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구치 인접면 우식 병소 진단에 있어 QraypenTM과 시진 및 구내 치근단 방사선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QraypenTM Imaging and the Conventional Methods of Visual Inspection and Periapical Radiography for Proximal Caries Detection in Primary Molars: An In Vivo Study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6 no.5, 2016년, pp.349 - 354  

안소연 (원광대학교 대전치과병원 소아치과) ,  박소영 (전주비전대학교 치위생과) ,  심연수 (선문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년 실시한 국민구강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만 12세 아동들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는 1.9로 주요 OECD 국가들의 평균인 1.6에 거의 근접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접면 우식증의 진단에 있어 새로 개발된 $Qraypen^{TM}$의 효능을 기존의 방법인 시진 및 구내 치근단 방사선 사진과 비교 평가하고, 임상 적용 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차후 $Qraypen^{TM}$에 필요한 개선안을 제시함과 아울러 치아우식증의 예방 및 초기 우식증 재광화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학교 구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한 학령기의 혼합치열을 가진 32명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구강검진 2회, 구치부 치근단 방사선 필름 판독 2회 그리고 구치부 인접면 $Qraypen^{TM}$ 이미지 판독 2회를 실시하고 비교한 결과 $Qraypen^{TM}$ 영상은 변연융선이 파괴되지 않은 유구치의 인접면 우식증의 탐지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방사선 촬영 결과와 비교해 보니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인접면 우식증이 상아질까지 진행되어 병소가 성숙하여야 뚜렷한 붉은색 형광을 관찰할 수 있었기에 우식 병소의 진행 정도와 붉은색 형광 발생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향후 발치된 치아를 사용하여 조직학적 검사를 병행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 $Qraypen^{TM}$은 유구치의 육안으로 보이지 않은 인접면 우식증을 탐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하고 간편한 보조장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newly-developed $Qraypen^{TM}$ (All In One Bio, Korea) system for the diagnosis of early proximal caries by comparing it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of visual inspection and periapical radiography. This study was carried ou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d the efficacy of the newly-developed QraypenTM system for the diagnosis of early proximal caries by comparing it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of visual inspection and periapical radiography, to identify potential problems in its clinical application to present an improvement plan for QraypenTM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baseline research data for methods for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nd remineralization of early dental caries.
  • 6에 거의 근접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접면 우식증의 진단에 있어 새로 개발된 QraypenTM의 효능을 기존의 방법인 시진 및 구내 치근단 방사선 사진과 비교 평가하고, 임상 적용 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차후 QraypenTM에 필요한 개선안을 제시 함과 아울러 치아우식증의 예방 및 초기 우식증 재광화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학교 구강 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한 학령기의 혼합치열을 가진 32명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구강검진 2회, 구치부 치근단 방사선 필름 판독 2회 그리고 구치부 인접면 QraypenTM 이미지 판독 2회를 실시하고 비교한 결과 QraypenTM 영상은 변연융선이 파괴되지 않은 유구치의 인접면 우식증의 탐지에 효과적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ral Health in America: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Rockville National Institute of Dental and Craniofaci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pp.276-277, 2000. 

  2. Barmes DE: Indicators for oral health and their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Int Dent J 33: 60-66, 1983. 

  3. Bratthall D: Estimation of global DMFT for 12-year-olds in 2004. Int Dent J 55: 370-372, 2005. 

  4. 20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pp.3-413, 2015. 

  5. Selwitz RH, Ismail AI, Pitts NB: Dental caries. Lancet 369: 51-59, 2007. 

  6. Featherstone JD: The science and practice of caries prevention. J Am Dent Assoc 131: 887-899, 2000. 

  7. Seol JH, Oh YH, Lee NY, Lee SH: Detection of early proximal caries with laser fluorescence. J Korean Acad Pediatr Dent 31: 236-246, 2004. 

  8. Mejare I, Grondahl HG, Carlstedt K, Grever AC, Ottosson E: Accuracy at radiography and probing for the diagnosis of proximal caries. Scand J Dent Res 93: 178-184, 1985. 

  9. Kim YH, Kang BC: The value of periapical radiograph in the diagnosis of interproximal Caries.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30: 49-54, 2000. 

  10. White SC, Atchison KA, Hewlett ER, Flack VF: Efficacy of FDA guidelines for ordering radiographs for caries detectio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7: 531-540, 1994. 

  11.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Guideline on prescribing dental radiographs for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and persons with special health care needs. Pediatr Dent 34: 189-191, 2012. 

  12. Manji F, Fejerskov O, Nagelkerke NJ, Baelum V: A random effects model for some epidemiological features of dental carie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 324-328, 1991. 

  13. Ekstrand K, Qvist V, Thylstrup A: Light microscope study of the effect of probing in occlusal surfaces. Caries Res 21: 368-374, 1987. 

  14. Ismail AI: Clinical diagnosis of precavitated carious lesion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5: 13-23, 1997. 

  15. Gonzalez-Cabezas C, Fontana M, Stookey GK: Measurement of mineral gain and loss on dental enamel and dentin using confocal microscopy. Methods Enzymol 307: 485-496, 1999. 

  16. Cortes DF, Ellwood RP, Ekstrand KR: An in vitro comparison of a combined FOTI/visual examination of occlusal caries with other caries diagnostic methods and the effect of stain on their diagnostic performance. Caries Res 37: 8-16, 2003. 

  17. Schneiderman A, Elbaum M, Shultz T, Keem S, Greenebaum M, Driller J: Assessment of dental caries with Digital Imaging Fiber-Optic TransIllumination (DIFOTI): in vitro study. Caries Res 31: 103-110, 1997. 

  18. Shi XQ, Tranaeus S, Angmar-Mansson B: Comparison of QLF and DIAGNOdent for quantification of smooth surface caries. Caries Res 35: 21-26, 2001. 

  19. Bader JD, Shugars DA: A systematic review of the performance of a laser fluorescence device for detecting caries. J Am Dent Assoc 135: 1413-1426, 2004. 

  20. Hope CK, de Josselin de Jong E, Field MR, Valappil SP, Higham SM: Photobleaching of red fluorescence in oral biofilms. J Periodontal Res 46: 228-234, 2011. 

  21. Meller C, Heyduck C, Tranaeus S, Splieth C: A new in vivo method for measuring caries activity using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 Caries Res 40: 90-96, 2006. 

  22. Oh HY, Jung HI, Ku HM, Kim BI: The effects of the Q-Ray view on reliability of assessing a tooth status for dental hygiene process. J Dent Hyg Sci 12: 660-665, 2012. 

  23. Weiss EI, Tzohar A, Kaffe I, Littner MM, Gelernter I, Eli I: Interpretation of bitewing radiographs. Part 2. Evaluation of the size of approximal lesions and need for treatment. J Dent 24: 385-388, 1996. 

  24. Kidd EA, Pitts NB: A reappraisal of the value of the bite-wing radiograph in the diagnosis of posterior proximal caries. Br Dent J 169: 195-200, 1990. 

  25. Senel B, Kamburoglu K, Ucok O, Yuksel SP, Ozen T, Avsever H: Diagnostic accuracy of different imaging modalities in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Dentomaxillofac Radiol 39: 501-511, 2010. 

  26. Pretty IA, Edgar WM, Higham SM: The effect of ambient light on QLF analyses. J Oral Rehabil 29: 369-373,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