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 양육자의 삶의 만족도와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간의 종단연구
A Longitudinal Study between Main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School-aged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5, 2016년, pp.137 - 155  

김혜금 (동남보건대학교 보육과) ,  조혜영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ain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school-aged children, and to provide plans for improving the lives of the school-aged childre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three yea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는데 활용되는 각 적합도 지수는 모형 적합도의 특정한 성질을 반영하므로 복수의 적합도 지수에 근거하여 모형 적합도를 판단해야 한다(Kline, 2010). 따라서 본 연구는 가장 기본적으로 활용되는 X2 검증과 모형의 간명성 측면을 부각한 절대적합도 지수인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증분적합도 지수인 NFI, TLI, CFI와 절대부합도지수인 SRMR을 보고자 한다. X2값이 크다는 것은 영가설을 기각한다는 논리이므로 X2 값뿐만 아니라 NFI, TLI, CFI, RMSEA, SRMR 등 적합지수를 함께 고려하여 분석해야 한다.
  • 본 연구는 주 양육자의 삶의 만족도와 아동의 우울의 변화패턴을 알아보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아동의 우울을 상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야기된다.
  • 본 연구는 주 양육자의 삶의 만족도와 학령기 아동의 우울의 변화패턴을 알아보고,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아동의 건강한 삶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5)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가운데 초등학교 1학년 2,3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4차년도(2011-2013) 자료에서 무응답 결측치를 제외한 후, 주 양육자의 아동과의 관계, 건강상태와 아동의 성별, 건강상태의 인구학적 배경 특성을 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주 양육자의 삶의 만족도와 학령기 아동의 우울 변인의 변화패턴을 알아보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아동의 건강한 삶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분석은 SPSS 18.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주 양육자의 삶의 만족도와 학령기 아동의 우울 변인을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패턴을 알아보고 주 양육자의 삶의 만족도와 학령기 아동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변인 간의 관계를 Pearson의 상관관계로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미 실증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요인으로서의 효과가 입증되었기 때문에(김혜금, 조혜영, 2015; 박애리, 2014; Bandura, 1997) 아동이 심리·정서적으로 불안정한 경험을 하더라도 어느 정도 건강한 자아를 통해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결국,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은 부정적인 감정을 긍정적인 사고로 변화할 수 있는 역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은 우울을 야기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완화하거나 강화하여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므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낮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이 비행, 일탈 행동으로 연결되며, 예민한 행동을 하게 하는 이유는? 자아존중감(self-esteem)은 스스로 신뢰하고, 존중받을 만한 가치가 있으며, 성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확신을 의미한다.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총제적인 측면으로 개인의 삶과 분리하여 설명하기 어려운 변인이다(Swann, Chang-Schneider, & McClarty, 2007). 때문에 낮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은 비행, 일탈 행동으로 연결되며(Kaplan, 1980: 조현미, 2016, p.
자아존중감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self-esteem)은 스스로 신뢰하고, 존중받을 만한 가치가 있으며, 성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확신을 의미한다.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총제적인 측면으로 개인의 삶과 분리하여 설명하기 어려운 변인이다(Swann, Chang-Schneider, & McClarty,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 편 (2000). 심리척도핸드북 I. 서울: 학지사. 

  2. 김경숙, 이정우 (1995). 취업주부의 객관적 주관적 자원, 가정관리능력 및 가정생활만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11. 

  3.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 정신진단검사 실시 요강.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4. 김미숙, 전진아, 하태정, 김효진, 오미애, 정은희 등 (2013). 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고서. http://stat.mohw.go.kr/front/statData/publicationView.jsp?bbsSeq6&nttSeq21591&menuId40에서 2016년도 9월 20일 인출 

  5. 김수정, 정익중 (2013). 아동학대가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지속 효과와 최신 효과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3, 1-28. 

  6. 김혜금, 조혜영 (2015). 어머니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양육 스트레스,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6), 1-14. 

  7.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KISTEP, KAIST, 정재승 (2016). 미래전략 보고서: 10년 후 대한민국 이제는 삶의 질이다. 경기: 지식공감. 

  8. 박미현, 박경자, 김현경 (2012). 초등학생 아동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5년에 걸친 발달적 변화. 아동학회지, 33(4), 1-17. 

