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성인의 구강건조감, 구취와 스트레스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Correlation between stress, dry mouth and halitosis in adul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5 no.3, 2015년, pp.389 - 397  

홍민희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behaviors by the degree od dry mouth related to stress, dry mouth and halitosis. Methods: The subjects were 400 adult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from August 1 to November 30, 201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 여러 논문에서 음주는 국소적 요인으로 구강 건조를 악화시킨다고 하였다8,27). 음주의 양과 빈도가 높을수록 입안이 마르는 구강건조 증상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행동도 더 높게 나타난다는 기존의 연구들을 뒷받침해 준다.
  • 따라서 성인들의 구강건조감, 구취와 스트레스의 주관적인 증상들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은 구강건강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들의 스트레스 증상과 구강건조 및 구취의 상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 구취와 구강건조는 구강건강의 이상 증상을 나타내는 초기 신호라 할 수 있으므로, 주관적으로 느끼는 구강증상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일부 성인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느끼는 구강건조감, 구취 및 스트레스의 수준을 확인하고, 이들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좋은 연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는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는 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 등의 신체기능에 생리적인 변화7)를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강건조와 구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스트레스 노출 후에 타액분비율은 감소하며 동시에 구취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는 상승한다8,9).
구강 건조증을 유발하는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구강 내 건조감을 유발하는 원인에는 삼환성 항우울제나 고혈압제 및 이뇨제 복용, 에스트로젠 결핍증, 고령, 정신적 긴장3), 방사선 치료, 갑상선 기능이상, 흡연4) 및 신체적 건강 상태5), 수면, 스트레스 수준6)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정서적인 스트레스를 받으면 타액선이 변성될 수 있으며, 타액선으로부터 분비되는 침뿐만 아니라 소화효소로 중요한 아밀라제가 변화되어 소화 장애나, 구취 발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타액선 분비저하의 직접적 원인요소로 작용한다1).
구강 건조증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스트레스가 많은 성인의 구강상태는 장년기 및 노년기의 구강건강을 좌우 할 수 있으므로 구강관리가 중요하다. 특히, 구강 건조증은 미각장애, 타액선 변성으로 인해1), 말할때 불편감, 마른 음식의 저작과 연하의 불편감, 구취와 치아 우식증, 치주질환 등을 야기하며, 정서적인 안정에도 부정적인 영향2)을 야기하므로 구강건조증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oo HM, Auh QS, Chun YH, Hong JP. Hange of the amylase secretion on the rat submandibular gland in the restraint stress condition. Korean J Oral Med 2007; 32(2): 57-67. 

  2. Fox PC, Van der Ven PF, Sonies BC, Weiffenbach JM, Baum BJ. Xerostomia: evaluation of a symptom with increasing significance. J Am Dent Assoc 1985; 4: 519-25. 

  3. Bergdahal M, Bergdahl J. Low unstimulated salivary flow and subjective oral dryness: association with medication,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J Dent Res 2000; 79(9): 1652-8. http://dx.doi.org/10.1177/00220345000790090301. 

  4. Niedermeier W, Huber M, Fischer D, Beier K, Muller N, Schuler R, et al. Significance of saliva for the denture-wearing population. Gerodontology 2000; 17(2): 104-18. http://dx.doi.org/10.1111/j.1741-2358.2000.00104.x. 

  5. Anttila S, Knuuttila ML, Sakki TK. Depressive symptoms as an underlying factor of the sensation of dry mouth. Psychosom Med 1998; 60(2): 215-8.http://dx.doi.org/10.1097/00006842-199803000-00018. 

  6. Lim JW. A study about factors affecting the somatization symptoms of the middle aged woman : focus on the stress experience, stress perception, stress coping method[Master's thesis]. Seoul: Univ. of Ewha Womens, 1999. 

  7. Han SH. Effects of aromatherapy on headache, stress and immune response of stud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08; 114(2): 273-81. 

  8. Queiroz CS, Hayacibara MF, Tabchoury CMP, Marcondes FK, Cury JA. Relationship among stressful situations, salivary flow rate and oral volatile sulfur-containing compounds. Eur J Oral Sci 2002; 110(5): 337-40. http://dx.doi.org/10.1034/j.1600-0722.2002.21320.x. 

  9. Jee YJ, Kim JS, Lee JH, Jeon 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developments and oral environmental. J Dent Hyg Sci 2010; 10(2): 101-7. 

  10. Cho MK, Cho YH. Comparisons of the effects of a-solution and 0.9% normal saline oral gargling on xerostomia, halitosis, and salivary pH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Biological Nur Sci 2014; 16(2): 141-9. http://dx.doi.org/10.7586/jkbns.2014.16.2.141. 

