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In recent years, adjuvants have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owing to the development of purified subunit and synthetic vaccines which are poor immunogens and require additional adjuvants to evoke an immune response. Therefore, immunologic adjuvants have been developed and tested. Pl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회 (1일과 15일) 복강 투여하여 항체 생성을 유도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하였고 혈액에서의 antigen specific IgG antibody response 검정은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이용하였다.
  •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황기 지상부 다당체를 백신과 병용 처리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고 황기 지상부 다당체의 백신보조 효능을 평가하였다. 6주령의 암컷 ICR 생쥐를 1주일간 순화시킨 다음 모두 6개의 군으로 나누어 PBS만 투여한 정상대조군 (saline), 백신만 단독으로 투여한 대조군 (Vac), 백신과 3단계의 농도로 황기 지상부 다당체를 함께 투여 한 군 (Vac+ AMA) 및 백신과 백신보조제 양성대조물질 aluminium hydroxide gel을 함께 투여한 군 (Vac + Alum)으로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cell/well까지 배양하였다. ConA (final concentration 5 ㎍/㎖), LPS (final concentration 10 ㎍/㎖), OVA (final concentration 10 ㎍/㎖)를 배지에 첨가하여 최종 부피가 200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Plate를 다시 37℃에서 5% CO2 조건으로 배양하고 68시간 후에 50 ㎕의 MTT solution을 (2 ㎎/㎖) 각각의 well에 첨가하여 처리하고 다시 각 well에 200 ㎕의 DMSO working solution (192 ㎕ DMSO + 8 ㎕ 1 N HCl)를 첨가하고 ELISA reader (VICTORTMX3, PerkinElmer, Waltham, MA, USA)를 이용하여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얻어진 흡광도를 이용하여 stimulation idex (SI)를 산출하였다.
  • Effect of polysaccharides from aboveground par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AMA) on mitogen- and OVA-stimulated splenocyte proliferation in vivo. Groups of five male ICR mice were immunized with OVA 100 ㎍ alone or with OVA 100 ㎍ dissolved in saline containing Alum (200 ㎍), QuilA (10 and 20 ㎍) or AMA (10, 20, 50, 100 or 200 ㎍) on day 1 and 15. Splenocytes were prepared 2 weeks after the last immunization and cultured with ConA, LPS, or OVA or RPMI1640 for 72 h.
  • 5% FBS/PBS를 well에 첨가한 후 plate를 다시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고 다시 3회 세척하였다. IgG, IgG1 및 IgG2b에 대한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antibody를 well에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척 후에 peroxidase activity를 측정하였다.
  • 백신과 황기 지상부 다당체의 병용처리를 통해 면역반응이 유도된 mice를 희생하여 비장세포를 분리하고 RBC lysing buffer로 적혈구를 제거 하였다. LPS나 ConA를 처리하지 않고 complete medium 만 첨가한 무처리 (RPMI1640)와 ConA(final concentration 5 ㎍/㎖) 및 LPS (final concentration 10 ㎍/㎖)를 처리하여 비장세포 증식을 유도하였다. 비장세포의 배양 및 처리 증식률 검정은 황기 지상부 다당체의 면역증강 활성 검정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처리구마다 MTT assay 이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 Murine macrophage cell (RAW 264.7)에 대한 황기 지상부 다당체를 처리하고 MTT assay를 실시하여 세포 활성화 정도를 비교하고 cytokinine인 TNF-α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OVA-specific serum antibody response 검정 (IgG, IgG1, IgG2b antibody levels)은 혈액에서의 rabbit anti-mouse IgG peroxidase conjugate와 goat anti-mouse IgG1 and IgG2b peroxidase conjugate를 이용하고 간접적 ELISA 분석을 수행하여 검정하였다.
