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심리욕구이론을 바탕으로 한 학교텃밭 활용 중학생 스트레스 조절 원예치료 모델(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orticultural Therapy Model Planning Based on Basic Psychological Need The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Stress Control Using School Garden -Focusing on Literature Review- 원문보기

교육녹색환경연구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v.19 no.3, 2020년, pp.11 - 25  

서한솔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이상미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윤형권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정영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홍인경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초록

본 논문은 '기본심리욕구이론을 바탕으로 한 학교텃밭 활용 중학생의 스트레스 조절 원예치료 모델(안)'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모델의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중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요구를 파악하여 프로그램 목적을 '스트레스 조절'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매개활동으로 학교텃밭을 활용하여 그 속에 스트레스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위한 원예적 중재를 제시하였다. 또한 관련된 문헌 분석을 통해 본 모델의 개념과 정의, 요소, 과정, 운영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sent the conceptual framework of a model a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control horticultural therapy model of middle school students utilizing the school garden based o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theory. By grasp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주제어

표/그림 (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애주기에 따른 발달특성에서 청소년기의 특징은? 생애주기에 따른 발달특성에서 청소년기는 13~20세까지로 급속한 신체적 변화에 따라 정서, 자아, 대인 관계, 이성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변화를 갖는 단계이다.1) 정신, 신체, 인지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급격한 변화를 맞는 청소년기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스트레스를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중학교 1학년은 초등학교와는 달리 높아진 통제와 규제 및 획일화된 학교생활, 학습량의 증가 등을 스트레스원으로 보고 있다.
스트레스에 적응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1) 정신, 신체, 인지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급격한 변화를 맞는 청소년기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스트레스를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중학교 1학년은 초등학교와는 달리 높아진 통제와 규제 및 획일화된 학교생활, 학습량의 증가 등을 스트레스원으로 보고 있다.2) 스트레스에 적응하지 못한 학생들은 우울, 강박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3) 청소년기일수록 스트레스에 대응, 조절하는 법이 미숙하여 여러 문제행동이 발생할 수 있다. 초기 청소년기의 문제행동은 초기에는 그 정도가 비교적 가벼워 적절한 치료가 가능하나 만약 문제가 방치될 경우 심각한 수준으로 발전해 비행이나 성인범죄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4) 청소년기 스트레스를 다룰 때에는 사후적이고 치료적인 접근이 아닌, 예방 적이고 발달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학교 내에서의 적절한 개입이 중요하다.
청소년기의 스트레스 조절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는 어떤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나? 5) 따라서 중학생이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보내게 되는 학교에서 청소년기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며, 학교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조절 프로그램개발 및 관련 연구들이 집단미술치료6), 집단음악치료7), 긍정심리치료8), 차생활문화교육9)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원예활동 프로그램 또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10) 본 연구의 대상지인 학교텃밭은 학교 내 텃밭에서 제 손으로 텃밭을 일구며 씨를 뿌리고, 물과 거름을 제공하여 기르고 수확하는 전 과정을 통해 식물의 생장과 필요한 요소, 수확에 대한 뿌듯함 등에 대해 이해하는 총체적 경험활동11)으로 생산, 교육, 휴식, 사회화, 환경조절, 치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효과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농촌진흥청 (2013). 사회복귀예정자를 위한 심리사회적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매뉴얼, 정원활동과 사회적 결과를 중심으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6. 14. 

  2. 농촌진흥청 (2016). 암암 괜찮아 괜찮고 말고, 암환자 회복관리를 위한 원예치료 매뉴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43. 

  3. 농촌진흥청 (2018). 사물모형 학교텃밭 디자인과 활용. 초판. 전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8. 

  4. 서정근, 이상미 (2004). 원예치료사를 위한 원예 치료 과정의 적용과 실제. 단국대학교출판부. 29. 32-33. 40-43. 55. 67. 69-70. 

  5. 손기철, 조문경, 송종은, 김수연, 이손선 (2006). 전문적 원예치료의 실제. 쿠북. 65-72. 77. 322. 

