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검사 및 당화혈색소검사 수진 관련 요인
The Associated Factors with Utilization of Tests for Diabetes Complication and Hemoglobin A1c among Some Diabetes Patients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6 no.3, 2016년, pp.207 - 218  

손영은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류소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종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한미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구혜민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utilization of tests for diabetes complication and hemoglobin A1c (HbA1c) among diabetes patients in Jeollanam-do, Korea.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2,310 diabetes patients participated in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자는 2014년 전라남도 22개 시군에서 시행한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성인 당뇨병 환자에서 안저검사, 미세단백뇨검사 및 당화혈색소검사 수진 여부를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소인요인, 가능요인, 필요요인 영역으로 분류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당뇨병 유병률은 어느정도인가? 국내의 당뇨병 유병률은 2005년 남자 10.5%, 여자 7.7%에서 2013년에 남자 12.8%, 여자 9.1%로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으며[4],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은 인구 10만 명당 20.7명으로 사망원인 중 6위를 차지하고 있다[5].
당뇨병의 특징은? 당뇨병은 췌장의 인슐린 생성 감소 및 혈당 상승에 따른 췌장의적절한 호르몬 분비능력의 손상으로 고혈당이 발생하여, 그 결과로 심혈관질환, 실명, 말기 신부전, 하지 절단 및 입원 등의 원인이 되며, 암, 인지기능장애, 만성간질환, 관절질환 등의 치명적인 질환들과도 관련되어진다[1]. 2014년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유병률은 18세 이상의 성인의 9%를 차지하고 있고[2], 세계보건기구는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은 2030년까지 7번째 주요 원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3].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검사 및 당화혈색소검사 수진실태를 알아본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안저검사, 미세단백뇨검사, 당화혈색소검사 수진율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식 설문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해당 검사에 대한 인지가 없을 경우 검사 미수행으로 응답하여 실제 검사 수진 정도보다 낮게 측정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실질적으로환자가질병이나진료과정중에이루어지는검사에대한인식이 부족할 경우 검사 미인지로 인해 검사 수진율에서 제외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둘째, 당뇨병 유병기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유병기간에 따른 안저검사, 미세단백뇨검사, 당화혈색소검사 수진 정도를 비교해 보지 못한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지역사회건강조사는 평생 당뇨병 의사진단경험을 묻는 문항만 존재하여 당뇨병 1형과 2형을 구분하여 분석하지 못하였다. 넷째, 단면연구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건강행태, 당뇨병 관리 특성, 지역적 특성과 합병증검사 및 당화혈색소검사 수진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명확히 밝힐 수 없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대규모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당뇨병 환자의 당뇨병 안질환, 신장질환 합병증검사 및 당화혈색소검사의 관련 요인을 알아내어 당뇨병 환자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공할수있다는점에서의의가있다고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m WJ, Shim MS, Kim JY. Management of hyperglycemia in type 2 diabetes: a patient-centered approach developed b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nd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 J Korean Diabetes 2012;13(4):172-181. 

  2.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atus report on noncommunicable diseases 2014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ited 2015 Sep 24].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148114/1/9789241564854_eng.pdf?ua1. 

  3.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top 10 causes of death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ited 2015 Sep 24].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0/en/.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VI-1).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5.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14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5 Sep 2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 

  6.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4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Jisung Printing; 2015. 

  7. Jang SM. A study on family function being effected to self-care of diabetic patient. J Fam Welf 1999;4:243-263. 

  8.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care. Sec. 1. I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5. Diabetes Care 2015;38(Suppl 1):S5-S7. DOI: http://dx.doi.org/10.2337/dc15-S004. 

  9.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Research Group. The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of diabetes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long-term complications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N Engl J Med 1993;329(14):977-986. DOI: http://dx.doi.org/10.1056/nejm199309303291401. 

  10.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Intensive blood-glucose control with sulphonylureas or insul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 and risk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UKPDS 33). Lancet 1998;352(9131):837-853.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98)07019-6. 