  • ConA (final concentration 5 ㎍/㎖), LPS (final concentration 10 ㎍/㎖), OVA (final concentration 10 ㎍/㎖)를 배지에 첨가하여 최종 부피가 200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Plate를 다시 37℃에서 5% CO2 조건으로 배양하고 68시간 후에 50 ㎕의 MTT solution을 (2 ㎎/㎖) 각각의 well에 첨가하여 처리하고 다시 각 well에 200 ㎕의 DMSO working solution (192 ㎕ DMSO + 8 ㎕ 1 N HCl)를 첨가하고 ELISA reader (VICTORTMX3, PerkinElmer, Waltham, MA, USA)를 이용하여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얻어진 흡광도를 이용하여 stimulation idex (SI)를 산출하였다.
  •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goat antimouse IgG1, IgG2a, IgG2b peroxidase conjugate는 Southern Biotechnology Associates사 (Birmingham, AL, USA)에서, cytokine (IL-4, IFN-γ, TNF-α, total IgG) detecting ELISA kits는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fetal bovine serum (FBS), phophate buffer salin(PBS), penicillin, streptomyc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은 Gibco BRL사 (Grand Island, NY,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QuilA (Superfos Biosector, Vedbaek, Denmark), alhydrogel adjuvant 2% (Alum, InvivoGen, San Diego, CA, USA)를 백신보조 활성 대조구로 상용 장티프스 예방백신인 typhoid vaccine (purified Vi capsular polysaccharide of Salmonella typhi, Zerotyph inj., Boryung biopharma Co., Ltd., Seoul, Korea)을 사용하여 백신보조효과를 검정하였다.
  • 각 군은 OVA (ovalbumin) 100 ㎍/㎖ 단독, OVA 100 ㎍/㎖ + aluminum hydroxide gel(Alum, 200 ㎍), OVA 100 ㎍/㎖ + QuilA (10, 20 ㎍), 100 ㎍/㎖의 OVA과 황기 지상부 다당체 solution (50, 100, 200 ㎍/㎖)의 병용처리로 나누어 실험시작 1일차와 15일차에 2회 면역반응을 유도하였다. Saline 만을 단독 처리한 실험동물을 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각 처리구에서 면역반응 유도는 2주 후에 발현하였고 2주 후에 splenocyte proliferation 및 ovalbumin 특히 항체를 측정하였다.
  • 면역반응 유도는 6주령의 ICR mice를 8군으로 나누고 각 군은 5마리로 구성하였다. 각 군은 OVA (ovalbumin) 100 ㎍/㎖ 단독, OVA 100 ㎍/㎖ + aluminum hydroxide gel(Alum, 200 ㎍), OVA 100 ㎍/㎖ + QuilA (10, 20 ㎍), 100 ㎍/㎖의 OVA과 황기 지상부 다당체 solution (50, 100, 200 ㎍/㎖)의 병용처리로 나누어 실험시작 1일차와 15일차에 2회 면역반응을 유도하였다. Saline 만을 단독 처리한 실험동물을 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각 처리구에서 면역반응 유도는 2주 후에 발현하였고 2주 후에 splenocyte proliferation 및 ovalbumin 특히 항체를 측정하였다.
  • 각 처리군에서의 면역 유도된 mice를 대상으로 splenocyte proliferation 측정은 무균상태에서 HBSS를 첨가하여 면역유도된 mice의 비장을 적출하고 steel mesh를 통과시켜 균질화된 세포 suspension을 얻었고 여기에 다시 ammonium chloride (0.8%, w/v)를 처리하여 erythrocyte를 분해시켰다. 얻어진 세포 부유물을 원심분리 (380 × g, 4℃, 10 min)하였고 형성된 pellet을 PBS로 3회 세척하고 complete medium {RPMI1640 배지에 12 mM HEPES (pH 7.
  • 5㎖ (5, 10, 25, 50, 100, 250, 500, 1,000㎍/㎖)를 첨가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 한 후 다시 원심분리 (70 × g, 10 min)하고 상층액을 취하여 free hemoglobulin의 양을 UV-VIS spectrophotometer (412 ㎚, UV-1650, Shimadzu, Kyoto, Japan)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대조구로 saline solution은 최소 hemolytic control로 사용하고 멸균수를 최대 hemolytic control로 사용하여 saline control에 대한 각 처리구의 hemolytic 비율을 계산하였다.
