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근무 의사의 업무 참여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Participation on Intention to Leave among Physicians Working in Public Health Center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6 no.3, 2016년, pp.219 - 225  

송현종 (상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조형원 (상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이석구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현경 (서울시건강증진사업지원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Intention to leave was an important managerial issue among physicians working in public health cen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articipations and intention to leave among physicians working in health centers. Methods: A cross-sectional question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건소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는 방문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Park 과 Oh [16]의 연구가 발표되었으나 보건소를 비롯하여 공공보건기관에 근무하는 의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 근무 의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업무 참여 정도를 중심으로 규명하여 공공보건기관의 인력 배치와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보건소에 근무하는 의사들의 이직의도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업무 참여 정도가 보건소 근무 의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업무 참여 정도를 독립변수로 모델을 두 가지로 구성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다중회귀분석모델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다중공선성은 발생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소에 근무하는 의사 소장의 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것인가? 보건소에 근무하는 의사 소장의 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2003년에는 116명이었던 의무직 소장은 2014년 101명으로, 100명이었던 의무직 의사는 70명으로 줄어들었다[3]. 이러한 통계는 보건소에 의사 인력의 진입이 어려워졌음과 동시에 보건소에 근무하는 의사들의 이직이 증가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보건소 근무 의사의 이직률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자료는 발표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상황을 파악할 수 없으나 2008년 발표된 지역거점 공공병원 의사의 이직률이 간호사의 9.
보건소의 역할은 무엇인가? 보건소는 감염병, 결핵관리, 가족계획, 예방접종 등의 단순업무에서 지역보건법, 건강증진법 및 정신보건법 등의 제정 이후 전체 지역보건의료사업에 대한 기획업무까지 수행하게 되었다. 보건소가 지역보건의 중추기관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양질의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보건소가 지역보건의 중추기관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보건소는 감염병, 결핵관리, 가족계획, 예방접종 등의 단순업무에서 지역보건법, 건강증진법 및 정신보건법 등의 제정 이후 전체 지역보건의료사업에 대한 기획업무까지 수행하게 되었다. 보건소가 지역보건의 중추기관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양질의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지역보건법 시행규칙에는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 간호사, 약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영양사 등 다양한 직종의 인력에 대한 보건소의최소배치기준을명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Yoon S, Seo H, Park YH. Creation of a central public healthcare human resources management department to coordinate existing agencies.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12;22(4):703-710. DOI: http://dx.doi.org/10.4332/kjhpa.2012.22.4.703. 

  2. Lim SM, Seo KH, Kim HK, Park YH. A survey of physicians working in a community health center. J Korean Med Assoc 2012;55(2):174-186.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2.55.2.174.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 book.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4. Lee SH, Yoo SJ, Moon JJ, Ko YK, Kim BJ, Kim YM, et al. Report on management evaluation of regional hub public hospitals.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8. 

  5. Heponiemi T, Kouvonen A, Vanska J, Halila H, Sinervo T, Kivimaki M, et al. Health, psychosocial factors and retirement intentions among Finnish physicians. Occup Med (Lond) 2008;58(6):406-412. DOI: http://dx.doi.org/10.1093/occmed/kqn064. 

  6. Hann M, Reeves D, Sibbald B.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intentions to leave family practice and actually leaving among family physicians in England. Eur J Public Health 2011;21(4):499-503. DOI: http://dx.doi.org/10.1093/eurpub/ckq005. 

  7. Zhang Y, Feng X.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physicians from urban state-owned medical institutions in Hubei,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BMC Health Serv Res 2011;11:235. DOI: http://dx.doi.org/10.1186/1472-6963-11-235. 

  8. Seo Y, Ko J. Determinants of intent to leaver among physician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after separation program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2;12(4):68-90. DOI: http://dx.doi.org/10.4332/kjhpa.2002.12.4.068. 

  9. Kankaanranta T, Nummi T, Vainiomaki J, Halila H, Hyppola H, Isokoski M, et al. The role of job satisfaction, job dissatisfaction and demographic factors on physicians' intentions to switch work sector from public to private. Health Policy 2007;83(1):50-64. DOI: http://dx.doi.org/10.1016/j.healthpol.2006.11.010. 

  10. Fang P, Liu X, Huang L, Zhang X, Fang Z. Factors that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nese village doctors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Xiangyang City in Hubei Province. Int J Equity Health 2014;13:84. DOI: http://dx.doi.org/10.1186/s12939-014-0084-4. 

  11. Hwang JI, Chang H. Work climate percep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hospital staff. Int Nurs Rev 2009;56(1):73-80. DOI: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08.00641.x. 

  12. Moon SJ, Han SS. A predictive model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Korea. J Korean Acad Nurs 2011;41(5):633-641.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1.41.5.633. 

  13. Im SB, Cho MK, Heo ML. Factors to affect turnover intention of nurse: focusing on personal, situational and interpersonal relation variable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3;22(4):314-323.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4.314. 

  14. Hwang YS, Kang KH. Factors influencing nurse turnover intention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J Korean Acad Nurs Adm 2014;20(5):576-586.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5.576. 

  15. Yeun E, Kwon Y, Jeon M, An J. Factors influencing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a cross-sectional survey. J Korean Contents Assoc 2016;16(1):94-106.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1.094. 

  16. Park J, Oh Y.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customized home health care nurse.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4;39(2):94-103. DOI: http://dx.doi.org/10.5393/jamch.2014.39.2.094. 

  17. Shin D, Seo Y. The determinants of intent to leave of hospital pharmacists.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2;12(3):36-53. DOI: http://dx.doi.org/10.4332/kjhpa.2002.12.3.036. 

  18. Oh J, Seo Y, Park H. Determinants of intent to leave among workers at long-term care institutions. Korean J Health Serv Manag 2012;6(1):87-103. DOI: http://dx.doi.org/10.12811/kshsm.2012.6.1.087. 

  19. Lee K, Lee J, Kim JS, Hwang T, Sofn H, Kim C. The medical doctors' opinion of public health center on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medical doctor for public health sector. J Agri Med Community Health 2009;34(3):303-315. DOI: http://dx.doi.org/10.5393/jamch.2009.34.3.303. 

  20. Sibbald B, Bojke C, Gravelle H. National survey of job satisfaction and retirement intentions among general practitioners in England. BMJ 2003;326(7379):22. DOI: http://dx.doi.org/10.1136/bmj.326.7379.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