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텃밭활동의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중학생과 지역사회 주체의 인식차이
The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Community Concerns' Perception on Gardening Program to Protect School Bullying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3 no.3, 2016년, pp.257 - 270  

김경미 (농촌진흥청 도시농업과) ,  정순진 (농촌진흥청 도시농업과) ,  이상미 (농촌진흥청 도시농업과) ,  정선희 (농촌진흥청 도시농업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the usability of gardening program in a community for protection of school bullying at a middle school. The data collected from 640pers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ir parents, teachers, residents, NPO staffs for youth, active persons in urban a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향후 텃밭활동을 통해 가정-학교-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학교폭력 예방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학교폭력이 본격화되는 중학교와 그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텃밭활동이 학교폭력 예방에 기여하는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 주민 등 관련 주체들의 인식 차이와 관련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 변수와 중학생의 정서안정수준과 관련성을 부가적으로 확인하여 텃밭활동이 학교폭력 예방과 지역사회 협력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향후 텃밭활동을 통해 가정-학교-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학교폭력 예방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학교폭력이 본격화되는 중학교와 그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텃밭활동이 학교폭력 예방에 기여하는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 주민 등 관련 주체들의 인식 차이와 관련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 변수와 중학생의 정서안정수준과 관련성을 부가적으로 확인하여 텃밭활동이 학교폭력 예방과 지역사회 협력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지역사회 주체들(학생, 학부모, 교사, 주민, 기관단체 종사자, 도시농업 및 농업관계자)의 학교폭력 및 텃밭 활동에 대한 인식과 텃밭활동의 학교폭력 예방효과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가정-학교-지역사회 협력 프로그램으로서 텃밭활동 프로그램 참여 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향후 텃밭활동을 통해 가정-학교-지역사회가 함께하는 학교폭력 예방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학교폭력이 본격화되는 중학생과 지역사회 주체들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수원, 대구의 1개 중학교와 학생, 교사, 학부모, 주민, 기관단체 종사자, 도시농업·농업관계자 등 640명을 대상으로 텃밭활동이 학교폭력 예방에 기여하는 가에 대한 인식 차이와 관련 변수들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신이 필요로 할 때 주변사람으로부터 도움을 이용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을갖게 하는 사회적 지지가 의미하는 것은? 지역 사회가 협력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친밀한 관계가 중요하며,이웃과의 접촉사이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김대희 & 이채식, 2004; 박경철 & 김성수, 2001; 오해섭, 2008; 윤준상 & 최창욱, 1998; 최창욱, 김성수, 윤준상, & 박덕병, 1997). 자신이 필요로 할 때 주변사람으로부터 도움을 이용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을갖게 하는 사회적 지지는 가족, 친구 및 또래(동료)등과 같은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제공되는 긍정적인 자원을 의미한다(한지연, 2007). 지역사회에서 이와 같은 사회적 연결감은 사람들의 자아상태, 자아실현, 자기 존중감과 함께 심리적으로 행복함을 느끼게 하는 원천으로서 더욱 가치가 있다(김진완, 2015).
청소년이 경험하는 학교폭력의 해결과 지역 사회의 상관관계는? , 2015) 협력하여야 한다. 지역 사회가 협력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친밀한 관계가 중요하며,이웃과의 접촉사이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김대희 & 이채식, 2004; 박경철 & 김성수, 2001; 오해섭, 2008; 윤준상 & 최창욱, 1998; 최창욱, 김성수, 윤준상, & 박덕병, 1997). 자신이 필요로 할 때 주변사람으로부터 도움을 이용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을갖게 하는 사회적 지지는 가족, 친구 및 또래(동료)등과 같은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제공되는 긍정적인 자원을 의미한다(한지연, 2007).
청소년에게 적합한 체험활동으로는 어떤 게 있는가? 청소년에게 적합한 체험활동으로 교육부(2014)는 학생 발달단계를 고려한 생명존중의식 함양교육, 배려심 증진을 위한 체험 중심의 인성교육 등을 예로 들고 있으며, 교내 체육, 예술교육, 식물관찰, 숲 등 자연체험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지만, 그 중 학교텃밭은 농업체험을 통해 자연을 가깝게 느끼게 한다는 장점이 있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농림축산식품부, 2016b). 농림축산 식품부(2013; 2016a)에 따르면 도시농업 유형 중 학교교육형 텃밭은 2012년 2,700개 학교에서 45만 명이 참여했으나 2015년에는 3,934개 학교에서 64만 명이 참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강현주, & 노충래. (2012). 청소년 자아개념에 대한 지역 효과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 23(4), 101-129. 

