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텃밭의 지속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초등학교의 학교 텃밭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
A Sustainable Operation Plan for School Gardens - Based on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Garden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4, 2018년, pp.36 - 48  

최이진 (서울특별시농업기술센터) ,  이재정 (서울특별시농업기술센터) ,  조상태 (서울특별시농업기술센터) ,  장윤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허주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교 텃밭의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시내 599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문조사에 응답한 161개 학교 모두가 학교 텃밭을 조성 운영하고 있었다. 서울시 초 중 고 포함 학교 텃밭 면적은 $166,901m^2$, 평균 $131.2m^2$이고, 설문조사에 응답한 161개교의 학교 텃밭 면적은 $65,493m^2$, 평균 $363m^2$, 학생 1인당 $1.15m^2$로 조사되었다. 학교 자체적으로 조성 운영하는 경우는 11.8%, 학교 자체적으로 조성하여 운영하다가 기관 지원 사업을 통해 재조성 혹은 환경개선을 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50.3%로 조사되었다. 학교 텃밭은 조성위치에 따라 혼합형(교내 텃밭과 상자텃밭 조합)이 34.8%로 많았고, 교내 텃밭형이 32.9%, 상자 텃밭형이 29.2%, 교외 근린텃밭을 활용하는 교외 텃밭형 학교도 3.1%였다. 텃밭 운영 담당자는 담당교사가 51.6%로 가장 높았으며, 텃밭 조성 시에 함께 조성된 시설물은 소형 온실 농기구 보관함이 26.1%로 가장 많았으나, 별도의 기반시설이 함께 조성되지 않은 경우도 21.7%였다. 텃밭 운영에 있어서 어려운 점은 텃밭 관리가 34.2%로 가장 높았고, 텃밭의 지속적 운영을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로 물리적 환경 개선과 유급관리인 고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각 32%로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 텃밭 조성목적은 교육환경 조성(81.6%)이 가장 높았으며, 텃밭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주로 주변 자문(67.8%)을 통해서 얻고 있었다. 텃밭에서 발생하는 식물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퇴비화하는 학교는 45.8%였다. 학교 텃밭의 교육적 활용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매우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63.2%,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36.8%로 조사대상 학교 전체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텃밭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지속적인 운영방안으로 학교 실정에 맞는 텃밭조성 지원, 양질의 교육프로그램적용 및 교구개발, 담당교사 직무연수 확대, 전문 강사 지원방법 모색, 텃밭관리조직 운영의 필요성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rveyed 599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o provide measures for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sustainable opera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school garden. Of all schools, 161 schools had formed and were operating school gardens. The total area of school gardens was $166,901m^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초등학교 599개교 중 237개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텃밭 조성·운영 관리 및 교육적 활용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학교 텃밭의 지속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텃밭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주로 주변 자문을 통해서 얻고 있으며, 텃밭 관리의 어려운 점으로는 업무수행에 부담을 느낀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 전문지식이 부족하여 관리가 어렵다는 의견도 있었는데 텃밭 담당자 직무교육이 식물재배와 텃밭관리 중심으로 이루어지길 원했다. 또한 텃밭 운영․관리를 위해 물리적 환경 개선과 유급관리인 고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텃밭 교육이 정규교과와 연계된 수업은 전문 강사나 담임 교사에 의해 실과, 과학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연계된 경우가 많았다.
  • 본 연구는 서울시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일반사항, 텃밭 조성, 운영 및 관리, 교육활용 현황 등을 조사하여 학교 텃밭의 지속적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시농업 활성화로 학교 텃밭의 양적인 확대가 이루어졌는데, 교사와 학생, 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텃밭 관리 애로사항을 파악하여 내실 있게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을 가꾸는 활동은 어떤 교육적 효과가 있는가? 식물을 가꾸는 활동에서 교육적 효과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는 원동력을 만들어주는데, 학교 텃밭과 같은 식물환경이 양호한 학생들은 그렇지 못한 학교에서 생활 하는 학생들에 비하여 우울증 수준이 낮고, 자아존중감, 정서적 안정감, 대인관계, 인지능력, 인성발달과 안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다(Kim, 2009; Hong and Kim, 2017). 학교 텃밭 교육은 인지능력,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환경적으로 효과가 있는데, 텃밭 활동을 통해 새로운 지식과 식물재배 기술을 배우고 활용함으로써 창의성을 기를 수 있으며, 모둠별로 활동할 경우, 의사소통능력과 사회성이 발달하여 친구관계 개선에 도움이 된다(Lee et al.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옥상정원 모델의 특징은? 옥상텃밭은 조성 공간이 학교 옥상인 텃밭으로 상자텃밭의 한형태이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초등학교 어린이를 위한 교육용 옥상정원 모델을 개발하였는데 녹지부족으로 정원활동을 할수 없는 도심 초등학교 어린이들을 위하여 학교옥상에 설치할 수 있는 관리혼합형 정원으로 체험과 생태학습이 가능하도록정원과 텃밭이 혼합된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전국의 도시 초등학교에 설치하여 학생 및 교사가 교육활동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학교 텃밭에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게 필요한 이유는? 도시농업의 확산과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학교 텃밭의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교사와 학생, 학부모 요구도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개선하여 내실 있게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통해 학교 텃밭의 지속적 운영을 위한 방법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조성 초기 활발히 운영되었더라도 학교장이나 담당교사 교체 이후 소극적으로 변하거나 학교 텃밭 운영에 관한 경험과 지식이 없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학교 텃밭에 관한 연구는 텃밭 가꾸기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효과를 구명하는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보고되고 있는데, 운영 주체 대상 실태 관련 조사 및 운영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미비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rden, B. S. and R. K. Pringle(2010) How to Grow a School Garden: A Complete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Timber Press. 

