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일로바이오스 첨가 비율이 다른 설탕이 건강한 성인의 혈당지수와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ying levels of xylobiose in sugar on glycemic index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9 no.5, 2016년, pp.295 - 303  

이정숙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아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남혜경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경명옥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 ,  서승우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 ,  장문정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8주 동안 건강한 성인 남녀 11명을 대상으로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비율이 다른 설탕 3종의 혈당 반응 및 GI 분석을 통해 혈당 저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XB 7 (자일로바이오스 7% 함유 설탕), XB 10 (자일로바이오스 10% 함유 설탕), XB 14 (자일로바이오스 14% 함유 설탕)은 표준식품 (포도당)에 비해 섭취 후 최대 혈당 상승값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XB 7, XB 10 및 XB 14의 GI는 각각 57.0, 53.6, 49.7로 나타나 XB 7은 중GI 식품으로, XB 10, XB 14는 저GI 식품으로 분류되었고, 순수한 설탕의 GI 68에 비해 낮았다. AUC는 30~90분 사이에서 표준식품 (포도당)에 비해 비교식품 (XB 7, XB 10, XB 14)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자일로바이오스를 함유한 설탕은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자일로바이오스 7% 함유보다는 자일로바이오스 10% 이상 함유 시 기능성 설탕으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levels of xylobiose containing sucrose on glycemic indices based o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Methods: Healthy adults (six male and five female participants, n =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자일로바이오스의 함유 비율을 달리한 설탕 섭취가 혈당 변화 및 GI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을 통해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설탕이 기능성 감미료로서의 활용성 규명과 GI 저감 개선에 필요한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설탕의 적정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비율이 다른 설탕이 혈당지수 (glycemic index)의 저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설탕의 적정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만 19~29세 건강한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실험 대상자들의 GI 수치는 XB 7 57.
  • 본 연구는 무작위 배정, 공개, 2회 섭취시험으로 디자인 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혈당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포도당, XB 7 (자일로바이오스 7% 함유 설탕), XB 10 (자일로바이오스 10% 함유 설탕), XB 14 (자일로바이오스 14% 함유 설탕)을 1주일에 한 가지씩 섭취하였으며, 2번 반복하여 총 8주간 실험에 참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당지수는 무엇을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것인가? 혈당지수 (glycemic index, GI)는 당뇨병뿐만 아니라 비만과의 관련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면서 GI에 대한 관심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GI는 식후 탄수화물의 흡수 속도를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식품 내 탄수화물의 조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을 경우 GI수준이 낮고 혈당 반응이 더 느리게 나타나 당뇨병 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22 GI 값이 높은 식품을 섭취하였을 경우 식욕이 촉진되고 인슐린의 분비량이 많아져서 식욕조절과 체내 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체지방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올리고당은 무엇이 있는가? 4 감미료로 폭 넓게 사용 되고 있는 식품인 올리고당은 생체 내 소화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지 않는 난소화성 당으로 장내 세균에 의해 대사된다.5 현재 생산 판매되고 있는 올리고당은 갈락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등이 있다. 이들 올리고당들의 생리적 특성이 다르고, 건강기능적인 특성이 밝혀지면서 식품산업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설탕의 대체물질로 그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자일로올리고당은 무엇인가? 이들 올리고당들의 생리적 특성이 다르고, 건강기능적인 특성이 밝혀지면서 식품산업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설탕의 대체물질로 그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자일로올리고당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목재, 볏짚 및 보리짚 등에 포함되어 있는 헤미셀룰로오즈인 Xylan의 가수분해로 생성되는 올리고당으로 주된 구성성분은 D-자일로오스 (D-Xylose, X1) 두개가 β-1,4 결합한자일로바이오스 (xylobiose, X2)와 세 개에서 일곱 개가 결합한 자일로트라이오스 (xylotriose, X3)~자일로헵타오스 (xyloheptaose, X7)로 구성되어 있으며, X2~X3의 함량이 가장 많다. 6 자일로올리고당의 감미도는 설탕의 40% 정도로, 비피도박테리아의 증식 인자로 작용하는 유효섭취량이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Adequate intake of sugars per day.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 Latulippe ME, Skoog SM. Fructose malabsorption and intolerance: effects of fructose with and without simultaneous glucose ingestion. Crit Rev Food Sci Nutr 2011; 51(7): 583-592. 

