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Car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4 no.5 = no.143, 2016년, pp.21 - 33  

김지민 (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Human Life and Culture Science, Shinhan University) ,  정지나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inhan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v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care teachers. Participants were 194 infant care teachers from 52 infant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Psychological burnout was assessed by the Maslach Burnout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소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Shin, 2013). 실제로 보육교사가 종일 근무하는 기관에서 지원되는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 바,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직장 내에서의 사회적 지지로 제한하여 직장 내에서의 어떠한 사회적 지지의 유형(예: 정서적, 정보적, 평가적, 물질적 지지)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크게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밝힘으로써 어린이집 내의 인적 자원을 통한 적극적 지원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개인내적 요인인 심리적 안녕감과 개인외적 요인인 직장 내에서의 사회적 지지 중 영아보육교사의 소진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영아보 교사의 소진을 경감시키고 나아가 예방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를 얻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개인내적 요인인 심리적 안녕감과 개인외적 요인인 직장 내에서의 사회적 지지 중 영아보육교사의 소진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영아보 교사의 소진을 경감시키고 나아가 예방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를 얻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이상의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소진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진이란 무엇인가? Macfarlane, 2005). 소진(burn-out)은 직무 스트레스에 장기간 노출되어 나타나는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반응으로, 소진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정서적 소모감이 증가하는 정서적 고갈, 부정적이고 냉소적인 경향의 태도를 보이는 비인간화, 노력이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낳아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느끼는 개인적 성취감소와 같은 증후를 보이게 된다(H. J.
소진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Macfarlane, 2005). 소진(burn-out)은 직무 스트레스에 장기간 노출되어 나타나는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반응으로, 소진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정서적 소모감이 증가하는 정서적 고갈, 부정적이고 냉소적인 경향의 태도를 보이는 비인간화, 노력이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낳아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느끼는 개인적 성취감소와 같은 증후를 보이게 된다(H. J.
영아에게 양질의 보호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영아기가 어떤 시기이기 때문인가? 영아기는 발달특성 상 개인차가 크고 전 생애 발달의 기초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로, 영아에게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질 높은 영아보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보육의 직접적인 대상인 영아에게 초점을 맞추어 양질의 보호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hn, H. J., Ahn, S. H., & Moon, H. J. (2007).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daycare teachers' attribution, social supports, and burn-ou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8(5), 1-12. 

  2. Ahn, S. H., & Kim, J. E. (2007). The impa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rk condition,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5), 147-164. 

  3. Barford, S. W., & Whelton, W. J. (2010). Understanding burnout in child and youth care workers. Child Youth Care Forum, 39(4), 271-287. 

  4. Ben-Zur, H., & Michael, K. (2007). Burnout, social support, and coping at work among social workers, psychologists, and nurses. Social Work in Health Care, 45(4), 63-82. 

  5. Brewer, E. W., & Shapard, L. (2004). Employee burnout: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or years of experie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3(2), 102-123. 

  6. Cano-Garcia. F. J., Padilla-Munoz. E. M., & Carrasco-Ortiz, M. A. (2005). Personality and contextual variables in teacher burnout. Personality & Individual Differences, 38(4), 929-940. 

  7. Cho, S. Y. (2005).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4(1), 69-79. 

  8. Cho, S. Y., & Lee, J. H. (2010). The effect of ego-resilience and directors' and fellow teachers' social support o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8(4), 29-42. 

  9. Choi, Y. J., & Kim, J. H. (2014). Mediation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infant teachers' burnout. The Korean Journal Child Education, 18(5), 225-246. 

  10. Duckworth, E. R. (2008). Teaching as research in A. Miletta & M. Miletta (Eds.), Classroom conversation: A collection of classics for parents and teachers (pp. 119-144). New York: The New Press. 

  11. Forey, W. F., Christensen, O. J., & England, J. T. (1994). Teacher burnout: A relationship with Holland and Adlerian typologies, Individual psychology: The Journal of Adlerian Theory, Research & Practice, 50(1), 3-17. 

  12.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 159-165. 

