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주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JBE245를 이용한 사과 발효 음료 제조
Production of fermented apple juice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JBE245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5, 2016년, pp.445 - 453  

허준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박해석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엄태붕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젖산세균을 이용한 사과 발효 음료는 건강 증진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젖산세균을 선발하여 발효 음료 제조를 시도하였다. 국내 전통 발효 식품에서 분리된 84종의 젖산세균 가운데 사과 음료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하고 항당뇨 활성이 우수한 JBE245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메주에서 분리된 JBE245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으며 사과 발효 음료의 생균수는 24시간 배양 후 $3.6{\times}10^8CFU/mL$로 이후 생균수를 유지하였다. 항당뇨 활성의 지표인 알파 글루코시데이스 저해능은 발효전 18.5%에서 증가하여 최대 40.4%까지 증가하였다. 산화방지 활성 지표인 총 폴리페놀 함량은 583.6 mg GAE/mL로 발효 전(424.5 mg GAE/mL)보다 증가하였으며, DPPH 소거활성은 52.0%로 발효 전(43.5%) 보다 높았다. 발효 음료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발효 전후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종합적 선호도는 각각 4.72, 4.22로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JBE245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음료가 산화방지 및 항당뇨 기능이 향상된 프로바이오틱 발효 식품이라는 점에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ighty-four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foods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apple juice. Among these strains, the JBE245 strain that showed rapid growth and food functionality was selected and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This strain reached the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사과 음료 조건에서 발효 및 기능성 특성이 우수한 젖산세균을 국내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종 젖산세균들을 분리하고, 상업용 균주 선발을 위해 내산성과 성장 속도가 빠르고 기능성 특성이 우수한 균을 선발하였다. 또한 선발된균주로 사과 발효 음료를 제조하여 발효 특성과 기능성 특성을 평가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 8로 균주마다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따라서 선발된 5 균주들은 내산성이 우수한 균주들로 판단되었고, 이 가운데 발효 음료 제조에 적합한 균주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토종 젖산세균들을 분리하고, 상업용 균주 선발을 위해 내산성과 성장 속도가 빠르고 기능성 특성이 우수한 균을 선발하였다. 또한 선발된균주로 사과 발효 음료를 제조하여 발효 특성과 기능성 특성을 평가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사과와 젖산세균의 유익한 장내 정장 작용을 고려할 때 젖산세균을 이용한 사과 발효 음료는 기호도뿐 아니라, 건강을 위한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가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제조를 위한 식물성 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이유는?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식품의 원료로 사과는 생과뿐만 아니라 주스, 잼 등 다양한 가공 식품에 이용되는 대표 과일로서(4) 우리나라 전체 과수 면적의 약 40%에서 재배되고 있다(5). 사과는 식품섬유, 비타민, 폴리페놀과 같은 기능성 물질이 있어 산화방지(6), 항암(7), 항당뇨(8), 심혈관계 질환 개선(9)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제조를 위한 식물성 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발효 원료로 사과는 유기산 함량이 높아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생육하기 어려우며 산 저항성이 높은 일부 젖산세균들만 생육할 수 있다(3,10).
사과를 원료로 한 프로바이오틱 발효 음료 제조를 위해 젖산세균의 사용이 적절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전통적으로 프로바이오틱 식품(probiotics)은 요거트와 치즈와 같은 유제품들을 의미하였으나 채식주의, 젖당 불내증 등을 지닌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식품으로 확대되고 있다(2,3).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식품의 원료로 사과는 생과뿐만 아니라 주스, 잼 등 다양한 가공 식품에 이용되는 대표 과일로서(4) 우리나라 전체 과수 면적의 약 40%에서 재배되고 있다(5). 사과는 식품섬유, 비타민, 폴리페놀과 같은 기능성 물질이 있어 산화방지(6), 항암(7), 항당뇨(8), 심혈관계 질환 개선(9)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제조를 위한 식물성 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발효 원료로 사과는 유기산 함량이 높아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생육하기 어려우며 산 저항성이 높은 일부 젖산세균들만 생육할 수 있다(3,10). 젖산세균은 오래 전부터 발효 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프로바이오틱 균주로 면역체계 증진(11)과 항암(12), 산화방지(13), 콜레스테롤 저하(14) 등의 건강 증진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다양한 대사 산물을 생산해 향미를 증진시키고 말로락트 발효를 통해 강한 신맛의 말산을 부드러운 맛의 젖산으로 전환시켜 산도를 감소시키는 특성(15)을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사과를 원료로 한 프로바이오틱 발효 음료 제조를 위해 젖산세균의 사용은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발효 원료로 사과는 어떤 특징을 갖는가? 사과는 식품섬유, 비타민, 폴리페놀과 같은 기능성 물질이 있어 산화방지(6), 항암(7), 항당뇨(8), 심혈관계 질환 개선(9)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제조를 위한 식물성 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발효 원료로 사과는 유기산 함량이 높아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생육하기 어려우며 산 저항성이 높은 일부 젖산세균들만 생육할 수 있다(3,10). 젖산세균은 오래 전부터 발효 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프로바이오틱 균주로 면역체계 증진(11)과 항암(12), 산화방지(13), 콜레스테롤 저하(14) 등의 건강 증진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de Souza Ellendersen L, Granato D, Guergoletto KB, Wosiacki G. Development and sensory profile of a probiotic beverage from apple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casei. Eng. Life Sci. 12: 475- 485 (2012) 