  •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황기 지상부 다당체를 백신과 병용 처리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고 황기 지상부 다당체의 백신보조 효능을 평가하였다. 6주령의 암컷 ICR 생쥐를 1주일간 순화시킨 다음 모두 6개의 군으로 나누어 PBS만 투여한 정상대조군 (saline), 백신만 단독으로 투여한 대조군 (Vac), 백신과 3단계의 농도로 황기 지상부 다당체를 함께 투여 한 군 (Vac+ AMA) 및 백신과 백신보조제 양성대조물질 aluminium hydroxide gel을 함께 투여한 군 (Vac + Alum)으로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최근 백신의 용도 및 활용이 감염성 질환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암과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난치성 질환으로 넓혀지고 있어 백신 개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adjuvant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면역증가효과 높고 면역조절제로 반응이 높은 황기 지상부 다당체가 면역조절제 및 백신보조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 ovalumin에 의해서 면역유도된 ICR mice에서 황기의 지상부의 열수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다당체 분획의 면역보조효과를 검정하고 ICR mice를 대상으로 장티프스에 대한 typhoid vaccine (purified Vi capsular polysaccharide of Salmonella typhi)을 적용하고 황기 지상부 다당체를 병용 처리함으로써 백신보조효과를 검정하였다.
  •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splenocyte(5 × 106 cell/well)를 ConA (4 ㎍/㎖)가 첨가된 24 well plate에서 5% CO2, 37℃로 배양하고 48시간 후에 원심분리(1,000 × g, 10 min)하고 상층액을 대상으로 ELISA kit를 이용하여 IFN-γ 및 IL-4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 백신과 황기 지상부 다당체의 병용처리를 통해 면역반응이 유도된 mice를 희생하여 비장세포를 분리하고 RBC lysing buffer로 적혈구를 제거 하였다. LPS나 ConA를 처리하지 않고 complete medium 만 첨가한 무처리 (RPMI1640)와 ConA(final concentration 5 ㎍/㎖) 및 LPS (final concentration 10 ㎍/㎖)를 처리하여 비장세포 증식을 유도하였다.
  • 백신은 마우스 한 마리당 5 ㎍으로, 황기 지상부 다당체는 마우스 당 각각 50, 100, 200 ㎍, Alum은 200 ㎍을 1일 (첫번째 주입), 15일 (두번째 주입)에 2회 복강 투여하여 항체 생성을 유도하였으며 대조군은 동일량의 PBS를 투여하였다. 첫 번째 주입 이후 15일간 적응기간을 거친 후 booster 효과를 위하여 동량을 주입하였다.
  • LPS나 ConA를 처리하지 않고 complete medium 만 첨가한 무처리 (RPMI1640)와 ConA(final concentration 5 ㎍/㎖) 및 LPS (final concentration 10 ㎍/㎖)를 처리하여 비장세포 증식을 유도하였다. 비장세포의 배양 및 처리 증식률 검정은 황기 지상부 다당체의 면역증강 활성 검정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처리구마다 MTT assay 이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 세포 증식률 측정은 RAW 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서 각각 2 × 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황기 지상부 다당체를 다양한 농도 (50, 100, 200 ㎍/㎖)로 saline으로 희석하여 첨가 하고 5% CO2, 37℃로 배양하였다.
  • 얻어진 세포 부유물을 원심분리 (380 × g, 4℃, 10 min)하였고 형성된 pellet을 PBS로 3회 세척하고 complete medium {RPMI1640 배지에 12 mM HEPES (pH 7.1), 0.05 mM 2-mercaptoethanol, 100 IU/㎖ penicillin, 100 g/㎖ streptomycin, 10% FBS}에 재현탁하였다.
  • 23) 다당체를 얻기 위하여 지상부 1 ㎏에 대해 20배 부피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2회 가열 추출하고 추출액을 합하여 여과 및 감압농축하고 농축된 양의 5배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키고 남은 침전물을 대상으로 4℃에서 30분간 7,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과 잔사로 분리하였다. 잔사를 다시 동결 건조하여 다당체 분획을 획득하였다 (AMA, 19.42 g, 수율; 1.942%).
