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문화재의 원형(原形) 개념과 보존의 관계 - 한국 목조건축문화재 수리 역사의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Concept of 'original form' in architectural herit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conservation - Focusing on the critical analysis on the past practices of timber buildings in Korea -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49 no.1, 2016년, pp.120 - 145  

강현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초록

건축문화재의 원형에 대한 이해는 보존 행위의 출발점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원형에 대한 이해를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의 건축문화재 보존역사에서 특히 목조건축 문화재의 수리공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한국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해 수리가 시작되어 일본에서 수리공사 초기에 정립된 방법론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그 결과 '당초복원'이라고 하는 개념이 해방 이후까지 지속되었다. 한편 일본의 경우 1930년대를 전후하여 현상변경을 신중히 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면서, 수리공사에서의 조사연구가 강조되고 보고서의 발간이 체계화되었다. 한국의 경우에는 해방 이후 이러한 조사연구에 대한 인식부족과 수리보고서의 발간이 일반화되지 못한 채로, '당초복원'의 방식을 유지하여 형태 위주의 보존에 치중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는 '유지보존'이라고 하는 방식의 공사에서도 재료의 교체가 일반화되는 결과를 낳았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한국의 건축문화재 보존에서 수리공사를 통해 형상은 보존되었으나 원상의 보존에 있어서는 의문이 남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적인 보존원칙과 한국적 상황을 고려한 건축문화재의 원형 보존에 대한 논의를 통해 원상의 보존에 대한 기준의 정립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understanding of 'original form' plays an important role as it is the starting point of heritage conservation. This paper delineated several types of understanding on 'original form' over times, and aims at analyzing the way how such concepts has provided a platform of repair works of timber buil...

주제어

참고문헌 (44)

  1. 국립박물관, 1958, 무위사 극락전 수리공사보고서, 문교부 

  2.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한국위원회[ICOMOS-Korea], 2010, 이코모스 헌장 선언문집 

  3. 김왕직.이상해, 2002, 목조 건조물문화재의 보존이론에 관한 연구-일본 건조물문화재의 수리사례를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11(3), 한국건축역사학회 

  4. 도윤수.황보영희.한동수, 2007.10.5, 한국 건축문화재 조사보고서의 성과와 과제 동아시아 목조건축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 변천과정과 성과, 한양대학교 건축대학 동아시아 건축역사연구실 

  5. 먼로 C. 비어슬리, 이성훈.안원현 역, 1987, 미학사, 이론과 실천 

  6. 무진종합건축사사무소, 2004, 강릉 객사문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강릉시청 

  7.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4, 강진 무위사 극락전 수리보고서 

  8.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4, 울진 불영사 응진전 수리보고서 

  9.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2, 봉정사 극락전 수리공사보고서 

  10. 문화재청 수리기술과, 2014.9.24, 문화재수리현장 품질향상 워크숍(자료집) 

  11. 문화재청 보존정책과, 2009, 문화재 현상변경 업무 편람 

  12. 문화재청, 2005,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 

  13. 문화재청 사적과, 2004, 문화재 현상변경 실무 안내집 

  14. 민학회, 1992, 고미술 연구의 초석 林泉 민학회보 제28호 

  15. 박병수.박정환, 2005, 주요 목조문화재의 수종구성, 국립산림과학원 

  16. 박상진, 2004, 역사가 새겨진 나무 이야기, 김영사 

  17. 서울시교육위원회 편, 1966, 서울 남대문 수리보고서 

  18. (주)서홍기술건축사사무소, 2012, 대구 북지장사 대웅전 실측.해체수리보고서, 대구광역시 동구 

  19. 아름터건축사사무소, 2011, 경복궁 광화문 권역 중건보고서, 문화재청 

  20. 오병남, 1996, 미학강의-문제와 방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미학과 

  21. 오세탁, 2005, 문화재보호법원론, 주류성 

  22. 이상해, 1993, 건축역사문화환경(建築歷史文化環境)의 보전(保全)과 복원(復元)의 과제 문화재 제26호 

  23. 이수정, 2012.12,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 진정성 개념의 속성과 변화 고찰 문화재 제45권 제4호(통권 58권) 

  24. 이장열, 2005, 한국 문형문화재 정책-역사와 진로-, 관동출판 

  25. 이희봉, 2014.5, 사례를 통해 본 문화재 엉터리 보수 복원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축역사학회 

  26. 이희봉, 2013.9, 문화재 전문가에 의한 문화재 파괴, 이제 그만 막아야 한다 건축 Vol.57, No.9, 대한건축학회 

  27. 조현정.上野勝久, 2007.10.5, 일본 목조건조물문화재의 실측도면과 수리공사보고서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 목조건축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 변천과정과 성과, 한양대학교 건축대학 동아시아건축역사연구실 

  28. 주남철, 2012, 한국 현존 최고의 목조건축 봉정사 극락전 본형(本形)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8권(통권 287호), 대한건축학회 

  29. 체사레 브란디, 최병하 편역, 2013, 문화유산의 수복이론, 기문당 

  30. 최종덕, 2014, 숭례문 세우기, 돌베개 

  31. 한보만, 2011, 숭례문 연대 측정결과에 대한 건축사적 해석 숭례문 목부재 연륜연대 분석 및 기증목재 기초조사 연구보고서, 문화재청 

  32. 한스 율겐 한젠 외, 전봉희 역, 1995, 서양목조건축, 도서출판 발언 

  33. 奈良 文化財硏究所, 2006, 木造建造物の保存修復のあり方と手法(提言) 

  34. 奈良 文化財硏究所, 2003, 木造建造物の保存修復のあり方と手法 

  35. 伊藤廷男 等, 1999, 歷史的建造物の保存(新建築學大系 50), 彰國社 

  36. 日本建築學會 編, 2001, 近代日本建築發達史 (復刻板), 文生書院(1972, 丸善株式會社) 

  37. 淸水重敦, 2009.11.28, 일본에 있어서 역사적 건조물 실측도의 역사와 그 배경 건축문화재 실측기법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제1회 건축유산 시민축제 전문가 마당 세미나 자료), 한양대학교 건축대학 

  38. 淸水重敦, 2004, 日本にをける建築保存槪念の生成に關する硏究, 東京大博論 

  39. Andrew Boyd, 이왕기 역, 1995, 중국의 건축과 도시, 기문당 

  40. Bruce G. Trigger, 성춘택 역, 1997, 고고학사 - 사상과 이론-, 학연문화사 

  41. Glyn Daniel, 김정배 역, 1992, 고고학발달사, 신서원 

  42. Jukka Jokilehto, 최병하 역, 2009,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역사(A History of Architectural Conservation), 기문당 

  43. Meyer Schapiro, Style, ed. Morris Philipson, 1961, Aesthetics Today 

  44. W.타타르키비츠(Wladyslaw Tatarkiewicz), 손효주 역, 1990, 미학의 기본개념사(A History of Six Ideas an Essay in Aesthetics), 미진사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