  2. Champagne CP, Raymond Y. Gagnon R. Viability of Lactobacillus rhamnosus R0011 in an apple-based fruit juice under simulated storage conditions at the consumer level. J. Food sci. 73: 221-226 (2008) 

  3. Pereira ALF, Maciel TC, Rodrigues S. Probiotic beverage from cashew apple juice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casei. Food Res. Int. 44: 1276-1283 (2011) 

  4. Hwang TY, Son SM, Lee CY, Moon KD. Quality changes of fresh-cut packaged fuji appl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69-473 (2001) 

  5. Bang HY, Cho SD, Kim DM, Kim GH.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uji apples parts according to production reg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557-563 (2015) 

  6. Rezk BM, Haenen GR, van der Vijgh WJ, Bast A.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hloretin: The disclosure of a new antioxidant pharmacophore in flavonoid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95: 913 (2002) 

  7. Kern M, Tjaden Z, Ngiewih Y, Puppel N, Will F, Dietrich H, Pahlke G, Marko D. Inhibi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apple juice extract. Mol. Nutr. Food Res. 49: 317328 (2005) 

  8. Tabak C, ARTS IC, Smit HA, Heederik D, Kromhout 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intake of catechins, flavonols, and flavones: The MORGEN Study. Am. J. Clin. Nutr. 164: 61-64 (2001) 

  9. Bortolotto V, Piangiolino C. Apple biophenol synergistic complex and its potential benefits for cardiovascular health. Nutrafoods 12: 71-79 (2013) 

  10. Violeta NOUR, Trandafir I, Ionica M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fruits of several apple (Malus domestica Borkh.) cultivars. Not. Bot. Hort. Agrobot. Cluj. 38: 228-233 (2010) 

  11. Gerritse K, Posno M, Schellekens MM, Boersma WJ, Claassen E, Oral administration of TNP-Lactobacillus conjugates in mice: A model for evaluation of mucosal and systemic immune responses and memory formation elicited by transformed lactobacilli. Res. Microbiol. 141: 955962 (1990) 

  12. Mital BK, Garg SK. Anticarcinogenic, hypocholesterolemic, and antagonistic activitie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Critical Rev. Microbiol. 21: 174214 (1995) 

  13. Kaizu H, Sasaki M, Nakajima H, Suzuki Y. Effect of antioxidative lactic acid bacteria on rats fed a diet deficient in vitamin E. J. Dairy. Sci. 76: 2493-2499 (1993) 

  14. Rao DR, Chawan CB, Pulusani SR. Influence of milk and thermophilus milk on plasma cholesterol levels and hepatic cholesterogenesis in rats. J. Food Sci. 46: 1339-1341 (1981) 

  15. Davis CR, Wibowo D, Eschenbruch R, Lee TH. Fleet GH. Practical implications of malolactic fermentation: A review. Am. J. Enol. Vitic. 36: 290-301 (1985) 

  16. Kim NJ, Yoon KY. Quali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actic acid fermented-potato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542-549 (2013) 

  17. Park MJ, Lee SB.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eonnyuncho fruit (Opuntia humifusa)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434-440 (2013). 

  18. Kim HJ, Park KB. Apple-fermented product and food,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Korea Patent 10-0676855 (2007) 

  19. Park BB, Kim JI, Oh JY, Choi CI, Choi HS. Lactic acid bacteria fruit fermented liquor,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fruit bever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orea Patent 10-2015-0041519 (2015) 

  20. Lee HL, Kang KW, Seo DH, Jung JH, Jung DH, Kim GW, Park SY, Shin WC, Shim HS, Park CS. Diversity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n Makgeolli and Their Produc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204-210 (2015) 

  21. Park JH, Chung CH. Characteristics of takju (a cloudy korean rice wine) Prepared with nuruk (a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fermentation starter),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153-164 (2014) 

  22. Heo J, Ryu MS, Jeon SB, Oh HH, Jeong DY, Uhm TB.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JBE 30 as a starter for the brewing of traditional liquor. Korean J. Microbiol. 50: 233238 (2014) 

  23. Jeong JK, Zheng Y, Choi HS, Han GJ, Park KY. Catabolic enzyme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854-1859 (2010). 

