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기적 측정조건을 달리하여 측정한 쌀밥의 조직감 특성 변화
Variations in the texture properties of cooked rice as a function of instrumental parameter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5, 2016년, pp.521 - 524  

최원석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서한석 (아칸소대학교 식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쌀밥의 조직감 측정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텍스처 프로파일 분석(TPA)에 있어서, 모방적기기인 texture analyser를 사용하여 측정조건, 즉 압착율과 탐침이동속도를 달리하면서 4종류의 즉석쌀밥 시료들에 대한 경도, 점착성, 응집성, 씹힘성 및 탄성을 측정하였다. 4종류의 즉석쌀밥 시료들은 압착율과 탐침이동속도가 달라짐에 따라, 각각의 조직감 특성에 있어서 시료들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다섯가지 조직감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했을 경우에도 측정조건에 따라서 4종류 시료들이 서로 다르게 그룹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더불어, 쌀밥의 조직감 평가시 사용되는 '점착성/경도'값도 측정조건에 따라 4종류 시료들이 서로 다른 값을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쌀밥의 조직감 측정시 쌀밥의 관능적 조직감 특성을 객관적으로 언급할 목적으로 기기적 측정을 수행한다면, 여러 분석을 통해 관능검사 결과와 가장 부합하는 측정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정한 기기적 측정조건을 설정할 경우 실험목적에 따라 여러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측정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variations in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of cooked rice in relation to the instrumental parameter conditions. The TPA of four types of ready-to-eat, white rice products was conducted in two levels of compression ratio (30 and 70%) and cross-head speed (0.5 and 1.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직감 측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방적 측정기기의 하나인 texture analyser를 사용하여, 대표적 측정조건 변수인 압착율과 탐침이동속도를 달리하여 측정하는 것이 쌀밥의 시료간 조직감특성에 어떠한 유사성과 상이성을 보이며, 결과적으로 시료간 조직감 유의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텍스처 프로파일 분석(texture profile analysis; TPA), 계층적 군집분석(agglomerative hierarchical clustering)과 ‘점착성/경도’ 비율 측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측정조건에 따라 즉석쌀밥 제품의 ‘점착성/경도’값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조사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밥의 관능적 기호도는 무엇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가? 이에 따라, 농민단체, 학계, 그리고 산업체에서는 관능적 기호도가 높은 쌀품종을 육종 및 재배하고, 쌀밥의 관능적 기호도를 높일 수 있는 조리기구와 조리조건을 고안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쌀밥의 관능적 기호도는 조직감(45.8%)과 향미(21.9%)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고(2), Lee와 Park(3)은 한국 소비자들이 ‘말랑말랑’, ‘쫄깃쫄깃’, ‘부드러운’ 조직감 특성을 갖는 쌀밥을 선호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즉석 쌀밥의 경도, 점착성, 응집성, 씹힘성 및 탄성을 측정한 결과는 어떠한가? 쌀밥의 조직감 측정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텍스처 프로파일 분석(TPA)에 있어서, 모방적기기인 texture analyser를 사용하여 측정조건, 즉 압착율과 탐침이동속도를 달리하면서 4종류의 즉석쌀밥 시료들에 대한 경도, 점착성, 응집성, 씹힘성 및 탄성을 측정하였다. 4종류의 즉석쌀밥 시료들은 압착율과 탐침이동속도가 달라짐에 따라, 각각의 조직감 특성에 있어서 시료들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다섯가지 조직감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했을 경우에도 측정조건에 따라서 4종류 시료들이 서로 다르게 그룹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더불어, 쌀밥의 조직감 평가시 사용되는 '점착성/경도'값도 측정조건에 따라 4종류 시료들이 서로 다른 값을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쌀밥의 조직감 측정시 쌀밥의 관능적 조직감 특성을 객관적으로 언급할 목적으로 기기적 측정을 수행한다면, 여러 분석을 통해 관능검사 결과와 가장 부합하는 측정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정한 기기적 측정조건을 설정할 경우 실험목적에 따라 여러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측정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쌀밥의 조직감 측정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분석법은 무엇인가? 쌀밥의 조직감 측정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텍스처 프로파일 분석(TPA)에 있어서, 모방적기기인 texture analyser를 사용하여 측정조건, 즉 압착율과 탐침이동속도를 달리하면서 4종류의 즉석쌀밥 시료들에 대한 경도, 점착성, 응집성, 씹힘성 및 탄성을 측정하였다. 4종류의 즉석쌀밥 시료들은 압착율과 탐침이동속도가 달라짐에 따라, 각각의 조직감 특성에 있어서 시료들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변화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Statistics Korea. 2015 Grain Consumption Update. Available from: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6084894. Accessed Apr. 25, 2016. 

  2. Min BK. Effects of cooking conditions on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1993) 

  3. Lee CH, Park SH. Studies on the texture describing terms of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1-29 (1982) 

  4. Kim MH. Effect of soaking conditions on texture of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511-514 (1992) 

  5. Okabe M. Texture measurement of cooked rice and its relationship to eating quality. J. Text. Stud. 10: 131-152 (1979) 

  6. Saleh MI, Meullenet JF. Effect of protein disruption using proteolytic treatment on cooked rice texture properties. J. Text. Stud. 38: 423-437 (2007) 

  7. Meullenet JFC, Gross J, Marks BP, Daniels M. Sensory descriptive texture analyses of cooked rice and its correlation to instrumental parameters using an extrusion cell. Cereal Chem. 75: 714- 720 (1998) 

  8. Choi UK, Choi WS. A review on methods and conditions of mechanical test for texture of cooked rice. Food Indust. Nutr. 20: 18-21 (2015) 

  9. Choi WS. Microstructure-texture relationship in food and correlation between instrumental measurement and sensory evaluation. Food Sci. Ind. 44: 50-56 (2011) 

  10. Szczesniak AS. Objective measurements of food texture. J. Food Sci. 28: 410-420 (1963) 

  11. Lee SJ. Water addition ratio affected texture properties of cooked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810-816 (1996) 

  12. Kim MH. Effect of soaking conditions on texture of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511-514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