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의 in vitro 산화방지활성 및 고당(intensive glucose)과 과산화수소($H_2O_2$)로 야기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뇌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와 더불어 알파글루코사이드가수분해효소아세틸콜린에스터가수분해효소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HPLC를 이용하여 주요 물질을 분석하였다.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thylacetate fraction from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EFAD)은 매우 우수한 총 페놀화합물 함량(430.08 mg GAE/g)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511.72 mg RE/g)을 나타냈으며, 높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과 과산화지방질생성물의 억제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당(intensive glucose)과 과산화수소($H_2O_2$)로 야기된 뇌신경세포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및 이로 인한 뇌신경세포 사멸을 측정한 결과,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AD)의 유의적인 뇌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다당류 분해 효소인 알파글루코사이드가수분해효소 억제효과 및 아세틸콜린 분해 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터가수분해효소 억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혈당 상승 억제효과와 뇌신경전달물질의 세포 내 유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AD)의 주요 페놀성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HPLC분석을 한 결과 카페산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들을 고려할 때, 눈개승마는 고혈당 지연 또는 개선을 통한 고혈당 예방 소재로서의 가능성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야기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뇌신경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고혈당에 의한 대사성 뇌신경질환 예방 소재로도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ssess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extract on cytoxicity of a neuronal cell line,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protection against intensive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were quantitated. Compared to the other fractions,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Aru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총 페놀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우수한 눈개승마의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thylacetate fraction from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extract: EFAD)을 이용하여 in vitro 산화방지 효과 및 고당으로 야기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였고, 더불어 장내 당 소화 효소인 알파글루코사이드가수분해효소(α-glucosidase) 작용 억제와 콜린성 시스템에서 뇌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에스터가수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 AChE) 활성억제를 확인하고자 한다.
  • 한편, 아세틸콜린에스터가수분해효소(AChE)는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을 가수분해하여 콜린성 시냅스에서의 신경 전달을 종결을 시키는 효소로 아세틸콜린에스터가수분해효소의 과도한 활성은 뇌신경전달물질 유지에 영향을 주게 되어 신경 전달장애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천연물에서 유래된 아세틸콜린에스터가수분해효소 억제제를 찾는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2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알파글루코사이드가수분해효소와 아세틸콜린에스터가수분해효소 억제효과를 측정함으로써,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AD)의 혈당 상승 억제효과와 인지 저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AD)의 알파글루코사이드가수분해효소 억제활성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Fig.
  • kamtschaticus extract: EFAD)을 이용하여 in vitro 산화방지 효과 및 고당으로 야기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였고, 더불어 장내 당 소화 효소인 알파글루코사이드가수분해효소(α-glucosidase) 작용 억제와 콜린성 시스템에서 뇌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에스터가수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 AChE) 활성억제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AD)의 주요 물질을 동정하여 혈당 상승 억제력과 고혈당으로 발생될 수 있는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AD)의 효과를 통해 눈개승마의 고혈당에 의한 신경질환을 예방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눈개승마의 이명은?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는 한국, 일본 및 중국의 고산 수림지대에 분포하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높은 영양가와 더불어 독특한 향기로 인한 상큼한 맛을 가지고 있어 삼나물이란 이명을 가지며(9), 눈개승마의 산화방지 효과(10), 허혈성 질환으로 인한 세포사멸(11) 대한 효과가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해, 활성산소종으로 야기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눈개승마의 보호효과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눈개승마란?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는 한국, 일본 및 중국의 고산 수림지대에 분포하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높은 영양가와 더불어 독특한 향기로 인한 상큼한 맛을 가지고 있어 삼나물이란 이명을 가지며(9), 눈개승마의 산화방지 효과(10), 허혈성 질환으로 인한 세포사멸(11) 대한 효과가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해, 활성산소종으로 야기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눈개승마의 보호효과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뇌신경세포 보호효과가 퇴행성 뇌신경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거라 판단되는 이유는? 결국, 세포 내의 활성산소종 증가는 각종 주요 생체 분자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을 시작으로 점진적인 세포 사멸이 유도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AD)은 우수한 산화방지력을 통해 고당(intensive glucose)과 과산화수소(H2O2)로 야기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감소시켰고, 이는 점진적인 세포사멸 경로의 진행을 억제시켜 뇌신경세포 생존율을 높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AD)의 뇌신경세포 보호효과는 나아가 고혈당에 의한 퇴행성 뇌신경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rane PK, Walker R, Hubbard RA, Li G, Nathan DM, Zheng H, Haneuse S, Craft S, Montine TJ, Kahn SE, McCormick W, McCurry SM, Bowen JD, Larson EB. Glucose levels and risk of dementia. N. Engl. J. Med. 369: 540-548 (2013) 

  2. De-Felice DFG, Ferreira ST. Inflammation, defective insulin signaling,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as common molecular denominators connecting type 2 diabetes to Alzheimer's disease. Diabetes 63: 2262-2272 (2014) 

  3. Vincent AM, Callaghan BC, Smith AL, Feldman EL. Diabetic neuropathy: Cellular mechanisms as therapeutic targets. Nat. Rev. Neurol. 7: 573-583 (2011) 