  6. 최영애 (2003). 원예치료. 학지사. 115-141. 

  7. 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 (2019). 원예치료사를 위한 원예치료와 복지원예. 초판. 서울. 부민문화사. 19-20. 35. 169. 

  8. 남소현, 김영희 (2000).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요인과 아동의 외면적 내면적 부적응행동. 대한가정학회, 38(10), 199-213. 

  9. 백순근, 함은혜, 이재열, 신효정, 유예림 (2007).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8(1), 47-69. 

  10. 위휘 (2005). 청소년 스트레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4(2), 129-138. 

  11. 이명희, 김아영 (2008).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22(4), 157-174. 

  12. 이상미, 서한솔, 채영, 장윤아, 장현진 (2018).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텃밭 조성 및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 인간식물환경학회, 36(별호2), 173-174. 

  13. 김아영 (2010). 자기결정성이론과 현장 적용 연구. 교육심리연구, 24(3), 583-609. 

  14. 한경희, 이상미, 서정근 (2008).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한집단원예치료 모델의 개념적 틀. 인간식물환경학회, 11(4), 53-64. 

  15. 황동국 (2017). 학교텃밭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실과교육연구, 23(4), 109-125. 

  16. 강성경 (2012). 난타를 활용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불안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강해련 (2008). 교사의 격려반응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권기 (1998). 집단보상 유무, 집단구성 유형 및 학습자의 선행학습 수준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권묘희 (2006). 여자 고등학교 농구코치의 지도행동과 자아유능감과의 관계.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권순홍 (2013).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및 일상적 스트레스와 안녕감 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김성실 (2013). 초등학생의 또래관계 및 또래지위 향상을 위한 학교 텃밭활동 프로그램.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김숙명 (2012). 긍정심리치료가 우울성향 중학생의 낙관성, 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김진 (2018).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 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김훈석 (2012). 정서적 성향과 자기유능감 및 심리적 주인의식과 조직결과변수간의 관계에서 일중독의 매개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나미연 (2011). 교사의 격려언어가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민경진 (2006).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영어 독해지도가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독해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박새와 (2012).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희망감 및 사회적지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배우리 (2018). 자유학기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변우영 (2005). 중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및 스트레스 요인에 과한 연구. 세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부지혜 (2012).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을 전.후한 협동학습 상황에서의 학습몰이 수준 비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신유정 (2010). 고등학생이 지각한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 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구조.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심은미 (1989). 아동의 유능감 지각이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윤혜정 (2005). 구조중심협동학습이 아동의 학습동기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이상미 (2006). 대상자별 원예치료의 효과와 수익접근법적 경제가치분석.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이영미 (2013). 차생활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및 학교폭력 행동과 학교생활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조혜령 (201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최연하 (2017).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소아청소년암 환자의 문제행동 및 주관적 기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한경희 (2009). 집단원예치료 모델 구성 및 적용.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9. 국립국어원. '과정'. 표준국어대사전. 2020년 7월 3일 검색, http://www.stdict.korean.go.kr 

  40. 농촌진흥청, 올 봄에는 정원에 과일 나무 심어보세요[전자자료]. (2019년 3월 21일). 정부24. 2020년 7월 14일 검색,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1809968 

  41. Deci, E. L., Ryan, R. M. (2002).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42. Dinkmeyer, D., Losoncy, L. (1996). The Skills of Encouragement. NY: St. Lucie Press. 

  43. Liebmann, M. (1986). Art therapt for groups, CromHelm, London. 

  44. Relf, D. (2006). Volunteers : Implementtion therapeutic horticulture or supporting horticultural therapy. 원예치료 국제 심포지엄 교재. 

  45. Ryan, R. M., Deci, E. L. (2017). Self-Determination Theory-Basic Psychological Needs in Motivation, Development, and Wellness. The Guilford Press. 

  46. Shoemaker, J. (1982). Systematic planning. Presentation at therapeutic horticulture Short Course, Kansas State University. 

  47.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48. American Horticultural Therapy Association(AHTA). 2020. http://www.ahta.or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