  • 백신은 마우스 한 마리당 5 ㎍으로, 황기 지상부 다당체는 마우스 당 각각 50, 100, 200 ㎍, Alum은 200 ㎍을 1일 (첫번째 주입), 15일 (두번째 주입)에 2회 복강 투여하여 항체 생성을 유도하였으며 대조군은 동일량의 PBS를 투여하였다. 첫 번째 주입 이후 15일간 적응기간을 거친 후 booster 효과를 위하여 동량을 주입하였다. 두 번째 주입 2주 후에 마우스의 복대정맥에서 혈액 약 3 ㎖를 채취하여 SST튜브에 넣어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얻은 뒤 −70℃에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 혈액 7 ㎖을 saline solution (0.89% w/v NaCl, pyrogen free)으로 세척하고 원심분리 (180 × g, 5 min)하여 saline solution이 0.5%가 되도록 cell suspension pellet을 제조하고 cell suspension pellet 0.5 ㎖에 황기 지상부 다당체 solution 각 0.5㎖ (5, 10, 25, 50, 100, 250, 500, 1,000㎍/㎖)를 첨가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 한 후 다시 원심분리 (70 × g, 10 min)하고 상층액을 취하여 free hemoglobulin의 양을 UV-VIS spectrophotometer (412 ㎚, UV-1650, Shimadzu, Kyoto, Japan)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 2)을 첨가하고 다시 상온에서 약 10분간 배양하고 50 ㎕ 2 ㏖/ℓ의 H2SO4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흡광도 (optical density)를 ELISA reader (VICTORTMX3, PerkinElmer, Waltham, MA, USA)를 이용하여 450 ㎚에서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Griess reagent, RBC lysing buffer, concanavalin A(ConA), lipopolysaccharide (LPS), RPMI1640 배지,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HBSS), rabbit anti-mouse IgG peroxidase conjugate는 시그마사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goat antimouse IgG1, IgG2a, IgG2b peroxidase conjugate는 Southern Biotechnology Associates사 (Birmingham, AL, USA)에서, cytokine (IL-4, IFN-γ, TNF-α, total IgG) detecting ELISA kits는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fetal bovine serum (FBS), phophate buffer salin(PBS), penicillin, streptomyc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은 Gibco BRL사 (Grand Island, NY,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6주령의 암컷 ICR 생쥐를 대한 바이오 링크 (Daehan Biolink Co., Ltd., Eumseong, Korea)에서 2013년 6월 4일에 입수하여 SPF 실험동물실내 사육실에서 온도 23 ± 3℃, 상대습도 50 ± 20%를 유지하여 자동 명암 사이클 시스템에서 사육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 7)에 대한 황기 지상부 다당체를 처리하고 MTT assay를 실시하여 세포 활성화 정도를 비교하고 cytokinine인 TNF-α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식세포는 mouse macrophage 종류의 배양세포 RAW 264.7세포를 사용하였으며, 2 - 3일 마다 계대를 실시하였으며 5% dimethylsulfoxide (DMSO)를 혼합한 배양액에 희석 시킨 세포를 동용 바이알에 넣어 액체질소에 보관하였다. 배양은 RAW 264.
  • 면역반응 유도는 6주령의 ICR mice를 8군으로 나누고 각 군은 5마리로 구성하였다. 각 군은 OVA (ovalbumin) 100 ㎍/㎖ 단독, OVA 100 ㎍/㎖ + aluminum hydroxide gel(Alum, 200 ㎍), OVA 100 ㎍/㎖ + QuilA (10, 20 ㎍), 100 ㎍/㎖의 OVA과 황기 지상부 다당체 solution (50, 100, 200 ㎍/㎖)의 병용처리로 나누어 실험시작 1일차와 15일차에 2회 면역반응을 유도하였다.
  •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지상부는 정선군 농업기술센터 포장에 재배되어 있는 3 년생 막협황기의 지상부를 채취 하여 사용하였으며 (2012. 7. 23) 다당체를 얻기 위하여 지상부 1 ㎏에 대해 20배 부피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2회 가열 추출하고 추출액을 합하여 여과 및 감압농축하고 농축된 양의 5배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키고 남은 침전물을 대상으로 4℃에서 30분간 7,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과 잔사로 분리하였다. 잔사를 다시 동결 건조하여 다당체 분획을 획득하였다 (AMA, 19.
  • 황기 지상부 다당체의 hemolytic activity 측정은 토끼(Newzealand rabbit, Daehan Biolink Co., Ltd., Eumseong, Korea)으로부터 BD VacutainerTM (NH 143 I. U., Belliver Industrial Estate, Plymouth, England)를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혈액 7 ㎖을 saline solution (0.

