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교육의 변화나 교육과정의 변화는 시대적 필요와 지식의 변화로 인한 필요에 근거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필요 모두를 내재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총론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의 분석을 통해 2007, 2009 개정 시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정보과 교육과정의 위상 변화, 그리고 정보 과목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총론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되었다. 첫째, 이수단위에 대한 명확성, 둘째, 진로선택과목의 타당한 구성, 셋째,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강조되는 SW교육의 관점을 고려하고,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고등학교 정보과에 대해 어떤 편성과 운영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Changes in education or curriculum are based on the needs of the times and needs to address changes in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regarding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by analyzing changes made in th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in which both needs are inherent. The study involved an analysis of the general guidelines to the national curriculum that involved the revision years 2007 and 2009, the composi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hange in the status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and the size of the informatics subj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veral improvements are necessary, namely (1) the units need to be better clarified, (2) career electives need to be more appropriately composed, and (3) definitions of terms need to be better clarifi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considered the viewpoint of software education emphasized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the general guidelines to the national curriculum were examined to learn what kind of organization and operation should be proposed for high school informatic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세계 각국이 초·중등 교육 전반에서 정보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면서 우선적으로 고등학교에서의 정보 교육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고등학교 정보 과목의 관점에서 교육과정 총론 문서 내용 및 기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은 학교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대한 구성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시수로, 고등학교는 단위로 구성하였다. 본 논의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단위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및 해석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과목명을 ‘정보’로 설정하고, 변화하는 사회에 대한 대처 능력 강화를 제시한 ‘정보’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문서체제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진로선택과목의 타당성이다. 총론의 ‘4.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국가교육과정에서 문서의 형식 | 국가교육과정에서 문서의 형식는 어떤 요소인가? |
교육과정 기준 자체의 성격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국가교육과정에서 문서의 형식은 교육과정 기준 자체의 성격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교육과정 개선이 교육과정에 어떤 내용을 넣을 것인가에 집중한다면, 총론의 개선은 교육과정 문서의 형식과 항목 등에 대한 내용에 집중한다[3][4].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인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인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을 설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
첫째,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의무교육 기간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 둘째, 산업 사회로부터 후기 산업 사회로 넘어가면서 단순 노동·기능직보다는 고등 정신력과 판단력을 요하는 직종이 우선시 되고 있고, 국민 모두에게 공통이 되는 기본 교육에 충실해져야 한다는 요구 때문이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인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1997~2007) 시기에 처음 도입되어, 명칭과 성격을 그대로 적용하였다[16][18].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의 설정 이유는 첫째,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의무교육 기간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 둘째, 산업 사회로부터 후기 산업 사회로 넘어가면서 단순 노동·기능직보다는 고등 정신력과 판단력을 요하는 직종이 우선시 되고 있고, 국민 모두에게 공통이 되는 기본 교육에 충실해져야 한다는 요구 때문이다. |
교육과정 총론 | 교육과정 총론이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과 안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되는가? |
문서를 구성할 때, 교육과정 요소 및 활동에 대한 타당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교육과정 총론이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과 안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문서를 구성할 때, 교육과정 요소 및 활동에 대한 타당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5]. 즉, 사회를 살아가는 참된 인간상을 표방하기 위해, 사회의 구성원을 양성하는 측면에서 교육의 방향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측면을 갖추어야 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