  24. Tibbot Brian K, Ronald W. Skadsen.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alpha$ -glucosidase gene from barley. Plant. Mol. biol. 30: 229-241 (1996) 

  25. Singleton VL, Rossi J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965) 

  26. Blio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3 (1958) 

  27. Thompson JD, Higgins DG, Gibson TJ.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 22: 4673-4680 (1994) 

  28. Tamura K, Nei M. Estimation of the number of nucleotide substitutions in the control region of mitochondrial DNA in humans and chimpanzees. Mol. Biol. Evol. 10: 512-526 (1993) 

  29.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Kumar S.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 27312739 (2011) 

  30. Torriani S, Felis GE, Dellaglio F. Differenti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L. pentosus, and L. paraplantarum by recA gene sequence analysis and multiplex PCR assay with recA genederived primers. Appl. Environ. Microbiol. 67: 3450-3454 (2001) 

  31. van de Guchte M, Serror P, Chervaux C, Smokvina T, Ehrlich SD, Maguin E. Stress responses in lactic acid bacteria. Antonie Van Leeuwenhoek. 82: 187-216 (2002) 

  32. McDonald LC, HP Fleming, HM Hassan. Acid tolerance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Appl. Environ. Microbiol. 56: 2120-2124 (1990) 

  33. Chen P, Zhang Q, Dang H, Liu X, Tian F, Zhao J, Chen Y, Zhang H, Chen W. Screening for potential new probiotic based on probiotic properties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Food Control 35: 65-72 (2014) 

  34. Ramchandran L, Shah NP. Effect of exopolysaccharides and inulin on the proteolytic, angiotensin-I-converting enzyme-and a-glucosidaseinhibitory activities as well as on textur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low-fat yogur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Dairy Sci. Technol. 89: 583-600 (2009) 

  35. Lebeer S, Verhoeven TL, Francius G, Schoofs G, Lambrichts I, Dufrne Y, Vanderleyden J, de Keersmaecker SC. Identification of a gene cluster for the biosynthesis of a long, galactose-rich exopolysaccharide in Lactobacillus rhamnosus GG and functional analysis of the priming glycosyltransferase. Appl. Environ. Microbiol. 75: 3554-3563 (2009) 

  36. Mathangi T, Prabhakaran P.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of the aquatic fern Marsilea quadrifolia Linn. Int. J. Curr. Microbiol. App. Sci. 2: 534-536 (2013) 

  37. Jeong SJ, Shim RS, Lee JS, Nam HS, Lee HG. Antioxidant and synergistic activities of fruit and vegetable concentra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240-245 (2015) 

  38. Aruoma OI, Cuppett SL. Antioxidant methodology: In vivo and in vitro concepts.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Urbana, IL, USA (1997) 

  39. In MJ, Kim HM, Jin HJ, Kim DC, Oh NS, Chae HJ. Production of a fermented Korean pear puree using a new strain Leuconostoc mesenteroides KACC 91495P isolated from kimchi. J. Appl. Biol. Chem. 53: 51-55 (2010). 

  40. Heo J, Lee CM, Park MK, Jeong DY, Uhm TB. Isolation of indigenous Lactobacillus plantarum for malolactic fermentation. Korean J. Microbiol. 51: 169176 (2015) 

  41. Curk MC, Hubert JC, Bringel F. Lactobacillus paraplantarum sp. nov., a new species related to Lactobacillus plantarum. Int. J. Syst. Evol Microbiol. 46: 595-598 (1996) 

  42. Zanoni P, Farrow JA, Phillips BA, Collins MD. Lactobacillus pentosus (Fred, Peterson, and Anderson) sp. nov., nom. rev. Int. J. Syst. Evol Microbiol. 37: 339-341 (1987) 

  43. Bringel F, Qune P, Tailliez P. Polyphasic investigation of the diversity within Lactobacillus plantarum related strains revealed two L. plantarum subgroups. System. Appl. Microbiol. 24: 561- 571 (2001) 

  44. Minist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raw material DB.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safefoodlife/foodMeterial/foodMeterialDB.do. Accessed Sep. 29, 2016. 

  45. MFDS. Food standard codex.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pp. 5-18-4 (2012) 

  46. Garcera G, Jose MA, Campos MA, Zuniga MA, Uruburu FE. Growth and metabolism of L-malic acid by Lactobacillus plantarum CECT 220 in a defined medium. J. food sci. 57: 778-780 (1992) 

  47. Tallon R, Bressollier P, Urdaci MC.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EP56. Res. Microbiol. 154: 705-712 (2003) 

  48. Virtanen T, Pihlanto A, Akkanen S, Korhonen H. Development of antioxidant activity in milk whey during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J. Appl. Microbiol. 102: 106115 (2006) 

  49. Lee NK, Kim HW, Chang HI, Yun CW, Kim SW, Kang CW, Paik HD.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plantarum NK181 isolated from jeotgal, a Korean fermented food. Food Sci. Biotechnol. 15: 227-231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