  11. Hinode D, Fukui M, Yokoyama N, Yokoyama M, Yoshioka M, Nakamura R. Relationship between tongue coating and secretory-immunoglobulin a level in saliva obtained from patients complaining of oral malodor. J Clin Periodontol 2003; 30(12): 1017-23. http://dx.doi.org/10.1046/j.0303-6979.2003.00407.x. 

  12. Hong MH. Impact of physical stress symptoms and psycho-emotional stress symptoms on oral health in adults.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 15(3): 1663-70. http://dx.doi.org/10.5762/KAIS.2014.15.3.1663. 

  13. Nam MJ, Uhm DC. Correlation between oral dryness and stress level of college students.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 12(9): 4030-7. http://dx.doi.org/10.5762/KAIS.2011.12.9.4030. 

  14. Ji MG, Lee MR.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and stress & compulsion in some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 Sci 2012; 7(5): 1221-8. 

  15. Han GS. Self-perceived oral malodor symptom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adults in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3): 475-80. http://dx.doi.org/10.13065/jksdh.2013.13.3.475. 

  16. Hong JP. Stress and oral mucosal disease. J Korean Dent Asso 1998; 26(11): 746-50. 

  17. Park HY, Shim YS. Adults' self-reported of dry mouth and it's associated impact factors.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5) : 973-85. http://dx.doi.org/10.13065/jksdh.2012.12.5.973. 

  18. Oh JK, Kim YJ, Kho HS.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ry mouth. Korean Acad Orofacial Pain and Oral Med 2001; 26(4): 331-43. 

  19. Lee JY, Lee YO, Kho HS. Reliability of a questionnaire for evaluation of dry mouth symptoms. Korean Acad Orofacial Pain and Oral Med 2005; 30(4): 383-9. 

  20. Thomson WM, Williams SM. Further testing of the xerostomia inventor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0; 89(1): 46-50. http://dx.doi.org/10.1016/S1079-2104(00)80013-X. 

  21. Villa A, Abati S. Risk factors and symptoms associated with xerostomia: a cross-sectional study. Aust Dent J 2011; 56(3): 290-5. http://dx.doi.org/10.11 11/j.1834-7819.2011.01347.x. 

  22. Ok SM, Tak YH, Ahn YO, Koh MY.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ic diseases and oral volatile sulfur compound. Korean Acad Orofacial Pain and Oral Med 2009; 34(1): 11-21. 

  23. Kurihara E, Marcondes FK. Oral concentration of volatile sulphur compounds in stressed rats. Stress 2002; 5(4): 295-8. http://dx.doi.org/10.1016/j.otohns.2005.09.036. 

  24. Lukassen J, Beaudet MP. Alcohol dependence and depression among heavy drinkers in Canada. Soc Sci Med 2005; 61(8): 1658-67.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5.03.019. 

  25. Lee BJ, Lee JS. Mediating effects of alcohol-induced stress in the relation between alcohol use and depressive symptom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007; 23(2): 193-212. 

  26. Lee MR, Han KS, Han SJ, Chio JS. Impact of subjectively reported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applying the precede model. Korean Soc Health Edu Promo 2011; 28(1): 23-35. 

  27. Guggenheimer J, Moore PA. Xerostomia: etiology, recognition and treatment. J Am Dent Assoc 2003; 134(1): 61-9. http://dx.doi.org/10.14219/jada.archive.2003.0018. 

  28. Billings RJ, Proskin HM, Moss ME. Xerostomia and associated factors in a community-dwelling adult populatio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6; 24(5): 312-6. http://dx.doi.org/10.1111/j.1600-0528.1996.tb00868.x. 

  29. Jung EB, Jo HK, Hong JP. The effect of clus'1 erin(SGP-2)to the stress on the salivary glands of rats. Korean Acad Orofacial Pain and Oral Med 1997; 22(2): 395-406. 

  30. Ben-Aryeh H, Roll R, Kahana L, Malberger E, Szargel R, Gutman D. Saliva as an indicator of stress. Int J Psychosom 1985; 32(3): 3-8. 

  31. Rahe RH, Karson S, Howard NSJ, Rubin RT, Poland R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assessments on american hostages freed from captivity in Iran. Psychosom Med 1990; 52(1): 1-16. 

  32. Jeon JY, Koo MS, Park YS, Kim SH, Im CH, Jin Y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alcohol consumption. J Korean Acad Addiction Psychiatry 2003; 7(1): 37-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