  2. 강현주, & 신인순. (2015). 청소년 체험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지역사회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2(9), 25-48. 

  3. 교육과학기술부, & 농림수산식품부. (2012). 농어촌 체험을 통한 인성교육 실천을 위하여 교과부와 농식품부가 함께 나서다. 교육과학기술부, 농림수산식품부 보도자료. 

  4. 교육부. (2012).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 서울: 교육부. 

  5. 교육부. (2014), 제3차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 (2015-2019). 세종: 교육부. 

  6. 교육부. (2015). 2015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세종: 교육부. 

  7. 김경미, 문지혜, 정순진, & 이상미. (2013).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0, 909-936. 

  8. 김경식, 최성보, & 이현철. (2009). 사회적 자본과 학교적 응과의 관계-가족, 학교,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 25(2), 60-83. 

  9. 김대회, & 이채식. (2004).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지역 사회 생태적 접근. 농촌지도와 개발, 11(1), 161-174. 

  10. 김덕희. (2006). 중학교 학생들의 고민 실태에 관한 연구- 원주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미원. (2014). 중학생의 학교폭력과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세원. (2009). 지역사회 특성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28, 101-134. 

  13. 김영지, 방은령, 박정선, & 박경희. (2006).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 문제행동 대책.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 1-426. 

  14. 김옥순, & 신인순. (2013). 세계시민교육 참여 청소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연계형 창의적 체험활동의 일례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36(단일호), 8-28. 

  15. 김진완. (2015). 지역이벤트 체험이 사회적 연결감과 지역사회 애착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김태준, 현영섭, 변종임, & 이덕현. (2010), 사회지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3차년도) : 사회적 자본 효과 분석 및 체계적 지원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10-25-03. 

  17. 김혜원. (2013). 청소년 학교폭력: 이해 ${\cdot}$ 예방 ${\cdot}$ 개입을 위한 지침서. 서울: 학지사. 

  18. 남선미. (2003).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적용.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농림축산식품부. (2013). 제1차 도시농업 육성 5개년 계획 (2013-2017).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20. 농림축산식품부. (2016a). 2016년도 도시농업육성 시행 계획 .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21. 농림축산식품부. (2016b). 텃밭정원으로 떠나는 꿈틀 여행 : 꿈틀 어린이 텃밭학교 189일의 기록.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22. 박경철, & 김성수. (2001). 지역사회 친밀도의 최근 연구와 관련변인 고찰. 농촌지도와 개발, 8, 201-208. 

  23. 박성희, 김경수, 김기종, 남윤미, 이동갑, 이재용, & 장희화. (2013). 폭력 없는 평화로운 학교 만들기: 중학생을 위한 학교폭력 상담 . 서울: 학지사. 

  24. 박승곤, 김수정, & 문성호. (2013).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지역별 차이 분석. 청소년학연구, 20(4), 199-224. 

  25. 박진규. (2005). 학교 폭력과 지역사회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 12(4), 409-440. 

  26. 박진희. (2016).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요인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박현진, & 양혜원. (2013).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이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 15(1), 257-278. 

  28. 박효정, & 이희현. (2013). 학교폭력 실태조사 현황 및 개선방안: 조사 참여율제고 및 결과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개발원 이슈페이퍼 CP, 02-3. 

  29. 성은모, & 김균희. (2013).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 24(4), 177-202. 

  30. 손선옥, & 이봉주. (2015).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의 영향 요인: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성별차이. 청소년학연구 , 22(10), 1-26. 

  31. 송수정. (2014).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 우울의 보호요인 탐색. 한국청소년연구 , 25(1), 107-127. 

