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격탐사 기반 맥류 작황 추정을 위한 최적 식생지수 선정 - UAV와 현장 측정자료를 활용하여 -
Selection of Optimal Vegetation Indices for Estimation of Barley & Wheat Growth based on Remote Sensing - An Appl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Field Investigation Data -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2 no.5, 2016년, pp.483 - 497  

나상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찬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정영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강천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최인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경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인항공기 영상은 작물의 생육단계에 따라 고해상도로 신속한 수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밀농업 관리를 위한 공간 변이 분석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최적 식생지수를 선정하여 맥류 작황 추정식을 유도하는 것이다. 무인항공기 영상은 맥류 생육 기간인 2월 하순부터 6월 하순까지 6회에 걸쳐 촬영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5개 품종(큰알보리, 흰찰쌀보리, 새찰쌀보리, 금강밀, 조품밀)을 대상으로 휴대용 분광복사계를 이용하여 현장분광반사율을 측정하고 초장, 지상부건물중, 단위면적당 경수 등 생육인자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식생지수 중 RVI, NDVI, NGRDI 및 GLI가 생육인자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현장 생육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식생지수와 생육인자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magery are being assessed for analyzing within field spatial variability for agricultural precision management, because UAV imagery may be acquired quickly during critical periods of rapid crop growth. This study refers to the derivation of barley and wheat growth p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보리와 밀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측정한 분광반사율을 이용하여 생육단계별 분광반사특성을 파악하고, UAV 영상을 이용하여 추출한 6종의 식생지수와 현장 생육조사 자료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원격 탐사 기반의 맥류 작황 추정을 위한 최적 식생지수를 선정하는 목적으로 하였다.
  • 현장에서 측정한 생육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각 작물별로 생육기간을 대상으로 한 식생지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선정한 6개의 식생지수들 중에서 해당 작물의 생육시기별 식생지수의 시간적 변화를 가장 잘 반영하는 식생지수를 선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Table 5는 보리, 밀에 대한 각 6개의 식생지수를 대상으로 상관계수들을 정리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년 기준 우리나라의 곡물자급율은? 우리나라의 곡물자급율은 2015년 기준 23.8%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국내 식용 맥류의 수요는 약 243만톤(보리 33만톤, 밀 210만톤)으로 국내 공급량 14만톤(보리 11만톤, 밀 3만톤)을 제외하고 229만톤(보리 22만톤, 밀 207만톤)이 수입되고 있으며, 조 사료도 수요량 550만톤 중 18%에 해당하는 98만톤이 수입되고 있다(Agriculture, Forestry and Food Livestock key statistics, 2015).
농식품부에서 맥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서 추진 중인 정책의 예는? 특히, 밀의 경우에는 수요량 210만톤중 국내 공급량은 3만톤으로 약 1%에 불가하며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농식품부에서는 맥류의 수급 불안 및 제분·가공업체 원료곡 확보 차질을 우려하여 동계작물 봄파종 추진, 동계 이모작 직불금 확대, 농지임대차 허용 등 맥류 및 동계사료작물의 안정적 수급, 곡물자급률 제고, 농가소득 향상 등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여 지원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로 인한 주요 곡물생산국의 생산량 감소와 곡물시장의 불안정에 능동적인 대처를 위하여 객관적인 산지 정보를 바탕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맥류 작황 추정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맥류 작황 추정을 위한 방안으로 고려되고 있는 기술은 무엇이 있는가? 이를 위하여 국내외에서 위성, 항공영상 등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한 농작물 생육이상 판별, 시계열 정보 생산을 통한 작황 추정 모형 구축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Lee et al., 2011; H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griculture, Forestry and Food Livestock key statistics, 201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 Becker-Reshef, I., E. Vermote, M. Lineman, and C. Justice, 2010. A generalized regression-based model for forecasting winter wheat yields in Kansas and Ukraine using MODIS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 1312-1323. 

  3. Broge, N.H. and E. Leblanc, 2000. Comparing predictive power and stability of broadband and hyperspectral vegetation indices for estimation of green leaf area index and canopy chlorophyll densit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6: 156-172. 

  4. Candiago, S., F. Remondino, M.D. Giglio, M. Dubbini, and M. Gattelli, 2015. Evaluating Multispectral Images and Vegetation Indices for Precision Farming Applications from UAV Images, Remote Sensing, 7: 4026-4047. 

  5. Curran P.J., 1983. Estimating Green LAI from Multispectral Aerial Photograph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49: 1709-1720. 

  6. Dieter H., Z. Werner, S. Gunter, and S. Peter, 2005. Monitoring of gas pipelines - a civil UAV application, Aircraft Engineering and Aerospace Technology, 77: 352-360. 

