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항 수하물 처리시스템의 균형적인 흐름제어 기법 연구
A Fair Flow Control For Baggage Handling System in Airport 원문보기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41 no.10, 2016년, pp.1317 - 1327  

김준범 (Korea Aerospace University School of Air Transport,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  김국화 (Korea Aerospace University School of Air Transport,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  채준재 (Korea Aerospace University School of Air Transport,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HS는 공항 내 가장 복잡한 시스템중 하나이며, 높은 시스템 확장비용을 고려했을 때 효율적인 운영 시스템이 요구된다. 비효율적인 BHS 운영 시스템은 병목현상을 발생시켜 시스템 능력을 하락시키는 동시에 체크인시설의 뷸균형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BHS 합류부의 병목현상을 제어함으로써 BHS와 체크인 구역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데이터 네트워크에 사용하는 흐름제어 개념을 차용하여 새로운 로직을 제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컨베이어의 병목현상이 고객 대기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ggage handling system (BHS) is one of the most complex system in the airport. A highly economical operating system is required to ensure its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its enormous cost on the extension. Furthermore, the inefficient operation deteriorates not only the system performance 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HS는 무엇인가? BHS는 공항 내 최첨단 운영 시스템 중 하나이다.[7,8] BHS는 수하물 처리 운영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해 개발된 설비로써, 주요 업무는 수하물을 체크인 시설로부터 랜드 사이드의 출발 게이트까지 이송하는 것이다.[9] BHS는 MHS (Material Handling System, 자동 물류 운용 시스템)의 일종으로 컨베이어 시스템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공항 내 시설은 어떻게 구분 되는가? 공항 내 시설은 Fig.1에서처럼 크게 공항 이용객에 초점을 맞춘 ‘랜드 사이드 (land-side)’와 항공기 이·착륙에 관련된 ‘에어 사이드 (air-side)'로 구분할 수 있다. 공항은 이용객 편의와 원활한 항공사 업무를 위해 적절한 규모와 능력을 갖춘 시설을 보유함으로써 국제 항공기구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으며, 대형항공사들의 허브공항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체크인 지역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관련 평가항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곳 중 하나로는 체크인 지역 (check-in area)이 있다. 해당 지역은 체크인카운터와 BHS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국 여객에게 탑승수속과 수하물 탁송 서비스를 제공한다.[1,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 L. Lee and S. A. LA, "Airport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model," J. Avaiation Management Soc. Korea, vol. 13, no. 5, pp. 95-118, Oct. 2015. 

  2. IATA, New level of service concept(2014), Retrieved Jul, 30, 2016, from https://www.iata.org 

  3. J. H. Lee and M. S. Kim, "A study on the service factors that effect the airline customer satisfaction ground process factors, in-human factors, in flight entertainment factors," J. Tourism Sci., vol. 35, no. 6, pp. 343-358, Aug. 2011. 

  4. Y. S. Chang and H. S. Lee, "Study of RFID enabled air baggage handling process," IE Interfaces, vol. 20, no. 3, pp. 298-308, Sept. 2007. 

  5. K. S. Lee, M. S. Jie, and W. H. Choi, "Self bag drop simulation development of systems for airport baggage handling system," J. Advanced Navig. Technol., vol. 20, no. 2, pp. 107-115, Apr. 2016. 

  6. D. Bertsekas and R. Gallager, Data network, 2nd Ed., Prentice Hall, 1992. 

  7. Y. Zeinaly, B. Schutter, and H. Hellendoorn, "An integrated model predictive scheme for baggage handling systems : routing, line balancing and empty cart management," IEEE Trans. Control Syst. Technol., vol. 23, no. 4, pp. 1536-1545, Jul. 2015. 

  8. A. Tarau, B. Schutter, and H. Hellendoorn, "Model-based control for route choice in automated baggage handling systems," IEEE Trans. Syst., Man, and Cybermetics, Part C (Applications and Reviews), vol. 40, no. 3, pp. 341-351, May 2010. 

  9. A. Abdelghany, K. Abdelghany, and R. Narasimhan, "Scheduling baggage- handling facilities in congested airports," J. Air Transport Management, vol. 12, no. 2, pp. 76-81, Mar. 2006. 

  10. G. Kim, J. Kim, and J. Chae, "Balancing the baggage handling performance of a check-in area shared by multiple airlines," J. Air Transport Management, vol. 58, pp. 31-49, Jan. 2017. 

  11. K. S. Lee, D. H. Cho, and B. C. Chung,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and receiver fairness in wireless network," J. KICS, vol. 40, no. 5, pp. 826-832, Jun. 2015. 

  12. K. M. Cho, J. M. Lee, C. H. Yun, Y. K. Lim, and C. G. Kang, "Optimization of resource allocation for inter-channel load balancing with frequency reuse in ASO-TDMA-based VHF-Band Multi-Hop data communication system," J. KICS, vol. 40, no. 7, pp. 1457-1467, Aug. 2015. 

  13. J. S. Park, "Load-aware cell selection method for efficient use of network resources," J. KICS, vol. 40, no. 12, pp. 2443-2449, Jan. 2016. 

  14. B. Doshi and H. Heffes, "Performance of an in-call buffer-window reservation /allocation scheme for long file transfers," IEEE J. Sel. Areas in Commun., vol. 9, no. 7, pp. 1013-1023, Sept. 1991. 

  15. IATA, Airport Development Reference Manual, 9th Ed., IATA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