  11. Taskforce Team for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07. 

  12.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Microvascular complications and foot care. Sec. 9. I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5. Diabetes Care 2015;38(Suppl 1):S58-S66. DOI: http://dx.doi.org/10.2337/dc15-S012. 

  1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ardiovascular disease and risk management. Sec. 8. I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5. Diabetes Care 2015;38(Suppl 1):S49-S57. DOI: http://dx.doi.org/10.2337/dc15-S011. 

  14. Cowie CC, Rust KF, Byrd-Holt DD, Eberhardt MS, Flegal KM, Engelgau MM, et al. Prevalence of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in adults in the U.S. populatio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2. Diabetes Care 2006;29(6):1263-1268. DOI: http://dx.doi.org/10.2337/dc06-0062. 

  15. Khattab M, Khader YS, Al-Khawaldeh A, Ajlouni K.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 Diabetes Complications 2010;24(2):84-89. DOI: http://dx.doi.org/10.1016/j.jdiacomp.2008.12.008. 

  16. Armesto SG, Lapetra ML, Wei L, Kelley E. 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project 2006 data collection update report: OECD Health Working Papers No. 29.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7. DOI: http://dx.doi.org/10.1787/058047614770. 

  17. Nicolucci A, Greenfield S, Mattke S. Selecting indicators for the quality of diabetes care at the health systems level in OECD countries. Int J Qual Health Care 2006;18 Suppl 1:26-30. DOI: http://dx.doi.org/10.1093/intqhc/mzl023.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tatistical report on 2008-2014 community health survey.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19. Choi HJ, Na BJ, Chun SA. Factors related to fundus examination in diabetes mellitus patients.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10;20(1):125-136. DOI: http://dx.doi.org/10.4332/kjhpa.2010.20.1.125. 

  20. Lim HT, Choi KS. Factors associated with screening for diabetic retinopathy in diabetic patients aged > or 40 years using the KNHANES IV.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4):516-521. DOI: Korean. http://dx.doi.org/10.3341/jkos.2012.53.4.516. 

  21. Shin KH, Chi MJ. Fundus examination rate in diabetics and the public health factors associated with fundus examination rate.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9):1319-1325. DOI: http://dx.doi.org/10.3341/jkos.2009.50.9.1319. 

  22. Hong JS, Kang HC, Kim JY. The Variation of HbA1c examination performance rates among diabetic patients using ambulatory care in South Korea.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9;19(1):49-61. DOI: http://dx.doi.org/10.4332/kjhpa.2009.19.1.049. 

  23. Kim YT, Choi BY, Lee KO, Kim H, Chun JH, Kim SY, et al. Overview of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J Korean Med Assoc 2012;55(1):74-83.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2.55.1.74. 

  24.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eoul: Gyechuk Munwhasa; 2013. 

  25. Enforcement Regulation on the Education in Island and Remote Areas, Law No. 40 (Jul 9, 2014). 

  26. Gill T. Epidemiology and health impact of obesity: an Asia Pacific perspective. Asia Pac J Clin Nutr 2006;15 Suppl:3-14. 

  27.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quality of Korea's medical repor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28. Shin HC, Kang JY, Park WS, Kim SA. Health status and medical utilization of women in rural area.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09;34(1):67-75. DOI: http://dx.doi.org/10.5393/jamch.2009.34.1.067. 

  29. Choi SH, Cho YT. Sex differentials in the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by marital status. Korea J Popul Stud 2006;29(2):143-166. 

  30. Yu SH, Cho WH, Park CY, Lee MK. Health care utilization and its determinants among island inhabitants. Korean J Prev Med 1987;20(2):287-300. 

  31. Cho YH. A status on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health services of primary health care post of islands in Jeollanam province. J Korean Isl 2015;27(4):73-88. 

  32. Kang SH, Choi SH. Group classification on management behavior of diabetic mellitus. J Korea Acad Ind Coop Soc 2011;12(2):765-77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2.7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