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요법이 척추마취 하 수술 대상자의 불안, 진정상태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Anxiety, Sedation, and Stress Responses of Patients Undergoing Surgery with Spinal Anesthesia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5, 2016년, pp.525 - 535  

정계선 (조선간호대학교 간호학과) ,  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anxiety, sedation, and stress responses of patients during surgery with spinal anesthesia. Method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was used. There were 55 adults over 19 yea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척추마취 하 수술 대상자에게 음악요법이 수술 중불안, 진정상태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척추마취 하에 하지 수술을 받는 대상자들은 수술 중 30분에는 불안이 증가하고 스트레스호르몬이 증가하여 심박수와 호흡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실험군의 불안은 대조군에 비해 낮을 것이다.
  • 가설 2. 실험군의 진정상태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높을 것이다.
  • 가설 3. 실험군의 스트레스 반응은 대조군에 비해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척추마취로 시행된 수술 건수의 증가추이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에서 척추마취로 시행된 수술 건수는 2015년에 1,243,784건과 2014년에 1,259,488건으로 2013년 1,231,291건에 비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4]. 수술 받는 대상자들의 15%는 수술과 관련된 불안을 경험하게 되는데, 그 중 62%는 전신마취 후 마취에서 깨어나지 못할 것에 대한 두려움, 수술후 합병증 발생에 대한 걱정, 수술 중 통증 및 기억력 감퇴 등과같이 마취와 관련된 불안을 경험한다고 한다[5].
척추마취 수술 후 대상자들이 경험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척추마취로 시행된 수술 건수는 2015년에 1,243,784건과 2014년에 1,259,488건으로 2013년 1,231,291건에 비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4]. 수술 받는 대상자들의 15%는 수술과 관련된 불안을 경험하게 되는데, 그 중 62%는 전신마취 후 마취에서 깨어나지 못할 것에 대한 두려움, 수술후 합병증 발생에 대한 걱정, 수술 중 통증 및 기억력 감퇴 등과같이 마취와 관련된 불안을 경험한다고 한다[5]. 이와 같이 수술과 관련된 불안을 예방하기 위해 정보제공의 정서적 지지[6], 수면유도제 투여[7] 및 음악요법[8-10] 등의 다양한 중재법이 시도되어 오고 있다.
척추마취란 무엇인가? 척추마취란 척수강 내에 국소마취를 주입하여 대상자의 하반신의 감각신경과 운동신경만을 차단시키는 방법이다[1]. 척추마취를 받은 대상자들은 수술 받는 동안에 통증은 못 느끼나각성상태에서 주위상황을 인지하여 수술 중에 사용되는 장비 소음(망치소리, 드릴 가는 소리, 흡인장치 등), 수술팀의 대화, 외침 과 각종 모니터 소리 듣게 되고, 수술 진행상황을 알게 되어 불안이나 두려움 등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tterworth JF, Mackey DC, Wasnik JD. Morgan & Michial's Clinical Anesthesiology 5th edition. USA. Mc Graw Hill. 2013. p. 937-9. 

  2. Hasfeldt D, Laerkner E, Birkelund R. Noise in the operating room-what do we know?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010;25(6):380-6. http://dx.doi.org/10.1016/j.jopan.2010.10.001 

  3. Daniel JS, Dorita SB. The music effect: music physi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London;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06. 

  4. Healthcare bigdata Hub.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 ment service [Internet]. Wonju; 2016 [cited 2016 August 30]. Available from: URL.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DiagBhvInfo.do 

  5. Choi SJ, Kim KS, Choi YS, Kim JY, Kim JS, Kwak MS, et al. A survey of the nature of patients' preoperative anxiety and concerns regarding anesthesia.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02;42(1):11-6. 

  6. Jeong GS, Yoon HS. The effect of anesthetic information on pre-operative anxiety, glucose, cortisol and epinephrine of patients undergoing tonsillectom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7;9(2):143-52. 

  7. Choi JC, Park SG, Kim SY, Yoon YS, Lee KH, Lee YB. et al. Oral Alprazolam attenuates preoperative stress responses to regional anesthesia.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07;52:132-7. 

  8. Kim YO, Kim JH. Effects of types of music in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vital signs of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operation using spinal anesthesia.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13(2):149-55. 

