 수 있는 기초 연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단위의 ICT 리터러시 검사 도구들에 대해서 정리 및 분석을 시행하고, 검사문항을 재구성하여, ICT 리터러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컴퓨터 활용 빈도 관련 변인을 탐색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한편, 컴퓨터를 매일 이용하는 것에 가까운 “4.50이상 5.00이하” 집단의 점수가 컴퓨터를 거의 이용하지 않는“1.00이상 1.50미만” 집단을 제외한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것은 지나친 컴퓨터 이용이 리터러시 수준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중학교의 경우, 컴퓨터를 매일 이용하는 집단이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는 집단보다 오히려 리터러시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컴퓨터를 너무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에는 게임 등 학습 목적 이외의 변인들이 포함되어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심층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중학교의 경우에서도 과도한 학교 밖 컴퓨터 이용이 오히려 리터러시 향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C 방 등 게임 등의 학습 외 활동과 관련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ICT 리터러시 관련 연구와 사업에 대한 제안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내 컴퓨터 이용 및 학교 밖 컴퓨터 이용에 대해서 활용 빈도 및 활용 형태 그리고 활용 목적 등에 대해서 다각도로 분석하여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의 ICT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학교를 둘러싼 ICT 환경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지역사회와 연계한 ICT 리터러시 증진 프로그램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향후 추후 연구를 통해서 초·중학교뿐만 아니라,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의 ICT 리터러시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종단적으로 관리하여 연령 및 학교급의 증가에 따라 학생들이 적합한 ICT리터러시 관련 교육을 받는 시스템 및 관련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의 한계점은 학생들의 ICT 리터러시와 관련된 수행 정도를 이용 정도 수에 국한해서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이에 추후 연구를 통해 어떠한 목적으로 컴퓨터 이용을 활용했는지에 대해서 교차분석 등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인 추가분석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의 한계점은 학생들의 ICT 리터러시와 관련된 수행 정도를 이용 정도 수에 국한해서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이에 추후 연구를 통해 어떠한 목적으로 컴퓨터 이용을 활용했는지에 대해서 교차분석 등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인 추가분석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CT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측정 및 분석하는 과정은 누구에 의해 진행되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ICT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및 측정과 분석은 개별 연구자가 소규모로 진행하기에는 연구과정 및 결과의 신뢰도 및 타당도 면에서 연구의 한계점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ICT 리터러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측정 및 분석을 하는 과정들은 국가주도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대규모 연구기관에 의해서 중·장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1][2].
인공지능의 활용, 소프트웨어 관련 교육의 강조와 더불어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멀티미디어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초·중등교육에서 ICT를 활용한 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의 활용, 소프트웨어 관련 교육의 강조와 더불어 ICT를 활용한 교육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초·중등교육에서 ICT를 활용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사회적 배경은?
멀티미디어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초·중등교육에서 ICT를 활용한 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의 활용, 소프트웨어 관련 교육의 강조와 더불어 ICT를 활용한 교육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12)
김경성, 전우천, 김혜숙, 이수영, 김종훈, 곽현석, 서정희, 국가수준 초.중등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 평가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R 2010-10), 2010.
서순식, 민경석, 황경현, 장윤정, 김혜숙, "초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5권, 제3호, pp.193-220, 2009.
김용, 김자미, 김병욱, 이승진, 2012년 국가수준 초.중등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 평가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R 2012-10), 2012.
A. D. Ritzhaupt, F. Liu, K. Dawson, and A. E. Barron, "Differences in Stud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iteracy based on Socio-economic Status, Ethnicity, and Gender: Evidence of a Digital Divide in Florida School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Vol.45, No.4, pp.291-307, 201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