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보건지표를 이용한 지역 환경보건수준 평가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Health Status based on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2 no.5, 2016년, pp.302 - 313  

정순원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연구과) ,  이영미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연구과) ,  홍성준 (동국대학교 서베이&헬스폴리시 리서치센터) ,  장준영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연구과) ,  유승도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연구과) ,  최경희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연구과) ,  박충희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environmental health status on a local scale using environmental health-related indicators. It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provide synthesized information. Methods: Eighteen indicato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 즉, 변수 간 공분산 및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들끼리 모아 동질적인 요인으로 축소하여 데이터에 대한 복잡성을 줄이고 정보를 쉽게 요약해 용이한 해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추출할 요인의 수는 고유 값을 기준으로 결정하였으며 고유 값이 “1” 이상인 요인의 수만큼 추출하였으며, 어떤 변수들이 어떤 요인에 높게 관계되는지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요인구조를 단순화하고 해석이 가장 용이한 방식으로 알려진 VARIMAX 회전방법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환경보건지표와 환경보건과 관련된 지표들을 활용하여, 환경보건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주성분분석 및 퍼지집합을 적용해보고, 그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환경보건지표의 개발과 산출의 목적은 국가 또는 지역의 환경보건 상태를 비교·분석하여 적절한 환경보건정책의 수립을 지원하고 지역사회 환경보건상태에 대한 개선방안 등을 발굴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PSEEA를 구성하는 6개의 parameter는 무엇인가? DPSEEA는 PSR (Pressure–State– Response) framework을 응용한 모형으로 driving force부터 건강영향까지 원인과 결과의 관련성을 보여주며, PSR framework의 단점을 보완하여 각 단계별로 중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2-3) 이 모형은 driving forces; pressures; environmental states; human exposures to the environment; human health effects; actions 등 6개의 paramet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책 수립 및 그 이행결과와 건강영향과 관련된 모든 요인에 연계되도록 설계되었다. DPSEEA 모델의 가장 큰 장점은 exposure와 state 변수를 분리하고 있는 것인데, 이는 두 매개 변수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정책적 개입이 가능하다는 것이며,1) 또 다른 장점은 전략적 개입을 지원하기 위하여 원인-결과망 전반에 action의 개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환경보건지표의 활용처는 무엇인가? 환경보건지표는 국가의 환경보건수준을 평가하거나 지역 간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환경보건 취약 분야의 도출을 가능하게 하며, 환경보건정책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1) 국제기구나 유럽연합 또는 미국 등 많은 조직과 국가에서 환경보건지표를 선정하여 산출하고 있으며, 지표의 개발 및 활용을 위한 개념모델도 함께 개발하고 있다.
WHO에서 1995년 인간의 질병부담을 고려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한 것은 무엇인가? 1) 국제기구나 유럽연합 또는 미국 등 많은 조직과 국가에서 환경보건지표를 선정하여 산출하고 있으며, 지표의 개발 및 활용을 위한 개념모델도 함께 개발하고 있다. DPSEEA (Driving force- Pressure- State- Exposure- Effect- Action) framework는 인간의 질병부담을 고려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WHO가 1995년에 개발하였다. DPSEEA는 PSR (Pressure–State– Response) framework을 응용한 모형으로 driving force부터 건강영향까지 원인과 결과의 관련성을 보여주며, PSR framework의 단점을 보완하여 각 단계별로 중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orris GP, Beck SA, Hanlon P, Robertson R. Getting strategic about the environment and health. Public Health. 2006; 120: 889-907. 

  2. Rapport D, Friend A. Towards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nvironmental Statistics: A Stress-response Approach. Statistics Canada. Minister of Supply and Services Canada, Ottawa, Ont. 1979. 

  3. Corvalan C, Briggs D T, Kjellstrom T.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In: Briggs D., Corvalan C., Nurminen M. editors. Linkage Methods for Environment and Health Analysis: General guidelines. A report of the Health and Environment Analysis for Decision-making (HEADLAMP) Project.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1996. p.19-53. 

  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f Evaluation Methods for Environmental Health in the Local Community(I); 2008. 

  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f Evaluation Methods for Environmental Health in the Local Community(?); 2009. 

  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f Evaluation Methods for Environmental Health in the Local Community(III); 2010. 

  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f Review and Development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2010. 

  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of National and Local scale(I); 2011. 

  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of National and Local scale(II); 2012. 

  1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of National and Local scale(III); 2013. 

  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of National and Local scale(IV); 2014. 

  12. Wcislo E, Dutkiewicz T, Konczalik J. Indicator-Based Assessment of Environmental Hazards and Health Effects in the Industrial Cities of Silesia, Poland.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2002; 110(11): 1133-1140. 

  13. Clerici N, Bodini A, Ferrarini A. Sustainability at the Local Scale: Defining Highly Aggregated Indices for Assess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Province of Reggio Emilia(Italy) as a Case Study. Environmental Management. 2004; 34(4): 590-608. 

  14. Heo SK, Lee JT. Study of Environmental Health Problems in Korea Using Integrated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International Journal Environmental Research Public Health. 2013; 10: 3140-3156. 

  15. Statistics Korea. Korea Statistics Yearbook; 2011. 

  16.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al Statistics Yearbook; 2011. 

  17.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nnual report of ambient air quality in Korea, 20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Available : http://webbook.me.go.kr/DLi-File/091/012/5515496.pdf [accessed 15 January 2016] 

  18.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ir pollutants emission (1999-201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Available: http://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553596.pdf [accessed 15 January 2016] 

  19. Jolliffe I.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John Wiley & Sons, Ltd; 2002. 

  20. Abdi H, Williams LJ.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Computational Statistics. 2010; 2(4): 433-459. 

  21. Zadeh LA. Fuzzy sets. Information and control. 1965; 8(3): 338-353. 

  22. Zadeh LA. Fuzzy sets as a basis for a theory of possibility. Fuzzy sets and systems. 1978; 1(1): 3-28. 

  23. Cho IH, Kim YS and Zoh KD. A Case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ssessment betwee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ost-Environmental Investigation Usi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2005; 31(2): 134-146. 

  24. Loska K, Wiechula D. Application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the estimation of source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urface sediments from the Rybnik Reservoir. Chemosphere. 2003; 51(8): 723-733. 

  25. Baek SO and Hwang SM. Source Characteriza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in Taegu Area,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upled with Multiple Regress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992; 8(3): 179-190. 

  26. Korea Industrial Complex Corporation. 10 years of Korea Industrial Complex (2003-2013). Available: http://www.kicox.or.kr/home/popup/stats10.pdf [accessed 15 January 2016] 

  27. Lissner TK, Holsten A, Walther C, Kropp JP. Towards sectoral and standardised vulnerability assessments: the example of heatwave impacts on human health. Climate Change. 2012; 112(3): 687-7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