  32. 오병호, & 이상구. (2012). 지역사회에서 청소년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9(2), 231-252. 

  33. 오해섭. (2008). 지역사회 중심 청소년활동의 중요성과 청소년 역량강화 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5, 417-432. 

  34. 윤준상, & 최창욱. (1998). 지역사회주민의 지역사회 친밀도와 관련 변인. 농촌지도와 개발, 5, 113-122. 

  35. 이미나. (2013). 중학생의 학교폭력 실태 및 예방교육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정연순, 고재성, 강옥희, & 서정화. (2012). 지역사회 기반 중학생 직업체험 프로그램 개발. 직업교육연구, 31(1), 217-240. 

  37. 최영애. (2008). 원예치료 실행에서 식물 양육에 대한 이론적 모델: 나선모델과 애착이론에 기반하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최영창, 이채식, 이은영, & 김영애. (2013). 농심함양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의 농업 ${\cdot}$ 농촌에 대한 인식조사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 20(1), 205-233. 

  39. 최창욱, 김성수, 윤준상, & 박덕병. (1997). 지역사회친밀도에 관한 이론적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4, 317-327. 

  40. 한지연. (2007). 사회적지지, 학교참여(School Engagement)와 학교폭력과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함성기. (2015). 사회자본의 형성정도가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홍나미, & 박재연. (2014). 학교폭력 피해청소년과 가족 대상 실천적 지원방안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 16(2), 81-107. 

  43. 홍영란, 현영섭, & 김강호. (2009). 사회지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2차년도): 사회적 자본 수준 ${\cdot}$ 정책분석 및 교육투자 효율화 방안. 경제 ${\cdot}$ 인문사회 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09-27-03. 

  44. 홍진영. (2013). 중학생의 환경적 변인과 학교폭력경험간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 :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이론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Albayrak, S., Yildiz, A., & Erol, S. (2016). Assessing the effect of school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on reducing bullying.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63, 1-9. 

  46. Altun, S. A., & Baker, O. E. (2010). School violence: a qualitative case study.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2), 3165-3169. 

  47. Contreras, D., Elacqua, G., Martinez, M., & Miranda, A. (2015). Income inequality or performance gap? A multilevel study of school violence in 52 countrie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57(5), 545-552. 

  48. Dumitriu, C. (2013). School violence around the world: A social phenomenon.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92, 299-308. 

  49. Fisher, K., & Kettl, P. (2003).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17(2), 79-83. 

  50. Guitart, D. A., Pickering, C. M., & Byrne, J. A. (2014). Color me healthy: Food diversity in school community gardens in two rapidly urbanising Australian cities. Health & place, 26, 110-117. 

  51. Hassink, J., & Van Dijk, M. (2006). Farming for Health: Green-care farming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ol. 13).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2. Hazzard, E. L., Moreno, E., Beall, D. L., & Zidenberg-Cherr, S. (2011). Best practices models for implementing, sustaining, and using instructional school gardens in California.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3(5), 409-413. 

  53. Hazzard, E. L., Moreno, E., Beall, D. L., & Zidenberg-Cherr, S. (2012). Factors contributing to a school's decision to apply for the california instructional school garden program.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4(4), 379-383. 

  54. Jimenez-Barbero, J. A., Ruiz-Hernandez, J. A., Llor-Zaragoza, L., Perez-Garcia, M., & Llor-Esteban, B. (2016). Effectiveness of anti-bullying school programs: A meta-analysi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61, 165-175. 

  55. Laaksoharju, T., Rappe, E., & Kaivola, T. (2012). Garden affordances for social learning, play, and for building nature-child relationship.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1(2), 195-203. 

  56. Mertoglu, M. (2015). The Role of School Management i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82, 695-702. 

  57. Miller, S., Williams, J., Cutbush, S., Gibbs, D., Clinton-Sherrod, M., & Jones, S. (2015). Evaluation of the start strong initiative: preventing teen dating violence and promoting healthy 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56(2), S14-S19. 

  58. Turkum, A. S. (2011). Social supports preferred by the teachers when facing school violenc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3(5), 644-650.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