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 지식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the Advertisement on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4 no.5, 2016년, pp.451 - 459  

임수민 (리틀핸즈 어린이집) ,  안효진 (인천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develop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 as well as investigat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advertisements on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y using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들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보전 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행되었다. 환경이라는 다소 추상적인 개념이나 직접 체험하기 어려운 내용들을 광고라는 매체를 통해 유아들에게 제공하였을 때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환경 공익광고를 활용해서 환경교육을 실시했을 때, 유아들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보전 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유아들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보전 지식 증진을 위한 공익광고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유사하게 환경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유아 환경교육을 실시한 Ahn과 Kim [2]의 연구가 있지만, 유아들에게 환경에 대한 광고를 활용해서 환경교육을 실시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환경 공익광고를 활용해서 환경교육을 실시했을 때, 유아들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보전 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유아들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보전 지식 증진을 위한 공익광고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상매체를 활용한 환경교육이란 무엇인가요? 그러나 최근에는 단순히 동화, 동시 및 이야기 나누기에서 벗어나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환경교육을 실행하고 있다. 영상매체를 활용한 환경교육이란 영상과 언어가 결합되어 있는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짧은 시간 안에 학습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줌으로써 학습적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그 중 하나는 광고를 활용한 교육이다.
환경 공익광고가 교수 학습자료로서의 가치가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환경 공익광고는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TV, 신문, 잡지 등과 같은 매스미디어를 통해 환경에 관련된 흥미를 끌 수 있도록 하고, 환경오염, 자원절약, 자연환경 보호 등의 다양한 영역을 다루기 때문에 교수 학습 자료로서의 가치가 크다[18]. 이는 광고를 통해 환경에 대한 이상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22].
자연환경의 개발과 성장의 역기능은 무엇인가요? 이러한 개발과 성장은 인간들에게 편리함과 경제적인 부, 그리고 사회적 발전을 이루게 하였다. 발전과 성장이라는 순기능도 있지만, 과도하고, 무분별적인 개발과 사용으로 인해 인간들은 물 부족이나 황사 등의 공기 오염을 경험하게 되고, 바다의 수위가 상승되고, 예측할 수 없는 기후변화 등을 경험하는 지구 온난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전 세계는 위기 상황 속에 처하게 되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S. R. (2013).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documentaries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 Ahn, S. R., & Kim, M. J. (2014).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documentaries: Its effects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9 (3), 1-25. 

  3. Cha, Y. C., Lee, H., & Shin, M. (2013). A study on improvement method about advertising education by the environmental change of advertising industry.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6 (1), 150-169. http://dx.doi.org/10.21331/jprapr.2013.6.1.007 

  4. Chae, Y. R., Lim, S. H., & Park, Y. Y. (2011).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using environmental-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5 (1), 351-369. 

  5. Cho, H. S., & Kim, S. H. (2011).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trend.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5 (2), 419-445. 

  6. Cutter-Mackenzie, A., & Edwards, S. (2006).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content are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urriculum. Austral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2 (2), 13-19. 

  7. Cutter-Mackenzie, A., & Edwards, S. (2013). Toward a model for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Foregrounding, developing, and connecting knowledge through play-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44 (3), 195-213. http://dx.doi.org/10.1080/00958964.2012.751892 

  8. D'Amato, L. G., & Krasny, M. E. (2011). Outdoor adventure education: Applying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o understanding instrumental learning and personal growth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42 (4), 237-254. http://dx.doi.org/10.1080/00958964.2011.581313 

  9. Davis, J. (2005). Educating for sustainability in the early years: Creating cultural change in a child care setting. Austral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1, 47-55. http://dx.doi.org/10.1017/s081406260000094x 

  10. Han, T. H. (2001).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kindergarten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11. Hong, J. M. (2006). The effects of integrated activities utilizing environmental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and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Gwangju, Korea. 

  12. Hur, Y. J. (2001). The effect of integrated activities for forstering animals on the children's proenvironmental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3. Jeon, S. Y. (2013).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deologies in the environmental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4. Joo, Y. J. (2009). The effect of sound and rhythmic movements activities programs using mass image media on linguistic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CM songs in TV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H. Y., & Lee, M. O. (2013).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home cooperated ecology storybook-related activities on kindergarten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7 (2), 19-45. 

  16. Kim, J. (2007). Effects of pro-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mov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environmental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17. Kim, J. H., & Kim, T. H. (2002). The Influence of value orientation on green advertising message effect. Advertising Research, (56), 81-99. 

  18. Kim, J. M. (2005). Impa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public advertisement on the environmental knowledge and attitude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19. Kim, M. K. (2009).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ublic service advertising. Journal of Political Communication Study, (14), 5-49. 

  20. Kim, S. (2014). The effect of green growth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knowledge about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ro-environmental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Korea. 

  21. Kim, S. Y. (2008). Effects of environmental documentaries on elementary students' pro-environmental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22. Kong, H. H., & Lee, K. S. (2010). The research on effective expression of the 'Green Public Campaign Advertisement': With the semiotic square model and J.M. Floch. Illustration Research, 11(22), 54-64. 

  23. Lee, J. A., & Moon, S. H. (2013). The development of subjects-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public advertise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4 (4), 297-314. 

  2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Nuri curriculum. Gwache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5. Ministry of Environment. (1994). White paper of environment . Gwacheon: Ministry of Environment.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White paper of environment. Sejong: Ministry of Environment. 

  27. Musser, L. M., & Diamond, K. E. (1999).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0 (2), 23-30. http://dx.doi.org/10.1080/00958969909601867 

  28. Park, H. S. (2000).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project approa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9. Park, S. Y. (2007). Effects on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public message video material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environmental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30. Park, S. Y. (2012). Influence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environmental fairy tales on environment 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knowled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31. Yoon, A. H., & Park, J. M. (1998). Analysis of the contents of physical activities in the educare program for young children.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6, 25-48. 

  32. Yoon, K. Y., & Cho, K. H. (1993). A study of environmental education plan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Seowon University, 29, 25-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