데이터처리

  • 모든 실험결과들은 평균치 ± 표준편차 (means ± SD)로 나타내었으며 각 실험군 간의 통계학적 분석은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v9.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와 Student's t-test를 실시한 후 유의성을 p < 0.05, p < 0.01, p< 0.001의 수준에서 각각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 Splenocytes were prepared 2 weeks after the last immunization and cultured with ConA, LPS, or OVA or RPMI1640 for 72 h. Splenocyte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the MTT method as described in the text, and shown as a stimulation index. Mean values ± SD from triplicate separated experiments are shown.
  • 세포 수 검정은 trypan blue dye exclusion법을 이용하여 hemocytometer로 측정하였고 splenocyte proliferation 측정은 splenocyte를 96 well flat bottom microtiter plate의 4 - 5 개의 well에 초기배양하고 다시 100 ㎕ complete medium에서 세포수가 5 × 106 cell/well까지 배양하였다.
  • 시험물질 처리 24시간 이후 MTT assay를 실시하여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식세포 증식률을 검정하였으며 배양한 상층액은 수집하여 Griess reagent로 nitric oxide의 양을 측정하였고 TNF-α의 농도를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신보조제의 개발 요건은 어떻게 되는가? , 2005). 백신보조제 (adjuvant) 개발 요건은 백신 접종 시 보조제를 혼합 처리함에 따라 역반응의 위험과 균형을 유지하여야 하며 항원, 백신 투여 대상종, 조절경로, 부작용의 가능성을 제고하고 체류기간이 길고 안정하며 생체분해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고 생산단가가 저렴하며 스스로 면역반응을 최소화 하거나 유도하지 않고 면역반응을 촉진해야 한다 (Edelman, 1980).
HIV-1 등의 공식적인 백신 보조제로 사용되는 QS-21이 가진 단점은 무엇인가? 현재 면역보조제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Quillaja saponaria의 껍질 물추출액 QuiA와 여기에서 순수하게 분리된 사포닌인 QS-21은 IL-2와 IFN-γ를 유도하고 IgG2a 아형의 항체 생성을 유도하며, 강력한 세포독성 T세포(cytolytic T lymphocyte, CTL) 유도능을 지님으로써 HIV-1, cytomegalovirus와 Toxoplasma gondii의 공식적인 백신 보조제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Kensil and Kammer, 1998; Skene and Sutton, 2006). 하지만 QS-21을 함유하는 백신을 접종받은 대상자들에게 주사부위의 통증과 연화효과가 단기간 일어나며 바람직하지 않은 hemolytic effect가 나타남에 따라 HIV virus와 암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이외에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백신보조제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Janeway, 1992). 미국 FDA에 의해 유일하게 인간의 백신보조제로 허가되어 있는 알루미늄염은 주로 Al(OH)3 또는 AlPO4 형태로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단백질 항원을 흡착하여 천천히 방출함으로서 면역증강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나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고 신경독성도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또한 항체가 매개된 체액성 면역반응은 강하게 유도하나 세포성 면역반응은 거의 유도하지 못하며 (HogenEsch, 2002), 세포독성 T세포 (cytolytic T lymphocyte, CTL)의 분화와 활성을 오히려 저해하고 접종 부위에 강한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단점이 있다 (Schirmbeck et al.
백신화 기술의 특징은 무엇인가? 백신화 기술 (vaccination)은 감염성 질환에 대하여 효과적이고 가치 있는 기술이며 병원균 노출에 대한 예방차원의 기술로 적용될 수 있다. 백신은 살아있지만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정된 병원균이나 불활성하거나 사멸시킨 병원균, 또는 불활성화된 독소 등을 면역반응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항원으로 사용하고 있고 (Soh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guilar JC and Rodriguez EG. (2007). Vaccine adjuvants revisited. Vaccine. 25:3752-3762. 

  2. Aucouturier J, Dupuis L and Ganne V. (2001). Adjuvants designed for veterinary and human vaccines. Vaccine. 19:2666-2672. 

