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과보호 행동 탐색 연구: 양육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Childrearing Practices Perceived as Overprotective Behaviors for First to Third Grade Levels of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Cognition of the Guardian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4 no.5, 2016년, pp.475 - 485  

신수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전공) ,  이완정 (인하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mothers' and grandmothers' perception regarding child rearing practices as overprotective behaviors for first to third grade levels of elementary school. The study was conducted on 202 mothers and grandmothers of first to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Questionnaire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와 이 연령대 손자녀의 양육에 참여한 할머니를 대상으로 과보호 행동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조사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기존에 개발된 유아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 대상 과보호 행동 척도의 문항 중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게 해당될 수 있는 내용을 추출하여, 각 양육 행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게 구사하기에 어느 정도 과보호 행동이라고 생각하는지 응답해주도록 하였다. 자료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과보호 행동 인식 문항은 ‘독립성 저해,’ ‘안전 과민,’ ‘일상생활 관여’ 및 ‘건강 염려’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Ahn [1]이 어머니 개인의 신념(인식)과 같은 추상적 가치는 양육행동과는 연관이 적을 수 있으며, 바람직한 양육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는 것이 자녀에게 유익한지 인지하고 있지만 부딪히는 실생활에서는 그대로 시행하지 못할 가능성을 있다고 시사한 바 있듯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과보호 행동 인식과 더불어, 양육자의 행동을 함께 조사해보며 매우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그동안 접근의 어려움, 척도의 부재의 이유로 연구 대상에서 줄곧 배제되어 왔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양육행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또한 과보호 행동에 대한 현 시대 우리 사회 구성원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후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대상 과보호 행동 척도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탐색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특정 양육행동들을 과보호 행동이라 인식하는 정도가 어머니와 할머니 세대 간에, 대상 아동의 특성에 따라,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심리적 특성에 따라 다른지 조사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양육자의 과보호 행동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과보호 행동 척도를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자녀의 발달특성에 맞는 양육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적절한 보호행동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양육자의 과보호 행동 인식을 탐색적으로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와 이 연령대 손자녀의 양육에 참여한 할머니를 대상으로 과보호 행동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조사해 보았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양육자의 특정 양육 행동을 과보호 행동이라고 인식하는 정도가 어떠한지 탐색적으로 조사하고자 한 연구이므로 저학년 아동을 둔 어머니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조사하고자 하는 문항의 내용이 모호하거나 응답하기에 애매한 것이 있는지 파악하고 일부 지적사항에 대한 수정 과정을 거쳤다. 본 조사를 위해 I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한 곳의 교장선생님께 연구 참여 동의를 구하고, 해당 초등학교의 1학년, 2학년, 3학년 전체 학급(총 11학급)의 아동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담임교사를 통해 회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각 요인에 해당하는 양육행동을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게 실행할 경우 과보호 행동이라고 생각하는 정도가 어머니와 할머니 세대 간에 다른지, 아동이나 어머니의 배경 변인에 따라 다른지 분석해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과보호 행동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현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사회 구성원들이 특정 양육행동을 얼마나 과보호 행동이라 인식하는지에 대해 먼저 탐색해 보고자 한다. 신념, 귀인, 개념과 같은 맥락으로 쓰이는 ‘인식’은 추상적인 가치로서 부모의 행동을 유도하고, 부모의 행동은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인식은 아동발달에 있어 양육 행동보다 더욱 근원적이며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12].
  • 양육 신념에 대한 Lee와 Hyun [21]의 연구에서 할머니 세대는 상호의존성을 중요한 양육가치로 생각하고 있는데 비해, 어머니 세대는 독립성을 추구해야 할 양육 가치로 인식하고 있어, 양육 신념에 있어 세대 간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도 과보호 양육 행동에 대한 어머니 세대와 할머니 세대의 인식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세대가 변함에 따라 자녀 양육에 대한 가치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한다.
  • 신념, 귀인, 개념과 같은 맥락으로 쓰이는 ‘인식’은 추상적인 가치로서 부모의 행동을 유도하고, 부모의 행동은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인식은 아동발달에 있어 양육 행동보다 더욱 근원적이며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1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특정 양육행동들을 과보호 행동이라 인식하는 정도가 어머니와 할머니 세대 간에, 대상 아동의 특성에 따라,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심리적 특성에 따라 다른지 조사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양육자의 과보호 행동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과보호 행동 척도를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양육자의 과보호 행동 인식을 탐색적으로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와 이 연령대 손자녀의 양육에 참여한 할머니를 대상으로 과보호 행동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조사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기존에 개발된 유아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 대상 과보호 행동 척도의 문항 중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게 해당될 수 있는 내용을 추출하여, 각 양육 행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게 구사하기에 어느 정도 과보호 행동이라고 생각하는지 응답해주도록 하였다.
  • 이러한 결과는 두 연구의 측정방식 차이로 나타난 차이일 수 있다. 즉, 본 연구에서는 Yeom과 Lee [28]의 연구처럼 과보호 행동의 실행정도를 묻지 않고, 특정 행동이 얼마나 과보호 행동이라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Yeom과 Lee [28]는 부모들이 첫 아이에 대해 갖고 있던 자녀관이나 기대에 충족되지 못했을 때 자녀를 거부하는 등의 양육태도로 아동에게 불안이나 우울증상을 초래 할 수 있다고 하였다.
  •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과보호 행동 도구는 개발된 것이 없어, 본 연구에서는 양육자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특정 행동을 과보호 행동이라고 인식하는 정도가 어떠한지 탐색적으로 조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 대한 과보호 행동[4] 도구와 취학 전 유아에 대한 과보호 행동[26] 도구 문항을 기반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게 적용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40개의 문항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란?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는 학령 초기로서 아동이 규칙 및 학습태도와 생활습관을 익히고, 독립성을 키우며, 자기주도적인 행동양식의 첫걸음을 딛게 되는 중요한 시기이며, 이에 따라 부모의 바람직한 자녀 양육 역할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때이기도 하다. 부모는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및 적응과정에서 그간 유아기 자녀에게 구사해왔던 양육행동의 내용과 수준을 일부 조정해야 하지만,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해 막연하게 불안감을 갖게 되면 부모의 양육행동은 자녀의 연령에 맞는 적절한 보호행동을 넘어서서 과보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양육자의 적절한 보호행동의 장점은 무엇인가? 양육자의 적절한 보호행동은 아동의 안전과 건강한 성장에 필요하고, 아동이 양육자와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며, 아동으로 하여금 자신과 타인에 대해 건전한 믿음을 갖게 함으로써 전반적인 발달에 도움이 된다. 반면, 자녀의 연령이나 발달 정도에 맞지 않게 양육자가 지나친 보호나 간섭을 하는 것을 일컫는 ‘과보호 행동’은 자녀의 순조로운 발달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양육자가 자녀를 위해 지나친 보호나 간섭을 할 경우 어떤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가? 반면, 자녀의 연령이나 발달 정도에 맞지 않게 양육자가 지나친 보호나 간섭을 하는 것을 일컫는 ‘과보호 행동’은 자녀의 순조로운 발달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과보호 행동을 하는 부모는 자녀에 대한 사랑과 관심이 지나친 것을 넘어 자녀의 주위에서 언행과 일상에 일거수일투족 개입함으로써 자녀 스스로 어떠한 일을 시도해보거나 독립적으로 행동하기 어려워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쉽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J. Y. (2000).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 Ahn, J. Y., & Doh, H. S. (1998).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s stranger anxiety, separation anxiety, and maternal separation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 (8), 13-20. 