  7. Feng, Q., J. Liu, and J. Gong, 2015. UAV Remote Sensing for Urban Vegetation Mapping Using Random Forest and Texture Analysis, Remote Sensing, 7: 1074-1094. 

  8. Fuyi, T., B.B. Chun, M.Z. Mat Jafri, M.Z., L.H. San, K. Abdullah, and M. Tahrin, 2012. Land cover/use mapping using multi-band imageries captured by Cropcam Unmanned Aerial Vehicle Autopilot(UAV) over Penang Island, Malaysia, Proc. of SPIE, 8540: 1-6. 

  9. Hassan, F.M., Lim, H.S., and Mat Jafri, M.Z., 2011. CropCam UAV for Land Use/Land Cover mapping over Penang Island, Malaysia, Pertanika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19: 69-76. 

  10. Herwitz, S.R., John, L.F., Dunagan, S.E., Higgins, R.G., Sullivan, D.V., Zheng, J., Lobitz, B.M., Leung, J.G., Gallmeyer, B.A., Aoyagi, M., Slye, R.E. and Brass, J.A., 2004. Imaging from an unmanned aerial vehicle: agricultural surveillance and decision support,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44: 49-61. 

  11. Hong, S.Y., K.A. Sudduth, N.R. Kitchen, C.W. Fraisse, H.L. Palm, and W.J. Wiebold, 2004. Comparison of remote sensing and crop growth models for estimating within-field LAI variabilit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0(3): 175-188. 

  12. Hong, S.Y., J.N. Hur, J.B. Ahn, J.M. Lee, B.K. Min, C.K. Lee, Y.H. Kim, K.D. Lee, S.H. Kim, G.Y. Kim, and K.M. Shim, 2012. Estimating rice yield using MODIS NDVI and meteorological data in Korea, Korean Jounal of Remote Sensing, 28(5): 509-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Jordan, C.F., 1969. Derivation of leaf area index from quality of light on the forest floor, Ecology 50: 663-666. 

  14. Jung, K.S., Y.S. Kim, and S.R. Oh, 2015. Technical Development of Flood Damage Estimation using UAV,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8(1): 51-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K.D., S.I. Na, S.C. Baek, K.D. Park, J.S. Choi, S.J. Kim, H.J. Kim, H.S. Yun, and S.Y. Hong, 2015, Estimating the amount of nitrogen in hairy vetch on paddy fields using unmaned aerial vehicle imagery,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8(5): 384-3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J.W., G.A. Park, H.K. Joh, K.H. Lee, S.I. Na, J.H. Park, and S.J. Kim, 2011.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indices and crop yield using KOMPSAT(KoreaMulti-Purpose SATellite)-2 imagery and field investig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3): 75-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ouhaichi, M., M.M. Borman, and D.E. Johnson, 2001. Spatially located platform and aerial photography for documentation of grazing impacts on wheat. Geocarto International, 16: 65-70. 

  18. Na, S.I., S.C. Baek, S.Y. Hong, K.D. Lee, and K.C. Jang, 2015.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AV for the Onion and Garlic Growth Monitoring, Proc.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Wanju, May 21-22, pp. 225. 

  19. Na, S.I., S.Y. Hong, Y.H. Kim, K.D. Lee, and S.Y. Jang, 2013. Prediction of rice yield in Korea using paddy rice NPP index: Application of MODIS data and CASA model,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5): 461-4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Na, S.I., S.Y. Hong, Y.H. Kim, and K.D. Lee, 2014. Estimation of corn and soybean yields based on MODIS data and CASA model in Iowa and Illinois, USA,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7(2): 92-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earson, R.L. and L.D. Miller, 1972. Remote mapping of standing crop biomass for estimation of the productivity of the shortgrass prairie. Proc. of the Eigh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II, Michigan, Ann Arbor, pp. 1357-1381. 

  22. Ren J.Q., Z.X. Chen, Q.B. Zhou, and H.J. Tang, 2008. Regional yield estimation for winter wheat with MODIS NDVI data in Shandong,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10: 403-413. 

  23. Rouse, J.W., R.H. Haas, J.A. Schell, and D.W. Deering, 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In: Freden, S.C., Mercanti, E.P., Becker, M.(Eds.), Third Earth Resources Technology Satellite-1 Symposium, Technical Presentations, NASA SP-351.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309-317. 

  24. Tomas, J.R. and H.W. Gausman, 1977. Leat reflectance vs. leaf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centrations for eight crops. Agronomy Jornal, 69: 799-802. 

  25. Tucker, C.J., 1979. Red and photographic infrared linear combinations for monitoring vegeta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 127-150. 

  26. Vincini, M., E. Frazzi, and P. D'Alessio, 2008. A broad-band leaf chlorophyll index at the canopy scale. Precision Agriculture, 9: 303-3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