  4. Tesfaye S, Selvarajah D. Advances in the epidemiology, pathogenesis and management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Diabetes Metab. Res. Rev. 28: 8-14 (2012) 

  5.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D, Mazur M, Telser J.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7 (2007) 

  6. Maritim AC, Sanders RA, Watkins JB. Diabete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A review. J. Biochem. Mol. Toxicol. 17: 24-38 (2003) 

  7. Levin BE, Dunn-Meynell AA, Routh VH. Brain glucose sensing and body energy homeostasis: role in obesity and diabetes.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76: 1223-1231 (1999) 

  8. Ishige K, Schubert D. Sagara Y. Flavonoids protect neuronal cells from oxidative stress by three distinct mechanisms. Free Radic. Biol. Med. 30: 433-446 (2001) 

  9. Youn JS, Shin SY, Wu Y, Hwang JY, Cho JH, Ha YG, Kin JK, Park MJ, Lee SH. Antioxidant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9: 393-399 (2012) 

  10. Kim MS, Kim KH, Jo JE, Kim JY, Kim JH, Jang SA, Yook HS.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7-55 (2011) 

  11. Lim SH, Lee JW. Methanol extract of goat's-beard (Aruncus dioicus) reduces renal injury by inhibiting apoptosis in a rat model of ischemia-reperfusion. Prev. Nutr. Food Sci. 17: 101-108 (2012) 

  12. Jeong CH, Kwak JH, Kim JH, Choi GN, Choi SG, Shim KH, Heo HJ.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cocoa phenolics. Korean J. Food Preserv. 17: 100-106 (2010) 

  13. Lee JM, Son ES, Oh SS, Han DS.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Korean J. Dietary Cult. 16: 504-514 (2001) 

  14. Chang ST, Wu JH, Wang SY, Kang PL, Yang NS, Shyur LF.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cacia confusa bark and heartwood. J. Agr. Food Chem. 49: 3420-3424 (2001) 

  15. Eruslanov E, Kusmartsev S. Identification of ROS using oxidized DCFDA and flow-cytometry. Adv, Protoc. Oxid. Stress II. 594: 57-72 (2009) 

  16. Lobner D. Comparison of the LDH and MTT assays for quantifying cell death: Validity for neuronal apoptosis?. J. Neurosci. Methods 96: 147-152 (2000) 

  17. Apostolidis E, Kwon YI, Shetty K. Inhibitory potential of herb, fruit, and fungal-enriched cheese against key enzymes linked to type 2 diabetes and hypertension. Innov. Food Sci. Emerg. 8: 46- 54 (2007) 

  18. Jeong HR, Jeong JH, Jo YN, Shin JH, Kang MJ, Sung NJ, Heo HJ. Antioxidant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effect of aged raw garlic extracts. J. Agri. Life Sci. 42: 113-120 (2011) 

  19. Soobrattee MA, Neergheen VS, Luximon-Ramma A, Aruma OI, Bahorun T. Phenolics as potential antioxidant therapeutic agents: Mechanism and actions. Mutat. Res. 579: 200-213 (2005) 

  20. Ak T, Glin I.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of curcumin. Chem. Biol. Interact. 174: 27-37 (2008) 

  21. Millauskas G, Venskutonis PR, Beek TAV.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me medicinal and aromatic plant extracts. Food Chem. 85: 231-237 (2004) 

  22. Butterfield DA, Castegna A, Lauderback CM, Drake J. Evidence that amyloid beta-peptide-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its sequelae in Alzheimer's disease brain contribute to neuronal death. Neurobiol. Aging 23: 655-664 (2002) 

  23. Yu T, Robotham JL, Yoon Y. Increased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hyperglycemic conditions requires dynamic change of mitochondrial morphology. Proc. Natl. Acad. Sci. USA 103: 2653-2658 (2005) 

  24. Piwkowska A, Rogacka D, Audzeyenka I, Jankowski M, Angielski S. High glucose concentration affects the oxidant-antioxidant balance in cultured mouse podocytes. J. Cell. Biochem. 112: 1661-1672 (2011) 

  25. Kumar S, Narwal S, Kumar V, Prakash O.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from plants: A natural approach to treat diabetes. Pharmacogn. Rev. 5: 19-29 (2011) 

  26. Barbosa Filho JM, Medeiros KCP, Diniz MDFF, Batista LM, Athayde-Filho PF, Silva MS, da-Cunha EVL, Silva Almeida JRG, Quintans-Jnior LJ. Natural products inhibitors of the enzyme acetylcholinesterase. Rev. Bras. Farmacogn. 16: 258-285 (2006) 

  27. Vo QH, Nguyen PH, Zhao BT, Thi YUN, Nguyen DH, Kim WI, Seo UM, Woo MH. Bioactive constituents from n-butanolic fraction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Nat. Prod. Sci. 20: 274-280 (2014) 

  28. Oboh G, Agunloye OM, Akinyemi AJ, Ademiluyi AO, Adefegha SA. Comparative study on the inhibitory effect of caffeic and chlorogenic acids on key enzymes linked to Alzheimer's disease and some pro-oxidant 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s' brain-in vitro. Neurochem. Res. 38: 413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