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불안이 과보호 양육에 미치는 영향: 유아 기질의 조절 효과
The Effects of Maternal Anxiety on Overprote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9 no.4, 2023년, pp.89 - 109  

유소미 (이든유치원) ,  정영선 (평택대학교 아동청소년교육상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nxiety and overprotection. Methods: A total of 250 mothers with 5-year-old children responded to online survey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questions about maternal anxiety, o...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75)

  1. 강엄지 (2021).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 기질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영미 (2004). 어머니의 성취 동기, 특성불안 및 자녀에 대한 신뢰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공경혜 (2003). 어머니의 자아개념 및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초등학교 고학년자녀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가연 (2019). 헬리콥터 부모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장성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나희 (2010). 어머니의 인성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과보호.통제적 양육행동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나희, 박보경, 도현심 (2012). 어머니의 인성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과보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3), 151-163. https://doi.org/10.7466/JKHMA.2012.30.3.151 

  7. 김린 (2017). 어머니의 침해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숙달 동기에 미치는 영향: 기질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미연 (2019). 유아기질-어머니요구도 조화적합성과 어머니 양육행동 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민정, 도현심, 신나나, 최미경 (2013).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영향. 아동학회지, 34(2), 101-119. https://doi.org/10.5723/KJCS.2013.34.2.101 

  10. 김성희, 정옥분 (2011).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관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8(3), 69-92. 

  11. 김은영 (2013). 영유아기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양육죄책감 및 아버지의 양육지원.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재희 (2020). 어머니의 한계설정과 과보호/허용 양육이 유아의 외현화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3), 99-117.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3.099 

  13. 김정택, 신동균 (1978). STAI의 한국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21(11), 69-75. 

  14. 김지연, 오경자 (2011). 부모의 과보호가 성인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3), 647-661. https://doi.org/10.15842/kjcp.2011.30.3.002 

  15. 김춘경 (2000). 부모의 과잉보호가 아동의 성격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인심리학적 분석. 놀이치료연구, 4(1), 35-49. 

  16. 류정민, 신나나 (2018). 취업모의 분리불안, 직업만족도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분리불안에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1), 1-20.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1.001 

  17. 박성연, 전춘애, 한세영 (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203-215. 

  18. 박성연, 케네스 루빈 (2008). 걸음마기 아동의 성, 기질 및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영향. 아동학회지, 29(2), 109-125. 

  19. 박아청 (1998). 과보호의 발달심리학적 의미에 대한 일고찰. 인간발달연구, 5(1), 53-73. 

  20. 소언주, 도현심 (2001). 어머니의 분리불안: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초기 기질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9(11), 209-222. 

  21. 송지은, 신나리 (2023). 유아의 유능감이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과보호의 조절효과: 유아의 기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2), 21-42.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2.021 

  22. 신혜린 (2012). 어머니 특질불안이 어머니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양명재, 방희정 (2014). 유아의 수줍음, 인지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간의 관계: 양육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30(4), 363-386. 

  24. 위지희, 채규만 (2015). 양육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지, 34(4), 945-970. https://doi.org/10.15842/kjcp.2015.34.4.005 

  25. 이경숙 (1997). 어머니의 특성불안과 자녀교육관이 부정적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연실 (2017).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우울과 불안 성향이 자녀 양육유형에 미치는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31(4), 309-334. https://doi.org/10.18398/kjlgas.2017.31.4.309 

  27. 이정순 (2010). 부부관계가 어머니와 유아의 행동 및 유아의 정서불안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4(3), 37-56. 

  28. 이정희, 한세영 (2019). 어머니의 자기분화, 어머니의 분리불안 및 과보호 양육행동이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40(6), 31-47. https://doi.org/10.5723/kjcs.2019.40.6.31 

  29. 이종표, 김리진 (2019). 아동이 지각한 부.모 과보호가 아동의 내현적 자기애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지지의 조절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2(4), 425-443. http://doi.org/10.17641/KAPT.22.4.4 

  30. 이지현 (2021).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도와 과보호 및 자율성지지 양육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임선아 (2019). 모가 지각하는 부부갈등이 우울감을 매개하여 영유아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종단 관계 검증. 한국영유아보육학, 117, 51-71. https://doi.org/10.37918/kce.2019.07.117.51 

  32. 임희수, 박성연 (1994). 첫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관련변인. 아동학회지, 15(2), 153-168. 

  33. 장유진 (2016). 어머니의 불안, 심리적 통제 양육과 성취관심이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미치는영향: 과제수행 효능감의 매개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정영선, 박경자 (2021).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42(3), 359-370. https://doi.org/10.5723/kjcs.2021.42.3.359 

  35. 정은영, 장성숙 (2008). 청소년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과보호 척도 개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요인분석 결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93-312. 

  36. 정익중 (2012). 방임, 과보호, 사교육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2(4), 255-278. 

  37. 조윤영 (2014). 걸음마기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기질 요구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조혜주 (2003). 고령출산모의 양육행동과 자녀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천희영 (1993).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 아동학회지, 14(2), 17-34. 

  40. 허묘연 (200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지, 12(2), 170-189. 

  41. 허태희 (2008).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홍민지 (2018). 어머니 특성불안과 청소년 사회불안 관계에서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 과보호의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홍순옥, 문명순 (2007). 사회경제적 지위가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질에 미치는 영향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과의 관계. 아동교육, 16(2), 57-70. 

