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한계설정과 과보호/허용 양육이 유아의 외현화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Maternal Limit-Setting and Overprotective/Permissive Parenting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s: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aternal Depression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3, 2020년, pp.99 - 117  

김재희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Studies have revealed that parenting is a crucial factor for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xternalizing behaviors, however, less is known about the underlying mechanism that may be moderated by maternal depress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testify the mediating effect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듯, 어머니의 우울은 가정맥락에서 존재하는 대표적인 위험요인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자녀의 다양한 발달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가능성을 예측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우울이 스스로의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에 의한 자녀의 심리적, 행동적 발달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변인으로서 우울 수준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한다(문경주, 오경자, 1995; Topham, et al., 2010).
  • 본 연구는 유아 만 4-6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한계설정과 과보호/허용이라는 양육 행동이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통해서 외현화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머니의 우울 수준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 메커니즘을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통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많은 부모가 지키기 어려워하고, 잘못된 방식으로 실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양육방식이 한계설정과 과보호/허용이다.
  • 많은 부모가 지키기 어려워하고, 잘못된 방식으로 실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양육방식이 한계설정과 과보호/허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계설정과 과보호/허용 양육행동이 의도적 통제와 외현화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특히, 어머니의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유아기(Horwitz et al., 2009)에 어머니의 우울정도가 그 영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밝힘으로써, 어머니의 영향이 가정 내에서 어떻게 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그 현상을 이해하고 어머니를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그런데 어머니의 과보호/허용은 어머니가 우울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향상시키고 외현화 행동을 줄일 수 있는 자녀와의 상호작용으로서 역할을 하기도 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서 같은 양육행동이어도 어머니의 우울 정도에 따라서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경로가 달라질 수 있기에 부모교육을 하거나 부모상담을 할 때 부모의 우울 상태를 점검하고, 부모양육 중재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안하고자 한다.
  • 이렇듯, 과보호/허용 수준이 높고, 가정 내 한계설정이 없는 비일관적인 양육환경은 유아의 다양한 문제행동을 유발한다(김효정, 이희선, 2015; 우애리,2014). 이에, 본 연구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일관적인 규칙을 제공하고 행동의 규범을 제공하여 한계설정을 하는 양육을 늘리고, 과보호나 허용적인 양육행동을 줄이는 것이 학교생활에서의 규칙적인 생활과 또래와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준비해야 하는 유아기에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촉진하고 외현화된 문제행동은 줄이는 의미있는 방안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현화된 행동이 위험요인으로 뽑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초등학교 입학 이전 유아에게 나타나기 시작하는 공격적인 행동과 주의집중문제 등의 외현화된 행동은 이후 긍정적인 또래 관계를 방해하고 사회 정서적 발달을 저해하여 학교생활에서의 부적응 행동을 유발하며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의 정상발달 궤적을 일탈할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위험요인이다(Eisenberg et al., 2009).
유아의 의도적 통제나 외현화된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 행동은 어떤 것이 있는가? 따라서,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양육행동 등의 전반적인 특성이나 주로 초점이 된 제한된 양육행동(예: 온정, 강압)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를 한계설정이나 과보호 행동과 같이 상대적으로 덜 조사된 특정 양육행동에 대한 연구로 확장하고 세분화된 양육행동의 영향력을 살펴보며 부족한 이론적 근거를 보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 부모들의 양육 특성을 보면,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의 비율이 높았던 과거에 비해 온정성과 정서적 지지가 지나쳐 유아들을 과보호하거나 허용해버리는 행동이 증가하여 캥거루 맘, 헬리콥터 맘 등 과보호/허용 양육을 하는 부모를 칭하는 용어까지 생겨나는 실정이다(이용화 등, 2014). 즉, 자녀를 지나치게 보호하고 돌봐주거나 간섭하여 혼자 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며 지나친 애정을 보이며 자녀와 분리되지 못하는 행동을 보이는 부모 유형이다(이용화 등, 2014). 이렇듯, 과보호/허용 수준이 높고, 가정 내 한계설정이 없는 비일관적인 양육환경은 유아의 다양한 문제행동을 유발한다(김효정, 이희선, 2015; 우애리,2014).
캥거루 맘, 헬리콥터 맘은 무엇인가? 따라서,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양육행동 등의 전반적인 특성이나 주로 초점이 된 제한된 양육행동(예: 온정, 강압)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를 한계설정이나 과보호 행동과 같이 상대적으로 덜 조사된 특정 양육행동에 대한 연구로 확장하고 세분화된 양육행동의 영향력을 살펴보며 부족한 이론적 근거를 보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 부모들의 양육 특성을 보면,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의 비율이 높았던 과거에 비해 온정성과 정서적 지지가 지나쳐 유아들을 과보호하거나 허용해버리는 행동이 증가하여 캥거루 맘, 헬리콥터 맘 등 과보호/허용 양육을 하는 부모를 칭하는 용어까지 생겨나는 실정이다(이용화 등, 2014). 즉, 자녀를 지나치게 보호하고 돌봐주거나 간섭하여 혼자 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며 지나친 애정을 보이며 자녀와 분리되지 못하는 행동을 보이는 부모 유형이다(이용화 등,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강지현, 오경자 (2011). 유아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연령, 기질과 양육행동의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1), 1-21. 

