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반 후 단시간 경과에 의한 쌀밥의 조직감 변화 연구
Study on texture change of cooked rice within a short time after cooking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3, 2020년, pp.310 - 315  

신선화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최원석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개 상표의 즉석 쌀밥을 이용하여, 취반 후 30분 이내(0, 5, 10, 20, 30분)의 조직감 변화를 탐침이동 속도(0.5, 1 mm/s) 및 변형률(30, 70%)을 달리하면서 TPA방법으로 경도, 점착성, 응집성, 씹힘성 및 탄성 항목에 대해 측정하였다. 쌀밥의 조직감은 응집성, 점착성 및 씹힘성의 경우 취반 후 20-30분 경과 시, 취반 직후 시료와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가 다수 발생하였으며, 특히 점착성은 취반 후 10분 경과 때부터 유의적 차이가 일부에서 나타난 반면에 탄성은 30분 경과 때에도 유의적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쌀밥의 조직감을 측정할 경우 가급적 취반 후 10-20분 이내에 측정하는 것이 변화되지 않은 원래 쌀밥의 조직감 측정을 위해 바람직하다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xture change of cooked rice within a short time after cooking. Using four instant rice brands, the texture change within 30 min after cooking was measured by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method for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chewiness,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쌀밥의 조직감 측정에 흔히 사용되는 TPA는 기계적 측정값과인간의 관능적 측정값 사이의 상관성(유사성)을 근거한 분석방법이나(Choi와 Choi, 2015), 아직 이를 이용한 표준화된 측정조건이확립되지 않았으며, TPA 방법은 동일한 시료임에도 측정조건이달라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다른 측정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oi와 Seo, 2016; Choi, 2017).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특정 측정조건이 아닌 여러 조건에서 TPA를 실시하였다.4개 상표의 즉석 쌀밥을 이용하여, 취반 후 30분 동안(0, 5, 10,20, 30분)의 조직감 변화를 탐침이동 속도 및 변형률을 달리하면서 경도, 점착성, 응집성, 씹힘성 및 탄성 항목에 대해 측정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반 후 24시간 이상의 시간 경과 후 연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시간 경과에 따른 쌀밥의 조직감 변화에 대해 많은 연구보고가 있었으나, 이들 연구의 대부분이 취반 후 24시간 이상의 시간 경과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며(Kim과 Kim, 1996;Kweon 등, 1999), 실제로 쌀밥의 조직감 측정 시에는 준비시간등의 이유로 취반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측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TPA는 무엇인가? 쌀밥의 조직감 측정에 흔히 사용되는 TPA는 기계적 측정값과인간의 관능적 측정값 사이의 상관성(유사성)을 근거한 분석방법이나(Choi와 Choi, 2015), 아직 이를 이용한 표준화된 측정조건이확립되지 않았으며, TPA 방법은 동일한 시료임에도 측정조건이달라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다른 측정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oi와 Seo, 2016; Choi, 2017).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특정 측정조건이 아닌 여러 조건에서 TPA를 실시하였다.
30분 경과 시 경도가 감소하는 이례적 현상이 발생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본 실험 결과에서는 일부 조건과 일부 시료에서 30분 경과 시 경도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는 취반 직후 실험하는 동안 즉석쌀밥을 실온의 밀폐된 상태로 보관하였는데, 이로인해 쌀밥이 머금고 있던 수분이 증발함과 동시에 증발된 수분중 일부가 포장필름 표면에서 응축되어 다시 밥알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WS. A study on the change of rice texture according to a short time after cooking (abstract no. P03-28). In: Abstracts: 2017 KFN Intre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Nov. 8-10, HICO, Gyeongju, Korea.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Busan, Korea (2017) 

  2. Choi UK, Choi WS. A review on methods and conditions of mechanical test for texture of cooked rice. Food Ind. Nutr. 20: 18-21 (2015) 

  3. Choi WS, Seo HS. Variations in the texture properties of cooked rice as a function of instrumental parameter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8: 521-524 (2016) 

  4. Han GJ, Park HJ, Lee HY, Park YH, Cho YS. Cooking techniques to improve the taste of cooked r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188-197 (2008) 

  5. Kim YD, Ha UG, Song YC, Cho JH, Yang EI, Lee JK. Palatability evalu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Korean J. Crop. Sci. 50: 24-28 (2005) 

  6. Kim MH, Kim SK. Influence of cooking condition and storage time after cooking on texture of cooked rice. J. Korean Soc. Food Nutr. 25: 63-68 (1996) 

  7. Kim HY, Lee HD, Lee CH.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factors influencing the optimum amount of added water for cooking in the preparation of Korean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644-649 (1996) 

  8. Kim JH, Oh SH, Lee JW, Lee CY, Byun MW. Effect of glucono delta-lactone on the quality of cooked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698-1702 (2004) 

  9. Kweon MR, Han JS, Ahn SY.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45-53 (1999) 

  10. Lee CH, Park SH. Studies on the texture describing terms of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1-29 (1982) 

  11. Min BK. Effects of cooking conditions on the textural characteristicsof cooked rice.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1993) 

  12. Okabe M. Texture measurement of cooked rice and its relationship to eating quality. J. Text. Stud. 10: 131-152 (1979) 

  13. Statistics Korea. 2019 Rice Production Survey.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bSeq&aSeq378577&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Feb. 16, 2020. 

  14. Statistics Korea. 2018 Grain Consumption Survey.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D0004&vw_cdMT_ZTITLE&list_idF14_20&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Jan. 28,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