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수율에 따른 우리밀과 이물의 종말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isture content on terminal velocities of domestic wheat and foreign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5, 2016년, pp.746 - 752  

최은정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유통연구본부) ,  김훈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유통연구본부) ,  김상숙 (한국식품연구원 기능성식품연구본부) ,  김의웅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유통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원맥 중 백중밀 및 조경밀의 성상별 분류를 한 후 정립, 피해립, 이물 중 밀막대 및 밀껍질에서의 함수율 약 9~30%(w.b.) 범위내에서의 천립중, 기하학적 특성 및 기류적인 특징 중 종말속도를 분석하여 함수율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함으로써 국내밀의 체계적인 수확 후 관리 중 정선, 선별, 운반, 저장 및 도정가공 공정에서의 설계공정 및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하였다. 백중밀 및 조경밀의 성상별로 측정된 기하학적 특성 중 장축길이, 단축길이의 값은 백중(정립: 6.57, 3.24 mm, 피해립: 6.16, 2.93 mm), 조경(정립: 6.74, 3.30 mm, 피해립: 6.36, 3.10 mm), 밀막대(21.18, 2.23 mm) 및 밀껍질(19.34, 5.95 mm)로 각각 측정되었다. 함수율에 따른(9.7~29.6%, w.b.) 천립중 및 성상별 종말속도의 값은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측정된 천립중은 백중(32.26~41.51 g) 및 조경(45.30~ 63.07 g)로 조경밀이 현저하게 크게 측정되었다. 성상별로 본 종말속도의 범위값은 백중밀 및 조경밀 정립(5.46~7.13, 7.48~8.60 m/sec), 피해립(5.91~7.00, 6.48~7.75 m/sec), 밀막대(2.92~4.07, 3.74~5.22 m/sec), 밀껍질(1.07~1.85, 2.02~2.33 m/sec)로 각각 측정되었다. 백중 및 조경밀의 이물 (밀막대 및 밀껍질)의 종말속도 범위는 밀막대(2.92~5.22 m/sec), 밀껍질(1.07~2.33 m/sec)로 측정되어 이물의 최대값인 5.22 m/sec이하에서는 밀막대 및 밀껍질 선별 및 분리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로써 함수율에 따른 우리밀의 공기역학적 특징 중 종말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우리밀에 적합한 건조저장시설 및 수확후 관리모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dentify aerodynamic property as a function of moisture content for designing equipment such as for post-harvest management. Terminal velocity of two wheat varieties {Backjjung (B) and Jogyeong (J)} with selected sound, damaged kernel and foreign materials (Wheat 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생산된 원맥의 성상별 및 함수율에 따른 공기역학적 특성인 종말속도 등을 분석하여 함수율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여, 현재 국내밀의 수확 후 관리 중 정선, 선별공정에서의 설계공정 및 기계화 기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밀 산업의 기초자료로 활용 및 건조저장시설 및 수확 후 관리모델개발을 위하여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원맥 중 백중밀 및 조경밀의 성상별 분류를 한 후 정립, 피해립, 이물 중 밀막대 및 밀껍질에서의 함수율 약 9~30%(w.b.) 범위내에서의 천립중, 기하학적 특성 및 기류적인 특징 중 종말속도를 분석하여 함수율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함으로써 국내밀의 체계적인 수확 후 관리 중 정선, 선별, 운반, 저장 및 도정가공 공정에서의 설계공정 및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하였다. 백중밀 및 조경 밀의 성상별로 측정된 기하학적 특성 중 장축길이, 단축길이의 값은 백중(정립: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말속도란 무엇인가? 종말속도(Terminal velocity)는 부유속도(Suspension velocity)라고도 불리며, 어떤 물체가 자유낙하할 때 물체의 항력(drag)와 물체의 순수한 중력 즉 물체의 무게에서 부력을 뺀 값이 같아지는 순간의 물체의 낙하속도로 정의한다. 종말속도 측정법으로는 두 가지로 구분하며, 물체가 정지된 공기 중에서 낙하할 때 낙하하는 거리 및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과, 수직풍동 즉 wind tunnel에 망을 설치하여 그 위에 곡물의 낟알을 올려놓고 송풍기를 이용하여 일정높이까지 뜨게 한 후 풍속 종말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3,5).
농업관련 수확 후 관리에서 곡물선별 시, 무엇의 물성 특성 분석이 중요한가? Ha 등(4)에 의하면, 곡물선별관련 기술로는 크기, 형상, 비중 등의 인자로 선별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며, 완전립보다는 불량립 및 이물에 대한 물성 특성 분석이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Gursoy와 Guzel(2)도 종말속도를 이용하여 완전하지 않은 불량 및 깨진콩 등 80%정도 선별하였다고 보고하였다. Rajabipour 등(5), Tabatabaeefar(6)의 보고에 따르면, 농업관련 수확 후 관리에서의 공기역학적 특징은 공기 수송, 정선 및 선별공정에서의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종말속도는 이 공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종말속도 측정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종말속도(Terminal velocity)는 부유속도(Suspension velocity)라고도 불리며, 어떤 물체가 자유낙하할 때 물체의 항력(drag)와 물체의 순수한 중력 즉 물체의 무게에서 부력을 뺀 값이 같아지는 순간의 물체의 낙하속도로 정의한다. 종말속도 측정법으로는 두 가지로 구분하며, 물체가 정지된 공기 중에서 낙하할 때 낙하하는 거리 및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과, 수직풍동 즉 wind tunnel에 망을 설치하여 그 위에 곡물의 낟알을 올려놓고 송풍기를 이용하여 일정높이까지 뜨게 한 후 풍속 종말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Guner M (2007) Pheumatic conveying characteristics of some agricultural seeds. J Food Eng, 80, 904-913 

