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시티의 주민참여형 안전도시 계획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big data utilization for implementation of the resident participation type safe community planning of the smart city 원문보기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9 no.5, 2016년, pp.478 - 495  

장혜정 (Department of Convergence Engineering for Future City, SungKyunKwan University) ,  김도년 (Department of Convergence Engineering for Future City, SungKyunKwan University)

초록

기존의 도시계획은 내부 소수의 의사결정자들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스마트시티에서는 ICT 기술 진화를 통해 개인이 접할 수 있는 정보가 많아지고 채널이 다양화 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의 안전도시 계획 과정을 주민과 직간접으로 소통하는 협력적인 계획과정으로써 데이터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WHO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받은 일본의 마츠바라시(松原市)의 데이터의 내용과 활용을 국내와 비교하여 국제안전 도시의 승인을 준비하는 지역에서 주민참여 방안의 보조적 역할로 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isting city planning was performed by internal few decision-maker, but the information that an individual could contact with through the evolution of the ICT technology increased in the smart city, and a channel diversified and came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a decision making process by v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안전에 대한 주민자치는 지역의 특성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지역주민이 중심이 돼 지역의 안전을 스스로 책임지는 주민자치활동이 되어야 하며 정부의 지원은 주민의 자발성을 고양시킬 수 있는 형태가 되어야지 너무 많은 지원이나 간섭은 주민의 자발성을 꺾어 버리고, 주민자치의 지속가능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11]. 국내 상황을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마츠바라시가 최초승인을 받은 2013년 같은 해에 안전도시 재승인을 받은 송파구를 데이터 활용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서울시 송파구는 ‘생활 속의 안전도시 세계속의 으뜸송파’ 슬로건으로 2008년 6월에 서울시 최초로 공인을 받았으며 2013년 5월 재공인을 받았다[10,15].
  • 이를 위하여 첫째, 스마트 시티의 도시계획 수립시 주민참여방안과 WHO 안전도시 계획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WHO 안전도시 공인 인증을 받은 일본의 마츠바라시의 데이터 활용사례를 통하여 빅데이터가 아니어도 충분히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대책을 제안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 제공된 데이터는 마츠바라시 안전도시 활동계획을 추진하면서 공개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 스마트 시티는 그 시대가 지향하는 환경·사회경제적 발전을 목표로 그 시대의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각 도시에 적합한 건강하고 건전한 성장을 실현해가는 도시로 정의할 수 있으며 도시자체가 인프라이고 또 도시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며 더 적은 자원으로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어야 하고 더 적은 공간에서 더 다양하고 좋은 활동이 일어날 수 있어야 하는 도시이다[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의 안전도시 계획 과정을 주민과 직간접으로 소통하는 협력적인 계획과정으로써 데이터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스마트 시티의 도시계획 수립시 주민참여방안과 WHO 안전도시 계획을 살펴보고자 한다.
  • 기본 구상으로는 8년간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마을 만들기’를 목표로 안전하고 안심하고 살 수 있는 거리의 환경을 지키고 키우는 것을 방침으로 추진하되, 기간은 8년간을 기본으로 하고 첫 4년간의 성과를 파악하고 평가하여 구체적인 정책으로 추진하는 방식으로 안전도시 추진 사업을 실시한다. 또한 [그림5]을 일정표에서 보듯이 2013년에 WHO 안전도시 인증을 받는 것을 목표로 기본계획 8년 중 4년을 실행하고, 그 성과를 파악하고 평가하여 2018년도에 재 인증 받을 수 있도록 구체적인 안전도시 활동을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본 연구에 제공된 데이터는 마츠바라시 안전도시 활동계획을 추진하면서 공개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마츠바라시는 안전도시 계획 수립 시 중점과제를 아이의 안전, 고령자의 안전, 교통안전, 자살예방, 범죄방지, 재난안전으로 6대 과제로 구분하여 주민참여 안전도시 계획 수립과 실행을 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아이의 안전에 대해 데이터 활용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국내에서 승인을 받은 지역과 향후 안전도시계획을 준비하는 지역에 데이터 활용을 통한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시티의 주민참여형 안전 도시 계획수립을 마츠바라시의 사례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주민 등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데이터가 아니어도 실제 지역에 있는 데이터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하여 안전도시 계획 수립부터 실행단계까지 안전도시의 객관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고 주민 등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마츠바라시는 안전도시 계획 수립 시 중점과제를 아이의 안전, 고령자의 안전, 교통안전, 자살예방, 범죄방지, 재난안전으로 6대 과제로 구분하여 주민참여 안전도시 계획 수립과 실행을 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아이의 안전에 대해 데이터 활용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국내에서 승인을 받은 지역과 향후 안전도시계획을 준비하는 지역에 데이터 활용을 통한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끝으로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을 위한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해 도시계획에서 이뤄져야하는 것은? 그러나 유사한 사고와 불상사가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는데도 임기응변식으로 할 뿐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안 되고 있다[9]. 안전도시 계획 수립에서도 계획의 유형과 성격에 적합하게 계획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맞는 사전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모든 도시계획은 제한된 기간과 예산범위 내에서 계획이 수립되어야 하므로 주민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공의 적극적인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
안전도시로 인증 받기 위한 조건은? WHO 국제안전도시는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변화(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제도적 등)와 행위변화(개인 및 그룹, 조직 등)를 통해 손상과 불안감을 예방하고,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공유하고, 권장절차와 프로그램을 활용해 지역의 안전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다양한 수준의 지역공동체를 안전도시로 인증하고 있다. 안전도시로 인증 받기 위해서는 ▲다양한 집단의 협력기반 구축 ▲손상의 빈도와 원인을 상세히 기록하는 프로그램 구축 ▲모든 상황에 적용 가능한 장기적·지속적 프로그램▲고위험군 집단과 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구축▲손상예방프로그램,과정,효과에 대한평가▲ 국내외 안전도시 네트워크에의 지속적 참여 같은 구성요소의 충족이 필요하다[10]. 그러나 현재 WHO 안전도시 승인은 안전도시가 실질적 지역 안전 제고보다는 지자체장의 업적으로 홍보에만 활용된다는 비판이 있으며 현재까지 수행한 지자체들의 경우 주민이 주도가 된 사업이 아니라 지자체의 행정력을 이용한 사업 중심이라는 점, 안전도시의 단위가 너무 커서 공동체의 특성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 안전도시 공인 과정에 너무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비판이 있다[11].
스마트 시티란? 이 과정에서 스마트시티를 가능하게 한 기술과 산업을 선점한 도시들이 세계의 문명과 문화를 주도해 왔다 [2]. 스마트 시티는 그 시대가 지향하는 환경·사회경제적 발전을 목표로 그 시대의 첨단기술을 활용하여각 도시에 적합한 건강하고 건전한 성장을 실현해가는 도시로 정의할 수 있으며 도시자체가 인프라이고 또 도시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며 더 적은 자원으로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어야 하고 더 적은 공간에서 더 다양하고 좋은 활동이 일어날 수 있어야 하는 도시이다[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의 안전도시 계획 과정을 주민과 직간접으로 소통하는 협력적인 계획과정으로써 데이터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 C. Lee, S. H. Sohn, D. N. Kim, "Establishing the Concept of 'Green City' and its Approach into Practice",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4(4),pp.121-137, 2013 