  9. 박애리 (2014). 지각된 방임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청소년복지연구, 16(4), 397-416. 

  10. 박준혁, 김기웅 (2011). 한국의 우울증 역할에 대한 고찰. 대한의사협회지, 54(4), 362-369. 

  11. 백승아 (2011. 8. 1). 자살 부르는 '소아우울증' 골병드는 아이 속 엄마는 모른다. 중앙시사매거진. https://jmagazine.joins.com/monthly/view/289479에서 2016년 7월 28일 인출 

  12.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5). 2014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세종, 서울: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13. 엄정윤 (2013. 5. 16). 독일, 부모의 삶 만족도가 아이의 행복 좌우. Economic Review. http://www.econovill.com/ news/articleView.html?idxno90823에서 2016년 15일 인출 

  14. 이봉주, 김선숙, 김낭희 (2010). 한국 아동 발달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사회자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31, 107-141. 

  15. 이영환, 정남주 (2009). 부적응 행동 아동의 우울 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5(2), 43-71. 

  16. 이창호, 강석영, 이동훈 (2013).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III: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현장적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7. 조준오, 나정, 홍광표 (2015).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와 자녀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불안과 우울의 복수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 75-98. 

  18. 조현미 (2016). 사이버 비행에 대한 애착, 자아손상, 자기효능감, 낙인요인의 영향 분석: 사회유대이론, 자아인식이론, 낙인이론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질병관리본부 (2009). 제4차 청소년건강형태온라인조사 통계. 서울: 질병관리본부. 

  20. 한국건강증진재단 (2014). 청소년 건강에 대한 인식과 실태조사. http://www.khealth.or.kr/BoardType08.do?bid27&mid374&cmd_view&dept&idx781에서 2016년 9월 20일 인출 

  21. 한국노동연구원 (2005). 생활만족도의 변화 추이. https://www.kli.re.kr/search/search.do?catepblct& query생활 만족도에서 2016년 7월 28일 인출 

  22.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2012년 상담경향보고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http://archive.nypi.re.kr/brdartcl/boardarticleList.do?brd_idBDIDX_k9Fd9oFi29nooCcJ7kX1I4&srch_ctgry_idxCTIDX00043&menu_nixqZc474Ak에서 2016년 3월 15일 인출 

  24. Abela, J. R. (2002). Depressive mood reactions to failure in the achievement domain: A test of the integration of the hopelessness and self-esteem theories of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6(4), 531-552. 

  25. Asarnow, J. R., Carson, G. A. & Guthrie, D. (1987). Coping strategies, self-perception, hopelessness and perceived family environment in depressed and suicidal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5(3), 361-366. 

  26.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Freeman. 

  27. Barber, B. K., & Harmon, E. L. (2002). Violating the Sel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B. K. Barber (Ed.),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pp. 15-52).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8. Bos, A. E. R., Huijding, J., Muris, P., Vogel, L. R. R., & Biesheuvel, J. (2010). Global, contingent and implicit self-esteem and psychopathological symptoms in adolesc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8(3), 311-316. 

  29. Brook, C. A., & Schmidt, L. A. (2008). Social anxiety disorder: A review of environmental risk factors. 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4(1), 123-143. 

  30. Cole, D., Warren, D. A., Dallaire, D. H., Lagrange, B., Travis, R., & Ciesla, J. A. (2007). Early predictors of helpless thoughts and behaviors in children: Developmental precursors to depressive cognitions. Clinical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2(2), 295-312. 

  31. Courtney, E. A., Gamboz, J., & Johnson, J. G. (2008). Problematic eating behaviors in adolescents with low self-esteem and elevated depressive symptoms. Eating Behaviors, 9(4), 408-414. 

  32. Cummings, E. M., Keller, P. S., & Davies, P. T. (2005). Towards a family process model of maternal and paternal depressive symptoms: Exploring multiple relations with child and family functioning.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6(5), 479-489. 

  33. David, T. D., & Owen, R. L. (2008). Generalized self-efficacy, coping, and self-esteem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r chronic illnesses. Children's Health Care, 37(4), 293-315. 