  2. Gursoy S, Guzel E (2010) Determin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ome agricultural grains. Res J Appl Sci Eng Technol, 2, 492-498 

  3. Keum DH (2008) Post-harvest process engineering. CIR Publishers, Seoul, Korea, p 121-122, 288-330 

  4. Ha YS, Choi BJ, Kweon GY, Song DB (2013) Design factor analysis for a specific gravity and particle size-based separator for upland cereal crops. J Agric Life Sci, 47, 293-302 

  5. Rajabipour A, Tabatabaeefar A, Farahani M (2006) Effect of moisture on terminal velocity of wheat varieties. Int J Agri Biol, 8, 10-13 

  6. Tabatabaeefar A (2003) Moisture-dependent physical properties of wheat. Int Agrophysics, 17, 207-211 

  7. Khoshtaghaza MH, Mehdizadeh R (2006) Aerodynamic properties of wheat kernel and straw materials. Agricultural Engineering International: the CIGR journal, VIII, Manuscript FP 05 007 

  8. Aydin C, Ozean M (2002) Some physico-mechanic properties of Terebinth (Pistacia terebinthns L.) fruits. J Food Eng, 53, 97-101 

  9. Tabatabaeefar A, Persson S (1995) Layer breakup and particle movement on a chaffer sieve. Transactions of the ASAE, 38, 1305-1313 

  10. Bilanski WK, Lal R (1965) Behavior of threshed materials in a vertical wind tunnel. Transactions of the ASAE, 8, 411-413 

  11. Shellard JE, Macmillan RH (1978) Aerodynamic properties of threshed wheat materials. J Agr Eng Res, 23, 273-281 

  12. Gorial BY, O′Callaghan JR (1990) Aerodynamic properties of grain/straw materials. J Agr Eng Res, 46, 275-290 

  13. Bilanski WK, Menzies D (1968) Aerodynamic properties of Alfalfa particles. Transactions of the ASAE, 11, 829-831 

  14. Carman K (1996) Some physical properties of lentil seeds. J Agr Eng Res, 63, 87-92 

  15. Zewdu AD (2007) Aerodynamic properties of tef grain and straw material. Biosystems Eng, 98 304-309 

  16. Hemmat A, Emamy M, Razavi SJ, Masoumi AA (2007) Terminal velocity of chopped corn silage and its separate fractions as affected by moisture content. J Agric Sci Technol, 9, 15-23 

  17. Hong SJ, Duc LA, Han JW, Kim H, Kim YH, Keum DH (2008) Physical properties of rapeseed(II). J of Biosystems Eng, 33, 173-178 

  18. ASABE Standards (2011) Standards Engineering Practices Data.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St Joseph, MI, USA, p 779-781 

  19.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2) Grain Inspection Handbook 2012-64, Kimcheonsi, Korea, p 51 

  20. Reddy BS, Chakraverty A (2004) Physical properties of raw and parboiled paddy. Biosyst Eng, 88, 461-466 

  21. Park NK, Lee SY, Hur HS, Jeong HS, Lee MY, Chung MJ (1999) Variation of physico-chemical and milling characteristics in some wheat varieties. Korean J Breed, 31, 160-167 

  22. Kim WO, Kim SS, Kim DC, Kim H, Lee SE (2005) Development of the purity index measuring system for transactions in net weight of paddy at rice processing complex. KFRI GA0574-05072 

  23. Kim OW, Kim H, Kim SS, Choi EJ (2015) Effect of moisture content on some physical properties of domestic wheat. Korean J Food Preserv, 22, 652-659 

  24. Tabak S, Wolf D (1998) Aerodynamic properties of cottonseeds. J Agr Eng Res, 70, 257-265 

  25. Gupta RK, Das SK (1997) Physical properties of sunflower seeds. J Agr Eng Res, 66, 1-8 

  26. Suthar SH, Das SK (1996) Some physical properties karingda [Citrullus lanatus (Thumb) Mansf] seeds. J Agr Eng Res, 65, 15-22 

  27. Nalbandi H, Seiiedlou S, Ghassemzadeh HR (2010) Aerodynamic properties of Turgenia latifolia seeds and wheat kernels. Int Agrophysics, 24, 57-61 

  28. Hauhouot-O'Hara M, Criner BR, Brusewitz GH, Solie JB (2000) Selecte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erodynamic properties of cheat seed for separation from wheat. Agricultural Engineering International; the CIGR Journal of Scientific Research and Development Vol.II,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