  3. Brooks, J. B. (2006). Parenting (S. R. Lee, Y. S. Moon, & G. H. Shin, Trans.). Seoul: Hakjisa. 

  4. Chung, E. Y. (2008). Development of an overprotection scale and study for valid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5. Chung, E. Y., & Chang, S. S. (2008). The development of an overprotection scale based on teenagers' perception of their mother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 (2), 293-312. 

  6. Chung, I. J. (2012). The influences of parental neglect, overprotection and private tutoring on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2 (4), 255-278. http://dx.doi.org/10.18023/kjece.2012.32.4.012 

  7. Chung, K. M., & Yoon, J. L. (201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12 (1), 1-29. 

  8.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9. Doh, H. S., & Falbo, T. (1999). Social competence, maternal attentiveness, and overprotectiveness: Only childre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3 (1), 149-162. http://dx.doi.org/10.1080/016502599384044 

  10. Eysenck, H. J., & Eysenck, S. B. G. (1975). Manual of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London: Hodder and Stoughton. 

  11. Eysenck, S. B. G., & Lee, H. S. (1985). Cross-cultur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dimensions: Korean & English.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5 (1), 51-66. 

  12. Goodnow, J. J. (1988). Parents' ideas, actions, and feelings: Models and methods from developmental and social psychology. Child Development, 59 (2), 286-320. http://dx.doi.org/10.2307/1130312 

  13. Hock, E., McBride, S., & Gnezda, M. T. (1989). Maternal separation anxiety: Mother-infant separation from the maternal perspective. Child Development, 60 (4), 793-802. http://dx.doi.org/10.2307/1131019 

  14. Jeun, H. J. (1997). The effect of childhood experience,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on childrear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5. Kang, J. H. (2012). Relevance of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the primary caregivers and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16. Ki, M. H.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maternal overprotection, ego-resili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7. Kim, C. K. (2000). Individual psychological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the parent's over-protection for the childrearing which affects the personality development of the child. The Journal of Play Therapy, 4 (1), 35-49. 

  18. Kim, K. M. (2003). Mothers' & children's characteristics related to maternal overprot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19. Lee, J. W. (2014).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play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and children's academic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S., & Choi, J. M. (2006). Maternal overprotective behavior and their children's aggression, withdrawal and perceived competence.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7 (2), 69-79. 

  21. Lee, W., & Hyun, O. K. (1999). A comparative study of mothers' and grandmothers' infant/toddler rearing beliefs: Examined by interdependence and independenc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 (4), 97-110. 

  22. Levy, D. M. (1943). Maternal overprotection.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23. Lim, H. S. (2001). Child's sex, temperament, mother's emotion regulation, and parenting as related to child's emotion reg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4. Park, J. S. (2008). Child's social behavior as related to child's temperament, emotion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5. Shin, K. A. (1998). A study on the conflict and reconstruction of mothering in Korean women: The cases of full-time & working mothers at the age of 30'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26. Song, H. H.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tection tools for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7. Statistics Korea. (2015). Women's lives through statistics in 2015. Retrieved July 2, 2015, from http://kostat.go.kr 

  28. Yeom, S., & Lee, Y. (1999). A study of maternal rearing variables related to internalizing syndromes of children. The Journal of Play Therapy, 2 (1),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