  34. elBello, M., & Grcevich, S. (2004). Phenomenology and epidemiology of childhood psychiatric disorders that may necessitate treatment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Journal of Coinical Psychiatry, 65(6), 12-19. 

  35. Fazel, M., Wheeler, J., & Danesh, J. (2005). Prevalence of serious mental disorder in 7000 refugees resettled in western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Lancet, 365(9467), 1309-1314. 

  36. Gunnar, M. R., & Quevedo, K. (2007). The neurobiology of stress and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8(1), 145-173. 

  37. Hamilton, M. E. (1982). Depression and aging: Issues in the study of ageing. Dying, and Death, 5(2), 99-152. 

  38. Hong, H. J., Kim, Y. S., Jon, D. I., Soek, J. H., Hong, N., & Harkavy-Friedman, J. M. et al. (2011). Mental health and extracurricular education in Korean first graders: A school-based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72(6), 861-868. 

  39. Hornor, G. (2012). Emotional maltreatment.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26(6), 436-442. 

  40. Jones, T. L., & Prinz, R. J. (2005). Potential roles of parental self-efficacy in parent and child adjustment: A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5(3), 341-363. 

  41. Kaplan, H. B. (1980). Deviant behavior in defense of self. NY: Academic Press. 

  42. Kernis, M. H., Grannemann, B. D., & Mathis, L. C., (1991). Stability of self-esteem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 between level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1), 81-84. 

  43. Kline, P. B. (2010).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th Ed.). NY: Guilford Press. 

  44. Leblanc, N., Boivin, M., Dionne, G., Brendgen, M., Vitaro, F., & Tremblay, R. E. et al. (2008). The development of hyperactive-impulsive behaviors during the preschool years: The predictive validity of parental assessment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6(7), 977-987. 

  45. Leckman-Westin, E., Cohen, P. R., & Stueve, A. (2009). Maternal depress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patterns: Association with toddler problems and continuity of effects to late childhood.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0(9), 1176-1184. 

  46. Mussen, P. H., Conger, J. J., Kagan, J., & Huston, A. C. (1984). Child development and personality (6th Ed.). NY: Harper & Row. 

  47. Newman, D. L., Moffitt, T. E., Caspi, A., Magdol, L., Silva, P. A., & Stanton, W. (1996). Psychiatric disorder in a birth cohort of young adults: Prevalence, comorbidity, clinical significance, and new case incidence from ages 11 to 21.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4(3), 552-562. 

  48. Olfson, M., Marcus, S. C., Pincus, H. A., & Weissman, M. M. (2003). Parental depression, child mental health problem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Medical Care, 41(6), 716-721. 

  49. Peterson, A. C., Sarigiani, P. A., & Kennedy, R. E. (1991). Adolescent depression: Why more girl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2), 247-271. 

  50.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1. Rowling, L., Martin, G., & Walker, L. (2008). Mental health promotion and young people: Concepts and practice, 소아.청소년 정신보건증진: 개념과 실제(곽영숙, 박순영 옮김). 서울: 하나의학사(원판 2002). 

  52. Spertus, I. L., Yehuda, R., Wong, C. M., Halligan, S., & Seremetis, S. V. (2003).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in women presenting to a primary care practice. Child Abuse and Neglect, 27(11), 1247-1258. 

  53. Swann, W. B., Jr., Chang-Schneider, C., & McClarty, L. K. (2007). Do people's self-views matter? Self-concept and self-esteem in everyday life. American Psychologist, 62(2), 84-94. 

  54. Van Harmelen, A. L., de Jong, P. J., Glashouwer, K. A., Spinhoven, P., Penninx, B. W., & Elzinga, B. M. (2010). Child abuse and negative explicit and automatic self-associations: The cognitive scars of emotional maltreatment.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8(6), 486-494. 

  55. Waylen, A., Stallard, N., & Stewart-Brown, S. (2008). Parenting and health in mid-childhood: A longitudinal study.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8(3), 300-305. 

  56. Williamson, G. M., Shaffer, D. R., & Parmelee, P. A. (2000). Physical illness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A handbook of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Y: Plenum. 

  57. Wolff, J. C., & Ollendick, T. H. (2006). The comorbidity of conduct problems and depress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9(3), 201-2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