  3. Barr TA, Carlring J and Heath AW. (2006). Co-stimulatory agonists as immunological adjuvants. Vaccine. 24:3399-3407. 

  4. Cho WCS and Leung KN. (2007a).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effe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Cancer Letters. 252:43-54. 

  5. Cho WCS and Leung KN. (2007b). In vitro and in vivo immunomodulating and immunorestorative effe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13:132-141. 

  6. Choi RN, Park YC, Lee JS, Kim JW, Kim JB, Cheoi YS, Kim KK, Lee JG, Yu CY, Kim SH, Chung IM, Kim JK and Lim JD. (2014). Isolation of polysaccharides modulating intestinal immune system and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in Astragalus membranaceus aboveground par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2:276-288. 

  7. da Silva BP, de Medeiros Silva G and Parente JP. (2009). Chemical properties and adjuvant activity of a galactoglucomannan from Acrocomia aculeata. Carbohydrate Polymer. 75:380-384. 

  8. Edelman R. (1980). Vaccine adjuvants. Reviews of Infectious Diseases. 2:370-383. 

  9. Freund J, Casals J and Hosmer EP. (1937). Sensitization and antibody formation after injection of tubercle bacilli and paraffin oil.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37:509-513. 

  10. HogenEsch H. (2002). Mechanisms of stimulation of the immune response by aluminum adjuvants. Vaccine. 20:S34-S39. 

  11. Jacobsen NE, Fairbrother WJ, Kensil CR, Lim A, Wheeler DA and Powell MF. (1996). Structure of the saponin adjuvant QS-21 and its base-catalyzed isomerization product by $^{1}H$ and natural abundance $^{13}C$ NMR spectroscopy. Carbohydrate Research. 280:1-14. 

  12. Janeway Jr CA. (1992). The immune system evolved to discriminate infectious nonself from noninfectious self. Immunology Today. 13:11-16. 

  13. Jiao Y, Wen J and Yu X. (1999). Influence of flavonoid of Astragalus membranaceus's stem and leaves on the function of cell mediated immunity in mice. Chinese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19:356-358. 

  14. Kensil CR and Kammer R. (1998). QS-21: A water-soluble triterpene glycoside adjuvant. Expert Opinion on Investigational Drugs. 7:1475-1482. 

  15. Kim SH, Jun YM, Lim JJ, Kim SH, Chung IM and Kim EH. (2012). Variation of astrogalosides contents in cultivated Astragalus membranaceu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372-380. 

  16. Kong XF, Hu YL, Rui R, Wang DY and Li XR. (2004). Effects of Chinese herbal medicinal ingredients on peripheral lymphocyte proliferation and serum antibody titer after vaccination in chicken.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4:975-982. 

  17. Lee KY and Jeon YJ. (2005). Macrophage activation by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5:1225-1233. 

  18. Lim JD, Yu CY, Kim SH and Chung IM. (2016).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an intestinal immune system-modulating arabino-3,6-galactan-like polysaccharide from the aboveground part of Astragalus membranaceus(Bunge). Carbohydrate Polymers. 136:1265-1272. 

  19. Marciani DJ. (2003). Vaccine adjuvants: Role and mechanisms of action in vaccine immunogenicity. Drug Discovery Today. 8:934-943. 

  20. Park YC, Kim MH, Kim JW, Kim JB, Lee JG, Yu CY, Kim SH, Chung IM, Kim JK, Choi RN and Lim JD. (2014). Genotoxicity study of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Astragalus membranceus's aerial rats. Toxicology Research. 30:131-138. 

  21. Park YC, Lee JS, Kim DY, Son HY, Lee JW, Cheoi YS, Kim KK, Yu CY, Chung IM, Im MH, Lee KJ, Choi RN, Shim HS and Lim JD. (2013). A 90 day repeated dose-oral toxicity study of extrac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aboveground parts in ra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1:474-485. 

  22. Petrovsky N. (2006). Novel human polysaccharide adjuvants with dual Th1 and Th2 potentiating activity. Vaccine. 24:S26-S29. 

  23. Schepetkin IA and Quinn MT. (2006). Botanical polysaccharides: Macrophage immunomodulation and therapeutic potential.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6:317-333. 

