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과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요건 탐색
Investigating the Requirements of Good Teaching from Medical Students' Perspectives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18 no.3, 2016년, pp.156 - 166  

최손환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공학부) ,  안효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dical school students learn a lot about medical knowledge and clinical experience in the classroom. Teaching is a main focus in medical schoo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igh-quality e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학생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의 의미, 의과대학 수업의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 그리고 좋은 수업의 사례와 이때 학생들의 역할 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의과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의 특성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런 경험적 자료는 학생들이 원하는 좋은 수업의 특성을 도출하는 데에 도움이 되며, 나아가 의과대학 수업의 발전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초의학은 무엇을 다루나? 기초의학의 경우 의생물학, 세포생물학, 생명유기화학 등의 과목으로 구성되어 본격적으로 임상을 배우기 전 다져야 할 과학적 기초지식을 다룬다. 의예과 기간에는 기초의학을 주요 전공과목으로 하여 배운 뒤 임상과목을 배울 때에 각 각론에서 다루는 장기에 대한총론 개념으로 거의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다시 짧게 진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의과대학 수업의 목적은? 의과대학 수업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일차진료의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이 기초의학을 배우고 그를 임상지식에 적용시키며, 이렇게 배운 기초와 임상지식들을 실제 실습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임상실습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학생들은 조를 구성하여 조별로 병원 내 여러 과를 순환하며 기본적인 술기 및 의무기록 작성 등에 대해 배우고, 매주 증례발표를 통해 배운 것을 발표한다. 평가는 지식, 수기, 태도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평가하고, 각 과별로 주어지는 과제나 증례발표 등을 중요한 평가자료로 활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k, S., Im, S. J., Lee, S. H., Kam, B., Yune, S. J., Lee, S. S., ... Lee, S. Y. (2011). Instructional analysis of lecture video recordings and its applic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medical lectures. Korean J Med Educ, 23(4), 263-274. 

  2. Chae, S. J. (2003). Problem cause analysis of PBL at the school of medicine: Ca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Open Educ Action Res, 6, 41-62. 

  3. Chae, S. J., Choung, Y. H., & Chung, Y. S. (2015).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 ratings of instruction. Korean J Med Educ, 27(1), 19-25. 

  4. Chung, I. W., Shin, C. J., Hahn, H. S., & Song, Y. J. (1999). The practice and evalu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in College of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n J Med Educ, 11(2), 285-295. 

  5. Gamson, Z. F. (1991). A brief history of the seven principles for good practi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New Dir Teach Learn, 1991(47), 5-12. 

  6. Hur, Y. (2011). The secret of instruction. Korean J Med Educ, 23(4), 323-324. 

  7. Hwang, J. Y., Baek, S., Lee, J. I., Nam, J. H., & Kim, Y. K. (2013). Can medical drama motivate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in the healthcare professionalism? Korean J Med Educ, 25(4), 279-288. 

  8. Im, E. J., Lee, Y. C., Chang, B. H., & Chung, S. K. (2010). Investigation of the requirements of 'good teaching' to improve teach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Korean J Med Educ, 22(2), 101-111. 

  9. Jo, Y. H. (1999). Qualitative research. Seoul: Kyoyookbook. 

  10. Joh, H. K., & Shin, J. S. (2009). Student satisfaction and self-assessment after small group discussion in a medical ethics education program. Korean J Med Educ, 21(3), 243-257. 

  11. Kang, D. H. (2002).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school education (II): A qualitative case study of good teaching in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2. Kang, N. Y. (2006). The cognition of elementary teacher on 'good teaching'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3. Kim, J. H. (2002).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school education (II):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good instruction in the secondary school.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4. Kim, J. Y., Na, B. J., Yun, J., Kang, J., Han, S., Hwang, W., & Hur, Y. (2014). What kind of feedback do medical students want? Korean J Med Educ, 26(3), 231-234. 

  15. Kim, Y. J., Yoo, H. H., & Joo, C. U. (2011). The development study of a medical ethics education program by using simple ISD model. Korean J Med Educ, 23(3), 185-192. 

  16. Kwak, Y. S., & Kim, J. H. (2003). Qualitative research on common features of best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room. J Korean Assoc Sci Educ, 23(2), 144-154. 

  17. Lee, H., & Yang, E. B. (201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lecturers in medical school. Korean J Med Educ, 25(1), 47-53. 

  18. Lee, H. J., Choi, S. H., Kim, W. G., Yun, C. T., Jeong, M. G., & Choi, G. W. (2001).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Korean middle school classrooms in the subject areas of Korean language & mathematics.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9. Park, K. H., Park, J. H., Kim, S., Rhee, J. A., Kim, J. H., Ahn, Y. J., ... Suh, D. J. (2015). Student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medical schools in Korea: Findings from a nationwide survey. Korean J Med Educ, 27(2), 117-130. 

  20. Park, M. J. (2008). Students' perceptions of good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An essay-review of college students. J Humanit Stud, 75, 229-253. 

  21. Park, W. B., Jang, E. Y., Seo, M. S., Phyo, S. R., Kang, S. H., Myung, S. J., ... Shin, J. S. (2011). Experience of teaching a class with a film: Cognitive changes with regard to HIV. Korean J Med Educ, 23(1), 27-32 

  22.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3. Saunders, P. (1999). Teaching behaviors inventory. Kalamazoo, MI: Western Michigan University Pub. 

  24. Seo, K. H. (2004). The perspectives and conceptions about good instructional practice: An interview study of teachers and students. J Curric Stud, 22(4), 165-187. 

  25. Shin, K. R., Jo, M. O., & Yang, J. H. (2010).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6. So, Y. H., Lee, Y. M., & Ahn, D. S. (2005). An student's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Korean J Med Educ, 17(1), 49-58. 

  27. Son, S. N. (2006). The conditions of good instruction: Focusing on instructional theory. Korean J Educ Idea, 20, 115-134. 

  28. Tyler, R. W. (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 Yang, E. B. (2012). Seven strategies for effective questioning. Korean J Med Educ, 24(3), 259-262. 

  30. Yang, E. B., & Meng, K. H. (2014). Five suggestions for future medical education in Korea. Korean J Med Educ, 26(3), 167-178. 

  31. Yune, S. J., Lee, Y. N., & Lee, S. S. (2009). An analysis of undergraduate student essays on good instruction. J Korean Educ, 36(4), 125-14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