  13. Grayson. J. L., & Alvarez, H. K. (2008). School climate factors relating to teacher burnout: A mediator model. Teaching & Teacher Education, 24(5), 1349-1363. 

  14. Han, M. H. (1996). A study on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5. Hwang, H. S. (2010).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ego-resilience on child care teachers' burnout.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7), 23-32. 

  16. Joung, S. H. (2013).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nursing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Gyeongnam, Korea. 

  17. Jung, H. A. (2015).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ego-resilience on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A. L. (2015). The effect of caregivers' social support on sensitiv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D. C.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Korea. 

  20. Kim, H. H.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f daycare teachers on job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21. Kim, H. J., Im, J. Y., & Lee, D. K. (2011). The meaning of team teaching experiences to experienced daycare center teacher. The Journal of Korean Open Associ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4(4), 277-296. 

  22. Kim, J. E., & Ahn, S. H. (2007). Variables affecting burnout among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8(3), 149-162. 

  23. Kim, L. J., & Hong, Y. A. (2013).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9(4), 55-74. 

  24. Kim, M. Y., & Chung, O. B. (2014). The sensitivity of teachers in infant day-care: A study focused o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individual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1(2), 75-96. 

  25. Kim, S. N. (2012). The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ve competence,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Kyonggi, Korea. 

  26. Kwon, H. S. (2009). A study on child-care teachers' conflict and anxiety in a master's teacher-master teacher team teaching set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7.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28. Lee, J. H. (2015). The interrelation among job stress, efficacy of child care and teacher sensibility of Infant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29. Lee, J. I. (2011).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 burnou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30. Lee, M. S.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ple-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married child care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aichai University, Jeonbuk, Korea. 

  31. Lim, J. H. (2010). The relations among kindergarten beginning teacher'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occupational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2.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 99-113. 

  33.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In S. T. Fiske, D. L. Schacter, & C. Zahn-Waxler (Ed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34. Min, H. Y.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colleagues/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levels and burnout experienced by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4), 1-14. 

  3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3). 2013 Korea Childcare Accreditatio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4). 2014 Childcare Statistic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7. Noble, K., & Macfarlane, K. (2005). Romance or reality? : Examining burnout in early childhood teachers. Australian Journal oof Early Childhood, 30(3), 53-58. 

  38. Oh, Y. J.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n teaching 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9. Park, J. W.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0. Park, K. A. (2014). The comparisons of perceptions on team teaching in kindergarte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Kyonggi, Korea. 

  41. Park, S. Y. (2011).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llaborative culture of kindergarte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2. Pines, A. M., & Keinan, G. (2005). Stress and burn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39(3), 625-635. 

  43. Raikes, H. H., & Edwards, C. P. (2009). Extending the dance in infant and toddler caregiving: Enhancing attachment and relationships. Baltimore, ML: Paul H. Brookes. 

  44. Rentzou, K. (2015). Prevalence of burnout syndrome of Greek child care work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Primary, Elementary and Early Years Education, 43(3), 249-262. 

  45. Rhu, H. J.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hildcare teachers' 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nd to turnov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46. Rhu, J. O. (2009). The effects of social work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burn-ou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Gyeongnam, Korea. 

  47. Ruini, C., & Fava, G. A. (2004). Clinical applications of well-being therapy. In P. A. Lineley, & S. Joseph (Eds.), Positive psychology in practice (pp. 371-387). NY: John Wiley & Sons. 

  48.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49. Schwartz, R. H., Tiamiyu, M. F., & Dwyer, D. J. (2007). Social worker hope and perceived burnout: The effects of age, years in practice, and setting.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31(4), 103-119. 

  50. Seo, M. H. (2011). The relations among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satisfaction with treat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1. Shin, H. Y., & Kim, M. S. (2005).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9(2), 297-318. 

  52. Yoo, M. N., & Shin, N. R. (2013). Childcare teachers’ work-relate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Life?Span Studies, 3(2), 73-85. 

  53. Yoon, J. H.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burnout of young children's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Jeonbuk, Kore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