  2. Ansan Urban Agricultural Coalition(AUAC)(2015) Survey on Education of School Garden in Ansan Area for Strengthening Hands-on Environmental Education. 

  3. Cotugna, N., C. K, Manning and J. Didomenico(2012) Impact of the use of produce grown in an elementary school garden of consumption of vegetables at school lunch. Journal of Hunger & Environ. Nutrition 7: 11-19. 

  4. Graham, H., D. L. Beall, M. Lussier, P. Mclaughlin and S. Zidenberg- Cherr(2005) Use of school gardens in academic instruction.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37(3): 147-151. 

  5. Hong, E. S. and J. H. Kim(2017) The effect of the school farm program on th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1): 163-186. 

  6. Jang, J. and C. H. Oh(2012) Needs analysis of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for eco-friendly school farm activation: Target of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Korea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0(3): 283-296. 

  7. Jang, J., K. Y. Lee and C. H. Oh(2011)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chool farm typ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21(2): 120-123. 

  8. Jang, Y. O., S. J. Jeong, K. S. Han, K. M. Kim, I. J. Choi and J. N. Heo(2017) Set up and rinning status of school gardening at elementary schools: Fosus on Jeollabuk-do. Korean Journal Community Living Science 28(4): 613-623. 

  9. Jeong, Y. O. and J. H. Lee(2013) The effect of the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sociality and friend re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6(3): 41-58. 

  10. Joo, B. S., S. A, Park and K. C. Son(2012) Improving work adjustment skills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using hydroponics program. Korea Journal Horticulture Science Technol 30(5): 586-595. 

  11. Jung, M. S. and G, H. Bang(2008) The effects of plant cultivation activities up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1(1): 37-61. 

  12. Jung, S. J., J. H. Moon, S. M. Lee and H. J. Jo(2013) Effects of inquiry activity through growing lettuce on science inquiry skills for five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20(4): 1023-1043. 

  13. Kim, H. J.(2013) Analysis of attitude changes of elementary students toward work through school garden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9(4): 103-127. 