  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The first comprehensive plan for the sugar reduction ('16 - '20). Osong: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4. Choi EH, Kim HY, Kim YH, Kim WK, Oh SJ, Kim SH. Effects of selected oligosaccharides on fecal microflora and lipid constitution in rats. Korean J Nutr 1999; 32(3): 221-229. 

  5. Hidaka H, Eida T, Takizawa T, Tokunaga T, Tashiro Y.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s on intestinal flora and human health. Bifidobact Microflora 1986; 5(1): 37-50. 

  6. Fujikawa S, Okazaki M, Matsumoto N, Koga K. Properties and production of xylooligosaccharide. J Jpn Soc Starch Sci 1990; 37(2): 69-77. 

  7. Lee OS, Rhee IK. The production of xylooligosaccharides with microbial xylanase. Food Ind Nutr 2001; 6(1): 21-24. 

  8. Chapla D, Pandit P, Shah A. Production of xylooligosaccharides from corncob xylan by fungal xylanase and their utilization by probiotics. Bioresour Technol 2012; 115: 215-221. 

  9. Okazaki M, Fujikawa S, Matsumoto N. Effect of xylooligosaccharide on the growth of bifidobacteria. Bifidobact Microflora 1990; 9(2): 77-86. 

  10. Zhan FX, Wang QH, Jiang SJ, Zhou YL, Zhang GM, Ma YH. Developing a xylanase XYNZG from Plectosphaerella cucumerina for baking by heterologously expressed in Kluyveromyces lactis. BMC Biotechnol 2014; 14(1): 107. 

  11. Degnan BA, Macfarlane GT. Comparison of carbohydrate substrate preferences in eight species of bifidobacteria. FEMS Microbiol Lett 1991; 68(2): 151-156. 

  12. Okazaki M, Koda H, Izumi R, Fujikawa S, Matsumoto N. In vitro digestibility and in vivo utilization of xylobiose. J Jpn Soc Nutr Food Sci 1991; 44(1): 41-44. 

  13. Guerfali M, Gargouri A, Belghith H. Talaromyces thermophilus beta-D-xylosidase: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xylobiose synthesis. Appl Biochem Biotechnol 2008; 150(3): 267-279. 

  14. Rizzatti AC, Jorge JA, Terenzi HF, Rechia CG, Polizeli ML.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a thermostable extracellular beta-D-xylosidase produced by a thermotolerant Aspergillus phoenicis. J Ind Microbiol Biotechnol 2001; 26(3): 156-160. 

  15. Kyung M, Choe H, Jung S, Lee K, Jo S, Seo S, Choe K, Yang CK, Yoo SH, Kim Y. Effects of xylooligosaccharide-sugar mixture on glycemic index (GI)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J Nutr Health 2014; 47(4): 229-235. 

  16. Bae YJ, Bak YK, Kim B, Kim MS, Lee JH, Sung MK. Coconutderived D-xylose affects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in healthy individuals. Nutr Res Pract 2011; 5(6): 533-539. 

  17. Seri K, Sanai K, Matsuo N, Kawakubo K, Xue C, Inoue S. L-arabinose selectively inhibits intestinal sucrase in an uncompetitive manner and suppresses glycemic response after sucrose ingestion in animals. Metabolism 1996; 45(11): 1368-1374. 

  18. Moon S, Lee K, Kyung M, Jung S, Park Y, Yang CK. Study on the proper D-xylose concentration in sugar mixture to reduce glycemic index (GI) value in the human clinical model. Korean J Food Nutr 2012; 25(4): 787-792. 

  19. Kim E, Lim E, Jung S, Yoo SH, Kim Y. Xylobiose ameliorates hyperglycemia and dyslipidemia via regulating hepatic lipogenic genes in db/db mice. FASEB J 2016; 30(1 Suppl): 692.10. 

