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공 식품의 영양성분표시 이용과 주관적, 객관적 비만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Food Label Use with Objective and Subjective Obesity among a Korean Populatio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7 no.3, 2016년, pp.262 - 271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고운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Using food labels has been related to healthy eating habits and positive health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evalence of food labels utilization and the association between food label use and obesity related factors. Methods: We conducted a self-reported popul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양성분표시 이용 빈도와 영양성분표시 이용에 따른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건강 행태 및 건강상태, 영양소 섭취를 비교하고, 비만을 객관적 비만과 주관적 비만으로 구분하여 영양성분표시 이용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대표적 만성 질환 중 하나인 비만과 영양성분표시를 이용하는 것의 관련성을 찾아 향후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영양교육, 만성질환 관리 등에서의 영양성분표시제도의 활용과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영양성분표시의 이용자의 특성과 영양성분표시 이용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주요 만성질환인 비만 관리를 위한 영양 교육 기획 시 일차적 자료로 활용 가능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기존에 만성 질환관리를 위해 비만을 포함 한 만성 질환자와 고위험 군에게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영양 교육이 주요 관심사였다면 이들을 대상으로 영양 교육을 실시할 때는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행위의 목표와 동기를 부여해야 효율적일 것이라는 것을 제언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를 모집단으로 하는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영양성분표시 이용 정도, 영양성분표시를 이용하는 사람의 특성, 영양성분표시의 이용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하고, 영양성분표시 이용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단면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가공 식품을 구매할 때 영양성분표시를 이용하는 비율이 21.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양성분표시 이용 빈도와 영양성분표시 이용에 따른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건강 행태 및 건강상태, 영양소 섭취를 비교하고, 비만을 객관적 비만과 주관적 비만으로 구분하여 영양성분표시 이용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대표적 만성 질환 중 하나인 비만과 영양성분표시를 이용하는 것의 관련성을 찾아 향후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영양교육, 만성질환 관리 등에서의 영양성분표시제도의 활용과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성분표시 제도의 목표는 무엇인가? 건강한 식품의 선택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영양 교육의 패러다임 역시 스스로 올바른 식품을 선택 할 수 있도록 영양 정보 제공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되었다[9]. 영양성분표시 제도는 가공 식품에 포함된 주요 영양소 종류와 함량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일차적으로 소비자의 건강하고 합리적 식품 선택을 유도하고 나아가 건강한 식품의 선택 여부가 소비자의 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건강 증진의 목표로 실시하고 있다[10] 미국의 영양성분표시 제도는 1990년 영양표시 교육법(Nutrition Labeling and Act, NLFA)의 실시를 시작점으로 볼 수 있으며, 이외 캐나다, 영국, 호주, 뉴질랜드, 일본, 유럽 연합 등도 식품에 영양성분표시를 의무화 하고 있다[11]. 한국의 영양성분표시 제도는 1994년에 처음 도입되었고 식품 위생법 제 6조에 의거 가공 식품이 포함하고 있는 영양소와 함량을 제품의 포장에 표시하는 것이다[11].
왜 영양 정보 제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가? 건강한 식품의 선택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영양 교육의 패러다임 역시 스스로 올바른 식품을 선택 할 수 있도록 영양 정보 제공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되었다[9]. 영양성분표시 제도는 가공 식품에 포함된 주요 영양소 종류와 함량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일차적으로 소비자의 건강하고 합리적 식품 선택을 유도하고 나아가 건강한 식품의 선택 여부가 소비자의 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건강 증진의 목표로 실시하고 있다[10] 미국의 영양성분표시 제도는 1990년 영양표시 교육법(Nutrition Labeling and Act, NLFA)의 실시를 시작점으로 볼 수 있으며, 이외 캐나다, 영국, 호주, 뉴질랜드, 일본, 유럽 연합 등도 식품에 영양성분표시를 의무화 하고 있다[11].
비만 예방 교육에 영양성분표시를 사용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근거로 사용할 수 있는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무엇인가? 영양성분표시 이용과 비만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에 영양성분표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성, 연령, 소득 수준, 교육 수준 및 식이 치료 여부를 보정한 모델의 결과, 객관적 체중과 상관없이 비만하다고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1.13배 (95% CI 1.01~1.27), 객관적으로 정상 체중이나 주관적으로 비만하다고 인식하는 경우 1.23배(95% CI 1.03~1.47), 체중 조절을 시도하는 경우 1.67배(95% CI 1.48~1.88) 높게 영양성분표시를 이용하였다. 주관적으로 저체중이라고 인식하거나, 객관적으로 비만이나 주관적으로 정상 체중 이라고 인식하는 경우 영양성분표시를 이용하지 않았다. 즉, 체중조절과 같이 영양성분표시를 읽어야 하는 목적이 있는 경우 이용률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26]. 따라서 향후 비만 예방 교육으로 영양 교육 시 영양성분표시를 인식하도록 하는 단순 영양 교육이 아니라 이용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o S. Effect of public nutrition and dietary life to development of out eating. Korean Journal of Nutrition. 1986;19(2):120-128. 

