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paper presents the current development progress of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EHI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discusses the utilization, limitations and prospects of EHIs. Method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assessment criteria of EHI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DPSEE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경보건지표는 WHO의 개념모형인 DPSEEA 모형1)을 기반으로 환경요인의 발생부터 노출로 인한 건강영향과 궁극적으로 환경 노출 또는 영향에 대응하고 조치하기 위한 과정을 추동력(Driving force)-압력(Pressure)-상태(State)-노출(Exposure)-영향(Effect)-정책(Action)의 6단계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된 우리나라 환경보건지표 개발현황, 활용, 제한점과 전망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보건지표 개발이 만든 절차는? 환경보건지표 개발은 ‘환경보건지표 제안’, ‘제안된 지표의 실행 가능성 분류 및 실행 가능성 평가’, ‘실행 가능 지표에 대한 예비조사’, ‘산출 대상 환경보건지표 선정’의 절차를 마련하였다. 지표 개발 단계별 절차와 평가방법은 국외의 환경보건지표 개발 사례를 참고하였고, 국내에서 적용가능하고 실행 가능한 환경보건지표를 개발하였다.
환경보건지표 중 어린이와 관련된 지표에는 무엇이 있는가? 개발된 환경보건지표는 2014년까지 5개 분야 23개 지표 (세부지표 108개)로, 대기분야 8개, 실내공기분야 5개, 기후변화분야 2개, 화학물질분야 3개, 수질분야 5개가 선정되었다 (Table 3).11,13-20) 이 중 어린이 환경보건지표는 어린이 인구가중 미세먼지(PM10) 농도, 호흡기계 질환으로 인한 영아사망률, 어린이 천식 유병률, 어린이 아토피피부염 유병률, 어린이 간접흡연 노출을 줄이기 위한 정책 시행여부, 어린이 수인성 질병 발생수로 총 6개가 포함되었다. 환경보건지표별 자료는 자료의 정확성,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WHO, OECD, 유럽연합 등 국제기구와 환경부, 통계청, 국토교통부 등 국가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수집·활용하였고, 지표별 공간적 해상도와 갱신주기는 Table 3과 같다.
환경보건지표란? 환경보건지표는 특정 정책 또는 관리조치 과정에서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하여 환경과 건강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해석을 용이하게 표현한 것으로, 환경노출과 건강영향간의 관련성이 알려진 환경지표 또는 건강지표를 말한다.1) 환경보건지표는 환경수준과 건강영향을 정량화한 수치로 제공하고, 지역과 시간에 따라 비교할 수 있으며, 복잡한 정보를 요약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orvalan C, Briggs D T, Kjellstrom T.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In: Briggs D., Corvalan C., Nurminen M. editors. Linkage Methods for Environment and Health Analysis: General guidelines. A report of the Health and Environment Analysis for Decision-making (HEADLAMP) Project.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1996. p.19-53. 

  2. Bell M L, Cifuentes L A, Davis D L, Cushing E, Telles A G, Gouveia N.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and a case study of air pollution in Latin American cities. Environmental Research. 2011; 111: 57-66. 

  3.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Development of environment and health indicators for EU countries, ECOEHI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4.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Implementing Environment and Health Information System in EUROPE, ENHIS. World Health Organization European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Bonn office; 2005.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Health. Environmental Public Health Indicator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eorgia; 2006. 

  6.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Health, Washington Tracking Network(WTN). Available: https://fortress.wa.gov/doh/wtn/WTNPortal/ [accessed 8 September 2016] 

  7.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Health, Clinical guideline for the diagnosis,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dults and children with asthma, 2013. 

  8. Minnesota Department of Health, Minnesota Extreme Heat Toolkit, 2012. 

  9.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for EUROPE: A pilot indicator-based repor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10.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Health,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nvironmental Public Health Indicator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06. 

  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of National and Local Scale(I); 2011. 

  12. Briggs D.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Framework and Methodologie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ss; 1999. p.9. 

  1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of National and Local Scale(IV); 2014. 

  1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of National and Local Scale(III); 2013.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of National and Local Scale(II); 2012. 

  1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with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2010. 

  1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2010. 

  1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Local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Methodology(III); 2010. 

  1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Local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Methodology(II); 2008.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Local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Methodology; 2008. 

  21. Pond K., Kim RH., Carroquino M-J., Pirard P., Gore F., Cucu A., et al. Workgroup Report: Development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for European Children: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king Group.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2007; 115: 1376-1382. 

  22. Morris GP, Beck SA, Hanlon P, Robertson T. Getting strategic about the environment and health. Public Health. 2006; 120: 889-907. 

  23. Khan R, Phillips D, Fernando D, Fowles J, Lea R.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in New Zealand: Drinking Water-A case study. EcoHealth. 2007; 4: 63-71. 

  24. Andriantiatsaholiniaina L, Kouikoglou V, Phillis Y. Evaluating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uzzy logic reasoning and sensitivity analysis. Ecological Economics. 2004; 48: 149-1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