  2. 김명숙, 오현숙 (2015). 어머니의 기질과 우울 그리고 양육태도와 자녀 성격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513-530. 

  3. 김효정, 이희선 (2015). 어머니 양육행동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5(4), 113-134. doi:10.12812/ksms.2013.15.4.113 

  4. 문경주, 오경자 (1995). 어머니의 우울과 아동의 부적응간의 관계: 모자 상호작용 관찰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41-55. 

  5. 문영경 (2014).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과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유아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생활과학회지, 23(1), 15-29. doi:10.5934/kjhe.2014.23.1.15 

  6. 박주연, 최영희, 황리라, 박남심 (2019).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2(1), 1-19. doi:10.1764/KAPT.22.1.1 

  7. 박주희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오경자, 김영아 (2008). CBCL 1.5-5 유아 행동평가척도-부모용 매뉴얼. 서울: (주) 휴노컨설팅. 

  9. 우애리 (2014).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용화, 김지현, 임소연, 채명옥, 이혜림, 오진아 (2014). 헬리콥터 양육에 대한 진화론적 개념분석. Child Health Nur sing Research, 20(4), 237-246. doi:10.4094/chnr.2014.20.4.237 

  11.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1(1), 65-76. 

  12. 정미경, 김영희 (2003).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부적응. 대한가정학회지, 41(8), 123-137. 

  13. 조현주, 전태연, 채정호, 우영섭, 최정은, 기백석, 임현우 (2007). 우울장애의 불안, 신체화, 분노 증상과 정서조절방략과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지, 26(3), 663-679. 

  14. Achenbach, T. M., & Rescorla, L. A. (2000). Manual for the ASEABA preschool forms & Profiles.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rty. 

  15. Aunola, K., & Nurmi, J. E. (2005). The role of parenting styles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6(6), 1144-1159. doi:10.1111/j.1467-8624.2005.00840.x-i1 

  16. Carter, A. S., Garrity-Rokous, F. E., Chazan-Cohen, R., Little, C., & Briggs-Gowan, M. J. (2001). Maternal depression and comorbidity: Predicting early parenting, attachment security, and toddler social-emotional problems and competenc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0(1), 18-26. doi:10.1097/00004583-200101000-00012 

  17. Chang, H., Olson, S. L., Sameroff, A. J., & Sexton, H. R. (2011). Child effortful control as a mediator of parenting practices on externalizing behavior: Evidence for a sex-differentiated pathway across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school.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9(1), 71-81. doi:10.1007/s10802-010-9437-7 

  18. Choe, D. E., Olson, S. L., & Sameroff, A. J. (2013). Effects of early maternal distress and parenting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externalizing behavior.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5(2), 437-453. doi:10.1017/S0954579412001162 

  19. Chronis, A. M., Lahey, B. B., Pelham Jr, W. E., Williams, S. H., Baumann, B. L., Kipp, H et al. (2007). Maternal depression and early positive parenting predict future conduct problems in young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Developmental Psychology, 43(1), 70-82. doi:10.1037/0012-1649.43.1.70 

  20. Cummings, E. M., & Davies, P. T. (1999). Depressed parents and family functioning: Interpersonal effects and children's functioning and development. In T. Joiner & J. C. Coyne (Eds.), The interactional nature of depression (pp. 299-327).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1. Cummings, E. M., Keller, P. S., & Davis, P. T. (2005). Towards a family process model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Exploring multiple relations with child and family functioning.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6(5), 479-489. doi:10.111/j.1469-7610.2004.00368.x 

  22. Dawes, J. (2008). Do data characteristics chan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cale points used? An experiment using 5-point, 7-point and 10-point sc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rket Research, 50(1), 61-104. doi:10.1177/147078530805000106 

  23. Downey, G., & Coyne, J. C. (1990). Children of depressed parents: An integr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08(1), 50-76. doi:10.1037/0033-2909.108.1.50 

  24. Du Prel, J. B., Hommel, G., Rohrig, B., & Blettner, M. (2009). Confidence interval or p-value?: part 4 of a series on evaluation of scientific publications. Deutsches Arzteblatt International, 106(19), 335-339. doi:10.3238/arztebl.2009.0335 

  25. Eisenberg, N., Valiente, C., Spinrad, T. L., Liew, J., Zhou, Q., Losoya, S. H., et al. (2009). Longitudinal relations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impulsivity, and negative emotionality to their externalizing, internalizing, and co-ocuuring behavior problems. Developmental Psychology, 45(4), 988-1008. doi:10.1037/a0016213 

  26. Elgar, F. J., McGrath, P. J., Waschbusch, D. A., Stewart, S. H., & Curtis, L. J. (2004). Mutual influences on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adjustment problem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4(4) 441-459. doi:10.1016/j.cpr.2004.02.002 