  14. Kim, J. H.(2009) The effect of the plants eduction on th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5(4): 127-140. 

  15. Kim, K. R. and Y. O. Jeong(2008) The effect of vegetable gardening on socie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1(1): 153-165. 

  16. Kim, S. S., S. A. Park and K. C. Son(2012) School gardening program for improving social rel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 Journal Horticulture Science Technol 30(2): 175. 

  17. Kim, Y. J.(2014a) Influence of Construction and Use of School Garden in Elementary School on Recognition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Korea. 

  18. Kim, Y. K.(2014b) Analysis of Current Operational State of Vegetable Gardens by Elementary School and Plans for Activatio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pp. 21-22. 

  19.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2016)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2016.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Jincheon. 

  20. Kwack, H. R., S. W. Han and S. H. Kim(2007) Effect of integrative environmental program focused on horticultral topics to the environmental attitude and scholarl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3): 63-78. 

  21. Lee, M. J., J. S. Kim, W. Oh and J. S. Jang(2013) Effects of indoor horticultural activities on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concentr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 Journal Horticulture Science Technol 31(6): 821-827. 

  22. Lee, J. J., I. J. Choi, J. C. Joo, M. S. Kim, S. T. Cho, H. G. Son, Y. A. Jang, J. N. Heo and S. Y. Kim(2017a) Development of activity program with gardening experience improving peer relation problem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9(4): 1-17. 

  23. Lee, J. J., I. J. Choi and S. T. Cho(201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e elementary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3D printer. Journal of Agriculture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50(1): 231-248. 

  24. Lee, S. E., C. H. Oh and S. H. Lee(2017b) A study on the effect of school gardening program for the countermeasure of school violence. Proceedings of the KILA Conference, pp. 58-59. 

  25. Lee, S. W. and J. W. Kim(2014) Analysis of implementation case and investigation of educational effect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farming. Journal of Lea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1): 547-571. 

  2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2013) The 1st Five-year-plan for Growth of Urban Farming. A Report of MAFRA, Sejong. 

  2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2017) 2016 Urban Farming Status Report. MAFRA, Sejong. 

  28.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2018) The 2nd Five-year-plan for Growth of Urban Farming. A Report of MAFRA, Sejong. 

  29. Moon, J. H., S. M. Lee, S. J. Jung, Y. S. Lee, H. R. Kwack and Y. I. Song(2012) Effects of container vegetable gardening on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interest, social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elementary students. Journal Korean Society People Plants Environment 15(6): 421-428. 

  30. Oh, D. M. and Y. A. Choi(2006) Urban Agriculture which Comes out as Meeting with Nature and Heal the World. Hakjisa. 

  31. Park, J. W. and G. B. Ahn(2013)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urban farming researched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and tasks for the fu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3): 61-73. 

  32. Paek, K. W.(2012) A Environmental Education Plan Applying School Gardening in the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pp. 4-8. 

  3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Republic of Korea(2015) Garden and Urban Greening (The Textbook for Farming no. 206). RDA, Jeonju, pp. 107-114. 

  34.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MG)(2017) Department of Urban Farm: City Farm Status Report. SMG, Seoul. 

  3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MG)(2018) Department of Urban Farm: City Farm Status Report. SMG, Seoul. 

  36. Skelly, S. M. and J. C. Bradley(2000) The importance of school gardens as perceived by florida elementary school tachers. Horticulture Technology 10(1): 229-231. 

  37. Son, M. S., T. J. Suh and H. S. Kim(2015) Economic valuation methods to evaluate the progressive change in values of urban farming. Journal of the KRSA. 29(1): 67-84. 

  38. Yu, M., M. J. Lim and E. H. Lee(2012) The present condition investigation of use of school farming: Focus on Nowon-gu and Songpa-gu Area. Journal Korean Society People Plants Environment. 15(3): 179-1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