  2. D. N. Kim, "Smart city, city model for the Korean future, Policy briefing Contribution to a policy", http://www.korea.kr/celebrity/contributePolicyView.do?newsId148821085, 2016.9.5 Quote, 2016 

  3. D. N. Kim, "Korean representative product 'Smart city' which makes proper guidance in global market", Construction engineer, 2015 09/10, p.30, 2015 

  4. W. J. Shin, D. N. Kim, Y. T. Cho, S. W. Park, "Comparative Analysis Research on the Difference Between U-City and Smart City for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U-City-By a Comparative Analysis of Smart Cities Index Indicators and U-City Plans Established by the Local Governments in Korea",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6(5), pp.5-16, 2015 

  5. S. S. Bae, S. I. Kim, "A Study on Participants in Policy Agenda Seting-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Suport Act-", JKIIECT 15-04, Vol.8 No 2, pp.116-127, 2015 

  6. J. S. Yang, T. H. Kim, T. Y. Lee,"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Urban Planning Process in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working paper 2011-BR-03, 2011 

  7. N. S. Ha, J. Y. Kim, D. Y. Kim,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ow-Carbon Strategies in the Comprehensive Plans of New York City, London, and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5(1), pp.183-200, 2014 

  8. D. N. Kim, W. S. Kwon, S. M. Yang, H. S. Huh, "A Study on Planning Methodologies for Smart City Master Plan-Focused on Spatial Planning of Baikal Smart City Master Pla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6(5), pp.109-122, 2015 

  9. H. J. Chang, D. N. Kim,"A Study on inhabitants self-help scheme via sociotechnology for disaster safety of the smart city-Mainly on lessons of Kamaisi-city in Japan", JKIIECT 16-08, Vol.9 No.4, pp.388-403 2016 

  10. Safe communities Korea, http://www.safeasia.re.kr/, 2016.9.30 Quote, 2016 

  11. J. B. Jung,"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of an existing safe community and the safe village and improvement plan", http://www.juminjachi.or.kr/mspp/index.php?document_srl91438, 2016.9.1 Quote, 2016 

  12. Matsubara-si, http://www.city.matsubara.osaka.jp 2016.9.1. Quote, 2016 

  13. Matsubara-si Chairman interview, Safe Community Chairman Interview No.1, http://www.jisc-ascsc.jp, 2016.9.1 Quote, 2016 

  14. Japan Institution for Safe Community(JISC), http://www.jisc-ascsc.jp, 2016.9.1 Quote, 2016 

  15. Songpa-gu Safe Community, http://www.songpa.seoul.kr/user.kdf?asongpa.menu.MenuApp&c1001&cate_idAE0501001000, 2016.9.30 Quote, 2016. 

  16. Sonpa-Gu Public Health Center Basic research of the safe community pilot model of SongPa-Gu, Final Report, 2005 

  17. Sonpa-Gu Research of Construction of statistical data collection system of regional damage, Final Report, 200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