  2.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rategy on die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2004 [cited 2016 June 27]. Available from:http://www.who.int/dietphysicalactivity/background/en/ 

  3.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profile: South Korea [Internet]. Seattle: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2010 [cited 2016 June 27]. Available from: http://www.healthdata.org/south-korea. 

  4. Kim HR. Nutrition transition and shifting diet linked non-communicable diseases and policy issue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3;198(4):27-37. 

  5. Lopez EP, Rice C, Weddle DO, Rahill GJ. The relationship among cardiovascular risk factors, diet patterns, alcohol consumption, and ethnicity among women aged 50 years and older.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8;108(2):248-256. http://dx.doi.org/10.1016/j.jada.2007.10.043 

  6. Yoo H, Kim Y.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 in metabolic syndrome subject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2008;41(6):510-517.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2: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Research Repor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December. Report No.: 11-1351159-000027-10. 

  8. Kim MS, Kim JS, Yu JO. Factors relating to use of food labels among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2;29(5):1-12. 

  9. Lee JW, Kim DS. Recognition of processed foods may affect the use of food labeling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3;9(3):185-196. 

  10. Drichoutis AC, Lazaridis P, Nayga RM. Nutrition knowledge and consumer use of nutritional food labels. European Review of Agricultural Economics. 2005;32(1):93-118. 

  11. Kang H, Shin EJ, Kim HN, Eom KY, Kwon KI, Kim SY, et al. Food nutrition labeling (processing food, food service business) in Korea. Food Service and Industry. 2011;44(1):21-27. 

  12. Park HK. Nutrition policy for nutrition labeling in Korea. Food Industry and Nutrition. 2009;14(2):9-14. 

  13. Chang SO, Lee OH, Lee KS. Intake of processed foods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5th grade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8;14(2):166-175. 

  14. Kim JH.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s depend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with the food labeling system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09;20(1):51-59. 

  15. Satia JA, Galanko JA, Neuhouser ML. Food nutrition label use is associated with demographic, behavioral,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dietary intake among African Americans in North Carolina.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5;105(3):392-402. http://dx.doi.org/1016/j.jada.2004.12.006 

  16.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nutrition label utilization:Based on 2010-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14;47(3):193-205. http://dx.doi.org/10.4163/jnh.2014.47.3.193 

  17. Chung HK, Kang JH, Lee HY. Usefulness, attitude for using and purchase intention on food labeling of housewives and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1;16(1):86-97. http://dx.doi.org/10.5720/kjcn.2011.16.1.86 

  18. Drichoutis AC, Lazaridis P, Nayga RM, Kapsokefalou M, Chryssochoidis G. A theoretic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 of nutritional label use. The Europ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008;9(3):293-304. http://dx.doi.org/10.1007/s10198-007-0077-y 

  19. Zarkin GA, Dean N, Mauskopf JA, Williams R.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nutrition label chang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3;83(5):717-724. 

  20. Loureiro ML, Yen ST, Nayga RM. The effects of nutritional labels on obesity. Agricultural Economics. 2012;43(3):333-342. http://dx.doi.org/10.1111/j.1574-0862.2012.00586.x 

  21. Jennifer LT, Karena J, Kelly R, Heather S. Nutrition labels decrease energy intake in adults consuming lunch in the laboratory.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11;111(5):52-55. http://dx.doi.org/10.1016/j.jada.2011.03.010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2: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Research Repor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December. Report No.: 11-1351159-000027-10. 

  23. Kim SY, Nayga RM, Capps O. The effect of food label use on nutrient intakes: An endogenous switching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2000;25(1):215-231. 

  24. Kessler H, Wunderlich SM. Relationship between use of food labels and nutrition knowledge of people with diabetes. The Diabetes Educator. 1999;25(4):549-559. 

  25. Kreuter MW, Brennan LK, Scharff DP, Lukwago SN. Do nutrition label readers eat healthier diets? behavioral correlates of adults' use of food label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996;13(4):277-283. 

  26. Bialkova S, Trijp HV. What determines consumer attention to nutrition label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2010;21(8):1042-1051. http://dx.doi.org/10.1016/j.foodqual.2010.07.001 

  27. Lim YS, Park NR, Jeon SB, Jeong SY, Tserendejid Z, Park HR. Analysis of weight control behaviors by body image perception among Korean women in different age groups: Using th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5;20(2):141-150. http://dx.doi.org/10.5720/kjcn.2015.20.2.141 

  28. Chin JH, Chang KJ.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body weight control, health-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y self-perception on body image and obesity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5;34(10):1559-1565. 

  29. Kim OS, Kim KH. Weigh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high school and college fema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0;12(3):396-406. 

  30. Lee HJ, Choi MR, Koo JO. A study of body image, weight control and dietary habits with different BMI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05;10(6):805-8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