  24. Schirmbeck R, Melber K, Kuhrber A, Janowicz ZA and Reimann J. (1994). Immunization with soluble hepatitis B virus surface protein elicits murine H-2 class I-restricted $CD8^+$ cytotoxic T lymphocyte responses in vivo. The Journal of Immunology. 152:1110-1119. 

  25. Skene CD and Sutton P. (2006). Saponin-adjuvanted particulate vaccines for clinical use. Methods. 40:53-59. 

  26. Sohn ES, Son EW and Pyo SK. (2004). A current research insight into function and development of adjuvants. Immune Network. 4:131-142. 

  27. Storni T, Kndig TM, Senti G and Johansen P. (2005). Immunity in response to particulate antigen-delivery system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 57:333-355. 

  28. Subramanian M, Chintalwar GJ and Chattopadhyay S.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a Tinospora cordifolia polysaccharide against iron-mediated lipid damage and ${\gamma}$ -ray induced protein damage. Redox Report. 7:137-143. 

  29. Sun CW, Ceng QH, Sun XX, An G and Zhan S. (1996). Effects of Astragalus saponins on $Ca^{2+}$ -activated $K^+$ channels of mouse T lymphocytes. Journal of Norman Bethune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 2:125-126. 

  30. Sun HX and Pan HJ. (2006). Immunological adjuvant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saponins on the immune responses to ovalbumin in mice. Vaccine. 24:1914-1920. 

  31. Sun HX and Zheng QF. (2005). Haemolytic activities and adjuvant effect of Gynostemma pentaphyllum saponins on the immune responses to ovalbumin in mice. Phytotherapy Research. 19:895-900. 

  32. Sun HX, Xie Y and Ye YP. (2009). Advances in saponin-based adjuvants. Vaccine. 27:1787-1796. 

  33. Sun HX, Ye YP, Pan HJ and Pan YJ. (2004). Adjuvant effect of Panax notoginseng saponins on the immune responses to ovalbumin in mice. Vaccine. 22:3882-3889. 

  34. Sun HX. (2006a). Adjuvant effect of Achyranthes bidentata saponins on specific antibody and cellular response to ovalbumin in mice. Vaccine. 24:3432-3439. 

  35. Sun HX. (2006b). Haemolytic activities and adjuvant effect of Bupleurum chinense saponins on the immune responses to ovalbumin in mice. Vaccine. 24:1324-1331. 

  36. Suarez ER, Syvitski R, Kralovec JA, Noseda MD, Barrow CJ, Ewart HS, Lumsden MD and Grindley TB. (2006). Immunostmulatory polysaccharides from Chlorella pyrenoidosa: A new galactofuranan: Measurement of molecular weight and molecular weight dispersion by DOSY NMR. Biomacromolecules. 7:2368-2376. 

  37. Tao YZ, Zhang LN, Yan F and Wu XJ. (2007). Chain conformation of water-insoluble hyperbranched polysaccharide from fungus. Biomacromolecules. 8:2321-2328. 

  38. Udani JK, Singh BB, Barrett ML and Singh VJ. (2010). Proprietary arabinogalactan extract increases antibody response to the pneumonia vaccine: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pilot study in healthy volunteers. Nutrition Journal. 9:32-36. 

  39. Xie G, Schepetkin IA and Quinn MT. (2007).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acidic polysaccharides isolated form Tanacetum vulgare L.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7:1639-1650. 

  40. Xie Y, Pan HJ, Sun HX and Li D. (2008). A promising balanced Th1 and Th2 directing immunological adjuvant, saponins from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Vaccine. 26:3937-3945. 

  41. Yang ZG, Sun HX and Fang WH. (2005). Haemolytic activities and adjuvant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saponins (AMS) on the immune responses to ovalbumin in mice. Vaccine. 23:5196-5203. 

  42. Yesilada E, Bedir E, Calis I, Takaishi Y and Ohmoto Y. (2005). Effects of triterpene saponins from Astragalus species on in vitro cytokine releas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96:71-77. 

  43. Yoshida Y, Wang MQ, Liu JN, Shan BE and Yamashita U. (1997).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Chinese medicinal herbs and Oldenlandia diffusa in particular. International Journal of Immunopharmacology. 19:359-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