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애착히스토리가 유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검증
Teachers' Attachment History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Examining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5, 2016년, pp.1 - 16  

이가영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과) ,  채진영 (전북대학교 아동학과, 인간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eachers' attachment history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of this survey were 342 teachers from 41 day care centers and 11 kindergartens in four metropolitan cities and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어린 시절 애착히스토리와 유아-교사관계가 어떠한 관계성을 갖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동시에 유아교사의 애착히스토리가 유아-교사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알아 보고자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들에게 유아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유아-교사 관계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 유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어린 시절의 애착 경험이 성인기의 타인과의 관계성에서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으로 미루어볼 때, 유아교사의 애착히스토리가 유아-교사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 교사가 어린 시절 경험한 애착히스토리가 현재의 유아-교사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긍정적인 유아-교사관계의 형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유아-교사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아교사의 애착히스토리와 심리적 안녕감을 관련 변인으로 설정하여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사들에게 유아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유아-교사 관계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 유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어린 시절 애착히스토리와 유아-교사관계가 어떠한 관계성을 갖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동시에 유아교사의 애착히스토리가 유아-교사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알아 보고자한다.
  • 본 연구는 긍정적인 유아-교사관계의 형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유아-교사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아교사의 애착히스토리와 심리적 안녕감을 관련 변인으로 설정하여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사들에게 유아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유아-교사 관계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 유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동시에 유아교사의 애착히스토리가 유아-교사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알아 보고자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들에게 유아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유아-교사 관계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 유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착이란? 교사는 주양육자와 마찬가지로 유아와 애착을 형성하는 대상이 될 수 있다 (Schaffer & Emerson, 1964). Bowlby(1969/1982)는 ‘애착’이란 한 개인이 자신과 가장 가까운 사람에 대하여 느끼는 강력하고 지속적인 정서적․감성적 유대관계를 의미한다고 정의하였고, 이러한 애착의 형성은 생애초기에 주 양육자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를 통하여 자신과 타인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능력을 배우게 된다고 하였다. 이 시기에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한 사람은 부모의 욕구와 자신의 욕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협상능력이 발달하여, 타인과의 갈등관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Bartholomew & Horowitz, 1991).
유아교사의 주된 역할은? 이 외에도 Saracho(1984)는 교사를 교수 구성자, 진단자, 학습운영자, 상담자 및 조언자, 의사결정자 등으로 정의하며 그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즉, 유아교사의 주된 역할은 유아의 신체 및 건강과 정서 및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며, 교육활동에 대한 계획 및 지도, 효과적인 보육을 위한 의사결정자, 생활지도 및 평가를 위한 교수자 등으로 요약할 수 있겠다. 이처럼 다양한 역할들을 유보육 현장에서 감당해야하는 유아교사의 중요성과 유아-교사 관계의 질적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유아에게 유아교사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오래전부터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해 다양하게 규명한 연구들이 많았다(Decker & Decker, 1976; DeMulder et al, 2000; Saracho, 1984). 먼저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안전기지 역할을 하여 유아가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가지고, 주변 환경을 적극적이며 활발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도우며, 유아교사는 유아의 모델링 및 동일시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DeMulder et al, 2000). 이 시기는 인간의 심리사회적 발달 측면에서 또래들과 경쟁하고 자기가 원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등의 주도성이 길러지는 시기이다(Erikson, 1982). 이 때 유아교사의 적극성과 주도적인 태도를 유아들이 모델링하고 동일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시기의 유아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권연희 (2011). 남녀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0(3), 595-609. 

  2. 권연희 (2012).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유아-교사 관계가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341-363. 

  3. 권연희 (2013). 유아의 문제행동과 또래괴롭힘 피해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2(3), 391-404. 

  4. 권형진 (2015, 8, 11). 아동학대 발생한 유치원 바로 문 닫는다 (교육부 '유아교육법' 개정안 입법예고). 뉴스원. http://news1.kr/articles/?2369201에서 2015년 8월 11일에 인출 

  5.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40. 

  6. 김안나 (2014).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163-182. 

  7. 김정문 (2008).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5(6), 197-224. 

  8. 김용희 (2012). 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정서경험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9(9), 231-256. 

  9. 김정원, 강희신, 최소린 (2013). 부모애착표상과 가족건강성이 예비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4), 448-505. 

  10. 김지혜, 진미경 (2015).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 18(4), 285-305. 

  11. 김혜정, 김혜순 (2015). 유아교사의 애착실행모델과 교사민감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4(4), 748-760. 

  12. 노경민 (2009). 초등학교 기혼여교사의 양육효능감과 교사헌신과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민지, 김민진 (2016). 또래 유능성, 자아존중감, 교사-유아관계와 유아 행복간의 구조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 217-240. 

  14. 박종흡, 신남철 (2002). 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연구. 인문논총, 9, 91-111. 