  20. Meyer KA, Kushi LH, Jacobs DR Jr, Slavin J, Sellers TA, Folsom AR. Carbohydrates, dietary fiber, and incident type 2 diabetes in older women. Am J Clin Nutr 2000; 71(4): 921-930. 

  21. Montonen J, Knekt P, Jarvinen R, Aromaa A, Reunanen A. Wholegrain and fiber intake and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m J Clin Nutr 2003; 77(3): 622-629. 

  22. Riccardi G, Rivellese AA, Giacco R. Ro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in the healthy state, in prediabetes, and in diabetes. Am J Clin Nutr 2008; 87(1): 269S-274S. 

  23. Ludwig DS. Dietary glycemic index and obesity. J Nutr 2000; 130(2S Suppl): 280S-283S. 

  24. Brand-Miller JC, Holt SH, Pawlak DB, McMillan J. Glycemic index and obesity. Am J Clin Nutr 2002; 76(1): 281S-285S. 

  25. Hodge AM, English DR, O'Dea K, Giles GG. Glycemic index and dietary fiber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4; 27(11): 2701-2706. 

  26. Foster-Powell K, Holt SH, Brand-Miller JC. International tab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2. Am J Clin Nutr 2002; 76(1): 5-56. 

  27. Nam H, Kyung M, Seo S, Jung S, Chang MJ.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xylooligosaccharide in sugar on glycemic index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J Nutr Health 2015; 48(5): 389-406. 

  28. Wolever TM, Vorster HH, Bjorck I, Brand-Miller J, Brighenti F, Mann JI, Ramdath DD, Granfeldt Y, Holt S, Perry TL, Venter C, Xiaomei Wu. Determination of the glycaemic index of foods: interlaboratory study. Eur J Clin Nutr 2003; 57(3): 475-482. 

  29. Brouns F, Bjorck I, Frayn KN, Gibbs AL, Lang V, Slama G, Wolever TM. Glycaemic index methodology. Nutr Res Rev 2005; 18(1): 145-171. 

  30. Raz I, Weiss R, Yegorchikov Y, Bitton G, Nagar R, Pesach B. Effect of a local heating device on insulin and glucose pharmacoki netic profiles in an open-label, randomized, two-period, one-way crossover study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using continuous subcutaneous insulin infusion. Clin Ther 2009; 31(5): 980-987. 

  31. Crane RK, Forstner G, Eichholz A. Studies on the mechanism of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sugars. X. An effect of Na+ concentration on the apparent Michaelis constants for intestinal sugar transport, in vitro. Biochim Biophys Acta 1965; 109(2): 467-477. 

  32. Imaizumi K, Nakatsu Y, Sato M, Sedarnawati Y, Sugano M. Effects of xylooligosaccharides on blood glucose, serum and liver lipids and cecum short-chain fatty acids in diabetic rats. Agric Biol Chem 1991; 55(1): 199-205. 

  33. Frost GS, Brynes AE, Dhillo WS, Bloom SR, McBurney MI. The effects of fiber enrichment of pasta and fat content on gastric emptying, GLP-1,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to a meal. Eur J Clin Nutr 2003; 57(2): 293-298. 

  34. Delzenne NM, Cani PD, Neyrinck AM. Modulation of glucagonlike peptide 1 and energy metabolism by inulin and oligofructose: experimental data. J Nutr 2007; 137(11 Suppl): 2547S-2551S. 

  35. Barclay AW, Petocz P, McMillan-Price J, Flood VM, Prvan T, Mitchell P, Brand-Miller JC.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chronic disease risk--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Am J Clin Nutr 2008; 87(3): 627-637. 

  36. Oba S, Nagata C, Nakamura K, Fujii K, Kawachi T, Takatsuka N, Shimizu H. Dietary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intake of carbohydrate and rice in relation to risk of mortality from stroke and its subtypes in Japanese men and women. Metabolism 2010; 59(11): 1574-1582. 

  37. Lee K, Moon S, Jung S, Park YJ, Yoon S, Choe K, Yang C. Glycemic index of sucrose with D-xylose (Xf) in humans. Curr Top Nutraceutical Res 2013; 11(1-2): 35-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