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붐세대 남성들의 전인건강에 대한 태도 유형: Q-방법론적 접근
Attitude Styles toward Holistic Health in Male Baby Boomers using Q-methodolog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5, 2016년, pp.501 - 513  

정현옥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신은정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박경란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유광자 (도립거창대학 간호학과) ,  김희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ttitudes of male baby boomer toward holistic health using Q-methodology. Methods: Q-methodology is analysed through the subjectivity of each type of attitudes. Thirty-five q-statement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145 statements. These statem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우리나라 베이비붐세대 남성들의 삶의 질과 관련된 전인건강에 대해 베이비붐세대 남성들 각 개인의 관점을 Q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공통적 견해를 갖는 사람들의 특성을 찾아내 이들의 태도를 유형화함으로써 자살과 같은 위기의 노년을 맞이하기 전에 그 유형에 따른 전인건강을 향상시키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노년기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간호요구의 유형별 맞춤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베이비붐세대 남성들의 전인건강에 관한 태도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현상에 대한 주관성을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적용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계지향부부관계 중시형은 무엇이며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어떤 것이 개발되어야 하는가? 이상에서와 같이 제1유형은 긍정적이고 원만한 부부관계가 신체, 정서 및 영적인 안녕을 도모하여 전인적 건강을 영위하도록 돕는다[11]는 유형이다. 따라서 배우자와 상호이해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감정 코칭 및 효율적인 의사소통기법, 취미와 여가활동을 공유하는 등 부부관계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부부동반 사회활동이나 캠프를 통하여 상호지지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부부관계에 대한 생각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신체적 · 경제적 능력 저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공유하고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
일본과 미국의 베이비붐세대는 어떤 사람들을 지칭하는가? 베이비붐세대는 일본에서는 1947년에서 1949년에 출생한 사람들을, 미국에서는 2차 세계대전 이후인 1946년부터 1965년 사이에 출생한 사람들을 지칭하며 이 세대에 포함된 사람들은 미국의 신사회 주도계층으로 성해방과 반전운동, 록음악 등 사회 ·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였다[1]. 우리나라 베이비붐세대는 한국전쟁 후 경제적 · 사회적으로 풍요롭고 안정된 상황에서 출산율이 급증한 1955년부터 산아제한 정책으로 출산율이 둔화 되는 시점인 1963년까지 태어난 집단이다[1,2].
우리나라 베이비붐세대는 언제 출생한 집단을 의미하는가? 베이비붐세대는 일본에서는 1947년에서 1949년에 출생한 사람들을, 미국에서는 2차 세계대전 이후인 1946년부터 1965년 사이에 출생한 사람들을 지칭하며 이 세대에 포함된 사람들은 미국의 신사회 주도계층으로 성해방과 반전운동, 록음악 등 사회 ·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였다[1]. 우리나라 베이비붐세대는 한국전쟁 후 경제적 · 사회적으로 풍요롭고 안정된 상황에서 출산율이 급증한 1955년부터 산아제한 정책으로 출산율이 둔화 되는 시점인 1963년까지 태어난 집단이다[1,2]. 이 중 베이비붐 남성들은 1970~80년대 체계적인 고등교육을 받은 최초의 세대로 교육 및 건강수준이 높고, 한국경제 고도성장의 시기에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 일꾼으로[1-3], 인터넷 보급과 같은 정보화 시대의 급변하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환경에 적응을 한 사람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i YJ. The economic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for baby boom generation in Korea.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2013;16(1):45-67. 

  2. Park MJ, Suh EE, Chung M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baby boom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8(3):314-24. http://dx.doi.org/10.7475/kjan.2015.27.3.314 

  3. Kim HS, Yu KZ.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male baby boom generation men. Journal Korean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4):461-70. http://dx.doi.org/10.12799/jkachn.2013.24.4.461 

  4. Chung SD, Lee HH. Life satisfaction for baby-boomers: compare 1998 with 2008.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2;55(1):105-31. 

  5. Shin KA, Han MJ. The Korean babyboomers as new seniors: their attitudes and perceptions about life after retirement and their content needs for successful transition. Korean Women's Communication Association. 2013;25(1):113-42. 

  6. Hwang HH.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life style and generativity on the baby boom generation in rural area. Journal of Leisure Studies. 2015;13(1):105-25. 

  7. Statistics Korea. 2013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5 August 17].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4/1/index.board?bmoderead&aSeq310209 

  8. Lee JY, Kim DS. An explor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relationship, psychological health, and retirement adjustment of retired couples: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4;15(2):903-24. 

  9. Sweeney TJ, Witmer JM. Beyond social interest: striving toward optimum health and wellness. Individual Psychology. 1991;47(4):527-40. 

  10. Myers JE, Luecht RM, Sweeney TJ. The factor structure of wellness: reexamin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models underlying the wellness evaluation of lifestyle (WEL) and the fivefactor WEL.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2004;36(4):194-208. 

  11. Rhew HO, Kim KK, Kim MR. The development of a wellness enhancement program through group counseling.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02;3(1):109-22. 

  12. Albert TC, Johnson E, Gasperino D, Tokatli P. Planning for the baby boomers' healthcare needs: a case study. Journal of hospital marketing & public relations. 2003;15(1):77-88. 

  13. Kyle SM. Skilled nursing facilities: wellness requests from the baby boomer generation. [dissertation]. Texas, United Atates: Texas Woman's University; 2013. p. 134. 

  14. Wilhelm K, Geerligs L, Peisah C. Successful transition to later life: strategies used by baby boomers.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2014;33(2):81-5. http://dx.doi.org/10.1111/ajag.12025 

  15. Bae JH. Economic activity state of baby boom generation in daejeon and job creation policies. Management and Economics Research Institu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4;36(2):71-105. 

  16. Lim NS. A validation study of wellness evaluation of lifestyle (WEL) in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Jeonju: Jeonbuk National University; 2004. 

  17. Hong DW, Kim CK. The development of wellness scale for adolescents in Korea.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8;9(1):67-83. 

  18. Kim KH, Kim YM, Jung TY. The impact of health behavior, health status and healthcare utilizat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baby boom generation.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2013;7(1):1-12. 

  19. Lee JS, Choi WS. A study of a path on quality of life in elderly men: focusing on relationship among gender role attitude, social service use level, self esteem,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4;66(1):377-404. 

  20. Park YJ. The relations between attendings of senior job making business's successful aging, and health promotion effect. Korean Journal of Welfare Practice. 2012;4(1):183-202. 

  21. Kim YS. Search for health from the nature and harmony of body and min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Finance. 2008;10(1):180-87. 

  22. Lim KH, Baek SG. Residential choice and mobility of Korean babyboomer after retire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1):438-49.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1.438 

  23. Lee TK. A study on health behavior and life habit of natural healing method by mental health of each age group. Journal of Korean Sundo Culture. 2015;18(2):327-53. 

  24. Kwak IS. Study on family strength and happiness of the preelderly and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13;51(1):1-16. http://dx.doi.org/10.6115/khea.2013.51.1.001 

  25. Kim KB, Kim HA, Sok OH. A study on health percepti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8;14(1):56-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