  9. Jeong GS, Kim MH.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glucose levels of patients undergoing surgery during spinal anesthes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5;22(1):25-34. http://dx.doi.org/10.7739/jkafn.2015.22.1.25 

  10. Stefan K, Julian F, Ulrich S, Katrin B, Maximilian H, Martin W, et al. Effects of Music listening on cortisol level and propofol consumption during spinal anesthesia. Frontiers in Psychology. 2011;2:1644-78. http://dx.doi.org/10.3389/fpsyg.2011.00058 

  11. Kim AS, Human vegetable for hair transplant. Judgment on reparation 700 million won. The Chosunilbo. 2015 July 10;Sect. 14. http://srchdb1.chosun.com/pdf/i_service/pdf_ReadBody.jsp ?Y2015&M07&D10&ID2015071000137 

  12. Andrew PA, Paul JK, John FC, Timothy GD, Gerard C.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markers of stress in humans: Focus on the Trier Social Stress Test.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2013;38:94-124. http://dx.doi.org/10.1016/j.neubiorev.2013.11.005 

  13. Andres-Garcia DS, Moya-Albiol L, Gonzalez-Bono E. Salivary cortisol and globulin A: responses to stress as predictors of health reported by care givers of offspring with acoustic spectrum disorder. Hormones and Behavior. 2012;62(4):464-74. http://dx.doi.org/10.1016/j.yhbeh.2012.08.003 

  14. Kain ZN, Sevarino F, Pincus S, Alexandre GM, Wang SM, Ayoub C, et al. Attenuation of the preoperative stress response with midazolam: effects on postoperative outcomes. Anesthesiology. 2000;93(1):141-8. 

  15. Hilliard RE. Music therapy in hospital and palliative care: a review of the empirical data.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05;2(2):173-8. 

  16. Nilsson U.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in stress response to cardiac surger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Heart & Lung. 2009;38(3):201-7. http://dx.doi.org/10.1016/j.hrtlng.2008.07.008 

  17. Moon YH, Kang IS, Whang SK. The effect of listening to music on anxiety, sedation, and vital signs of patients undergoing spinal anesthesia.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9;11(2):105-13. 

  18. Jeong HC.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us of wome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preference of music.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8;20(2):321-30. 

  19. Canidagli S, Cengiz M, Yanik M, Breeik C, Unal, B. The effect of music on peoperative sedation and the bispesctral index. Anesthesia and Analgesia. 2005;101(1):103-6. 

  20. Nilsson U, Unosson M, Rawal N. Stress reduction and analgesia in patients exposed to calming music postoperatively: a randomized control trial. European Journal of Anaesthesiology. 2005;22(2):96-102. 

  21. Bae JH. The Effects of Music Listening on the pre-anesthetic patient anxiety in the operation room. Chungbuk Medical Journal. 2000;1(10):76-82. 

  22. Trappe HJ. The effects of music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and cardiovascular health. Heart. 2010;96(23):1868-71. http://dx.doi.org/10.1136/hrt.2010.209858 

  23. Lee HR. Effects of relaxing music on stress response of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6):693-704. 

  24. Lee JM, Hong HS.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vital signs of spinal anesthesia operative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8;10(2):113-20 

  25. Oh SH, Kim IH, Choi SR, Chung CJ. Causes of patient dissatisfaction with anesthetic care.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05;48(4):387-92. 

  26. Leardi S, Pietroletti R, Abgeloni G, Necozion S, Ranalleta G, Del Gusto B. Randomized clinical trial examining the effect of music therapy in stress response to day surgery.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7;94(8):943-7. 

  27.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 2007;39(2):175-91. 

  28. Cline ME, Herman J, Shaw ER, Morton RD. Standardization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Nursing Research. 1992;41(6):379-80. 

  29. Luebbehusen M. Technological today: bispectral index monitoring. RN. 2005;68(9):50-4. 

  30. Kim KS, Bae HB, Choi JC, Kim SJ, Chung SS, Yoo KY, et al. Correlations between the modified observer's assessment of alertness/sedation scale, bispectral index and propofol effect site concentration in sedated elderly patients under regional anesthesia.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05;49(3):349-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