  27. Field, T., Diego, M., & Hernandez-Rief, M. (2009). Depressed mothers' infants are less responsive to faces and voices. Infant Behavior & Development, 32(3), 239-244. doi:10.1016/j.infbeh.2009.03.005 

  28. Gardner, F., Hutchings, J., Bywater, T., & Whitaker, C. (2010). Who benefits and how does it work? Moderators and mediators of outcome in an effectivenss trial of a parenting interven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39(4), 568-580. doi:10.1080/15374416.2010.48315 

  29. Gartstein, M. A., & Fagot, B. I. (2003). Parental depression, parenting and family adjustment, and child effortful control: Explaining externalizing behaviors for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4(2), 143-177. doi:10.1016/S0193-3973(03)00043-1 

  30. Grolnick, W. S., & Farkas, M. (2002). Parenting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 regulation.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 5.: Practical Issues in Parenting (2nd ed.) (pp. 89-110).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31. Hayes, A. F. (2018).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2. Hoffman, C., Crnic, K. A., & Baker, J. K. (2006).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Implications for children's emergent emotion regulation and behavioral functioning. Parenting:Science and Practice, 6(4), 271-295. doi:10.1207/s15327922par0604_1 

  33. Horwitz, S. M., Briggs-Gowan, M. J., Storfer-Isser, A., & Carter, A. S. (2009). Persistence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throughout the early years of childhood. Journal of Women's Health, 18(5), 637-645. doi:10.1089/jwh.2008.1229 

  34. Karreman, A., van Tuijl, C., van Aken, M. A. G., & Dekovi?, M. (2009). Predicting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s: Interactions among effortful control, parenting, and child gender. Merrill-Palmer Quarterly, 55(2), 111-134. doi:10.1353/mpq.0.0020 

  35. Kochanska, G., Murray, K. T., & Harlan, E. T. (2000). Effortful control in early childhood: Continuity and change, antecedent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6(2), 220-232. doi:10.1037/0012-1649.36.2.220 

  36. Lengua, L. J. (2002). The contribution of emotionality and self-regulation to understanding of children's reponse to multiple risk. Child Development. 73(1), 144-161. doi:10.1111/1467-8624.00397 

  37. Lengua, L. J., Honorado, E., & Bush, N. R. (2007). Contextual risk and parenting as predictors of effortful control and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8(1), 40-55. doi:10.1016/j.appdev.2006.10.001 

  38. Lovejoy, M. C., Graczyk, P. A., O'Hare, E., & Neuman, G. (2000).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5), 561-592. doi:10.1016/S0272-7358(98)00100-7 

  39. Mellick, W., Sharp, C., & Wilkinson, A. (2017). The moderating role of maternal depression i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 behavioral inhibition and maternal critical expressed emotion.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48(4), 546-553. doi:10.1007/s10578-016-0680-1 

  40. Middleton, M., Scott, S. L., & Renk, K. (2009). Parental depression, parenting behaviours, and behavior problems in young children.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8(4), 323-336. doi:10.1002/icd.598 

  41. Olson, S. L., Bates, J. E., Sandy, J. M., & Schilling, E. M. (2002). Early developmental precursors of impulsive and inattentive behavior: From infancy to middle childhood.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3(4), 435-447. doi:10.1111/1469-7610.00035 

  42. Posner, M. I., & Rothbart, M. K. (2005). Influenting brain networks: Implications for educa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 9(3), 99-103. doi:10.1016/j.tics.2005.01.007 

  43. Putnam, S. P., & Rothbart, M. K. (2006). Development of short and very short forms of the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87(1), 102-112. doi:10.1207/s15327752 jpa8701_09 

  44. Rinaldi, C. M., & Howe, N. (2012).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styles and associations with toddlers' externalizing, internalizing, and adaptive behavio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7(2), 266-273. doi:10.1016/j.ecresq.2011.08.001 

  45.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doi:10.1177/014662167700100306 

  46. Smith, C. L., & Day, K. L. (2018). Parenting, anger, and effortful control as predictors of child externalizing behavior: The role of child sex as a moderator.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42(2), 248-256. doi:10.1177/0165025417692898 

  47. Topham, G. L., Page, M. C., Hubbs-Tait, L., Rutledge, J. M., Kennedy, T. S., Shriver, L., & Harrist, A. W. (2010). Maternal depression and socio-economic status moderate the parenting style/child obesity association. Public Health Nutrition, 13(8), 1237-1244. doi:10.1017/S1368980009992163 

  48. Valiente, C., Eisenberg, N., Smith, C. L., Reiser, M., Fabes, R. A., Losoya, S,. et al. (2003). The relations of effortful control and reactive control to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s: A longitudinal assessment. Journal of Personality, 71(6), 1171-1196. doi:10.1111/1467-6494.7106011 

  49. Zhou, Q., Hofer, C., Eisenberg, N., Reiser, M., Spinrad, T. L., & Fabes, R. A. (2007).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ttention focusing attentional and behavioral persistence, and externalizing problems during school-aged years. Developmental Psychology, 43(2), 369-385. doi:10.1037/0012-1649.43.2.36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