  44.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 2104_12 

  4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s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6.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47. Berns, R. M. (2016). Child, family, school, community: Socialization and support (10th ed). Cengage Learning. 

  48. Buss, K. A., Zhou, A. M., & Trainer, A. (2021). Bidirectional effects of toddler temperament and maternal overprotection on maternal and child anxiety symptoms across preschool. Depression & Anxiety, 38(12), 1201-1210. https://doi.org/10.1002/da.23199 

  49. Clark, A.L., Kochanska, G., & Ready, R. (2000). Mothers' personality and its interaction with child temperament as predictors of parenting behaviou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2), 274-285. https://doi.org/10.1037/0022-3514.79.2.274 

  50. Coplan, R. J., Arbeau, K. A., & Armer, M. (2008). Don't fret, be supportive! Maternal characteristics linking child shyness to psychosocial and school adjustment in kindergarte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6, 359-371. https://doi.org/10.1007/s10802-007-9183-7 

  51. Coplan, R. J., Rachel, M., & Rowan, K. (2009). Exploring the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personality,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A focus on emotion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6(2), 241-246. https://doi.org/10.1016/j.paid.2008.10.011 

  52. Crockenberg, S. B. (1986). Are temperamental differences in babies associated with predictable differences in care-giving?.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31, 53-73. https://doi.org/10.1002/cd.23219863105 

  53. Doh, H. S., & Falbo, T. (1999). Social competence, maternal attentiveness, and overprotectiveness: Only childre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3(1), 149-162. 

  54.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orton. 

  55.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orton. 

  56. Kalomiris, A. E., & Kiel, E. J. (2016). Maternal anxiety and physiological reactivity as mechanisms to explain overprotective primiparous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30(7), 791-801. https://doi.org/10.1037/fam0000237 

  57. Kiel, E. J., & Buss, K. A. (2013). Toddler inhibited temperament, maternal cortisol reactivity and embarrassment, and intrusive parenting.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7(3), 512-517. https://doi.org/10.1037/a0032892 

  58. Kwon, K, A., Yoo, G., & De Gagne, J. C. (2017). Does culture matter? a qualitative inquiry of helicopter parenting in Korean Americ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6, 1979-1990. https://doi.org/10.1007/s10826-017-0694-8 

  59. Lee, C. L. & Bates, J. E. (1985). Mother-Child interaction at age two years and perceived difficult temperament. Child development, 56(5), 1314-1325. https://doi.org/10.2307/1130246 

  60. Lerner J. V., & Galambos, N. L. (1985). Mother role satisfactio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 temperament: A process model.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1157-1164. https://doi.org/10.1037/0012-1649.21.6.1157 

  61. Lerner, J. V. (1993). The influence of child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n parent behaviors. In T. Luster & L. Okagaki (Eds.),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pp. 101-120).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62. Levy, D. M. (1966). Maternal overprotection. W. W. Norton & Company, Inc. (Original work published 1943) 

  63. Levy, D. M. (1970). The concept of maternal overprotection. In E. J. Anthony & T. Benedek (Eds.), Parenthood: Its psychology and psychopathology (pp. 387-409). Little, Brown. 

  64. Lindhout, I., Markus, M., Hoogendijk, T., Borst, S., Maingay, R., Spinhoven, P. et al. (2006). Childrearing style of anxiety-disordered parents.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37, 89-102. https://doi.org/10.1007/s10578-006-0022-9 

  65. Mcdevitt, S. C., & Carey, W. B. (1978). The measurement of temperament in 3-7 year old children.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9(3), 245-253. https://doi.org/10.1111/j.1469-7610.1978.tb00467.x 

  66. McShane, K. E., & Hastings, P. D. (2009). The new friends vignettes: Measuri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hat confers risk for anxious adjustment in preschooler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3(6), 481-495. https://doi.org/10.1177/0165025409103874 

  67. Parker, G. (1983). Parental overprotection: A risk factor in psychosocial development. Grune & Stratton. 

  68. Rinaldi, C. M., & Howe, N. (2012).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styles and associations with toddlers' externalizing, internalizing, and adaptive behavio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7(2), 266-273. https://doi.org/10.1016/j.ecresq.2011.08.001 

  69. Rubin, K. H., Colpan, R. J., Bowker, J. C., & Menzer, M. (2010). Social withdrawal and shyness. In P. K. Smith & C. H. Hart (Eds.), Handbook of childhood and social development (pp. 434-454). Blackwell. 

  70. Sanson, A., Hemphill, S. A., & Smart, D. (2004). Connections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development: A review. Social Development, 13(1), 142-170. https://doi.org/10.1046/j.1467-9507.2004.00261.x 

  71. Spielberger, C. D. (1972),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Academic Press 

  72. Symonds, P. M. (1939). The psychology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Appleton. 

  73.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Brunner/ Mazel. 

  74. Thomasgard, M., & Metz, W. P. (1993). Parental overprotection revisited.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24(2), 67-80. https://doi.org/10.1007/BF02367260 

  75. Wood, J. J. (2006). Parental intrusiveness and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in a clinical sample.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37, 73-87. https://doi.org/10.1007/s10578-006-0021-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