  15. 박태성 (2015, 12, 6). 어린이집.유치원 아동학대, 무엇이 문제인가-열악한 환경, 우울한 보육교사. 충북일보. 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425116에서 2015년 12월 6일에 인출 

  16. 배효정, 김도연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아동기 애착, 배우자의 부모역할지지, 심리적 안녕감이 아버지의 부모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7(4), 147-164. 

  17. 서현주 (2006).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련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성태제 (2002).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19. 심영희, 성소영 (2013).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역할수행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 한국아동교육학회, 22(2), 121-138. 

  20. 양병한 (2003). 초등 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교육학연구, 41(4), 285-309. 

  21. 오경희 (2010). 유아-교사의 갈등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및 교사변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유경자 (2005). 애착이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진아, 박창현, 엄지원 (2015). 유아교육과 보육 중장기 수요 예측 및 재정 지출 전망. 서울:육아정책연구소. 

  24. 이미란, 김정원 (2011).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 243-260. 

  25. 이선애, 현은자 (2010).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31(2), 1-15. 

  26. 이유진, 김정미 (2013).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부모애착, 자아분화, 학과만족도 간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3(2), 145-162. 

  27. 이채호, 고태순 (2008).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아동교육, 17(3), 173-185. 

  28. 정민, 이미라, 노안영 (2006).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7(4), 1023-1038. 

  29. 정옥분 (2010). 아동연구와 통계방법. 서울: 학지사. 

  30.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31. 천부경, 양난미 (2013).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심리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32(3), 719-733. 

  32. 천향숙, 조은진 (2011). 교사와 유아가 지각하는 교사-유아 관계 및 관련변인 분석. 아동학회지, 32(4), 167-183. 

  33. 채영문, 곽수진 (2013). 대학생의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공감능력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 22(6), 559-613. 

  34. 최승숙 (2011). 교사 소진과 효능감이 교사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한희정, 서현아, 오소라, 하지민 (2014).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143-164. 

  36. 홍계옥 (2007). 교사-유아간 애착과 유아의 정서지능의 관계. 부모교육연구, 4(1), 21-37. 

  3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8. Bartholomew, K., & Horowitz, L. M. (1991).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2), 226-244. 

  39.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40. Bowlby, J. (1969/1982).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London: Hogarth. 

  41. Causey, D. L., & Dubow, E. F. (1992). Development of a self-report coping measur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1), 47-59. 

  42. Christopher, M., Kelly, M. M., & Gregory, A. W. (2008). Child and teacher report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Concordance of perspectives and associations with school adjustment in urban kindergarten classroom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9(1), 49-61. 

  43. Clancy, B., Rachel, D. M., & the Family Life Project Investigators (2016). Moderating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ability in kindergarten. Learning and Instruction, 41, 85-93. 

  44. DeCarlo, L. T. (1997). On the meaning and use of kurtosis. Psychological Methods, 2(3), 292-307. 

  45. Decker, C. A., & Decker, J. R. (1976).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 childhood programs. Columbus, OH: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 

  46. DeMulder, E. K., Denham, S., Schmidt, M., & Mitchell, J. (2000). Q-sort assessment of attachment security during the preschool years: Links from home to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36(2), 274-282. 

  47. Erikson, E. H. (1982). The life cycle completed. NY: W. W. Norton & Co. 

  48. Kesner, J. E. (2000). Teacher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8(2), 133-149. 

  49. Kline, P. B. (2010).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Y: Guilford Press. 

  50. Mashburn, A. J., Hamre, B. K., Downer, J. T., & Pianta, R. C. (2006). Teacher and classroom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eacher' ratings of prekindergartners' relationships and behaviors.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24(4), 367-380. 

  51. Meghan, P. M., Erin, E. O., Elise, C., & Sandee, G. M. (2013).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academic achievement: A multilevel propensity score model approach.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1(5), 611-624. 

  52. Pianta, R. C., & Steinberg, M. (1992).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precess of adjustment to school.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57, 61-80. 

  53. Pianta, R. C. (1999). Enhancing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4. Pottharst, K., & Kesler, R. (1990). The search for methods and measures. In K. Pottharst (Ed.), Research explorations in adult attachment (pp. 9-37). NY: Lang. 

  55. Reid, M., Landesman, S., Treder, R., & Jaccard, J. (1989). "My Family and Friends": Six-to twelve-year-old children's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Child Development, 60(4), 896-910. 

  56. Robert, C. W., Tracy, D. W., & Rachel, A. G. (2014). Workplace stress and the quality of teacher-children relationship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0(1), 57-69. 

  57.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58. Saracho, O. N. (1984). Perception of the teaching proc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role analysi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erception International, 19(1), 26-39. 

  59. Schaffer, H. R., & Emerson, P. E. (1964). The development of social attachments in infancy.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29(3, Serial No. 94), 3-76. 

  60. Sroufe, L. A., Egeland, B., & Carlson, E. (1999, March). One social world: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parent-child and peer relationship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30th Worl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Child Psychology, Minnesota, US. 

  61. Teresa, M. M., & Wendy, L. G. (2016). Do children's adjustment problems contribute to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Support for a child-driven mode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4(1), 13-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