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배지에 따른 노니열매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 생리활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bioactive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oni fruit juices from different regions of cultiv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7, 2017년, pp.1000 - 1006  

김자민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조용준 (뉴트리바이오텍) ,  한동엽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니의 주요 산지인 사모아, 인도네시아, 중국(하이난), 하와이, 태국, 타히티에서 생산된 노니 열매를 착즙하여 산지별 노니열매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산지별 노니열매 착즙액의 pH는 3.63-3.83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색도는 태국산이 다른 산지 노니열매 착즙액보다 L, a, b 값 모두 유의적으로 낮은 값으로 나타났다. 고형분 함량은 $5.97-6.97^{\circ}Brix$ 범위로 하와이산이 $6.97^{\circ}Brix$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인도네시아산이 $5.97^{\circ}Brix$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태국산이 가장 많은 스코폴레틴루틴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인도네시아산이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노니열매 착즙액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 활성 중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인도네시아 > 하와이 > 타히티 > 태국 > 사모아 > 중국 순으로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인도네시아 > 하와이 > 타히티 > 사모아 > 중국 > 태국 순으로 나타나 인도네시아산이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태국산이 스코폴레틴과 루틴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반면 인도네시아산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oni fruit juices from six different regions of cultivation: Samoa, Indonesia, China (Hainan), Hawaii, Thailand and Tahiti. The pH values of noni fruit juices ranged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모아, 인도네시아, 중국 하이난, 하와이, 태국 및 타히티에서 재배한 노니 열매를 착즙한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 생리활성물질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노니의 활용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서는 사모아(Samoa), 인도네시아(Indonesia), 중국 하이난(China), 하와이(Hawaii), 태국(Thailand), 타히티(Tahiti)에서 재배된 노니 열매를 착즙한 노니 착즙액을 ㈜뉴트리바이오텍에서 제공받아 4℃이하에 냉장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본 실험결과의 통계분석은 SPSS(23, Chicago, IL, USA)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시료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one-way ANOVA로 분석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orinda citrifolia L. 이란 무엇인가? Morinda citrifolia L.는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흔히 노니(noni)라고 불리나 지역에 따라 indian mulberry, nonu, nono, ach, mengkudu, nhau, painkiller bush 및 cheese fruit 등으로 다양하게 불려진다. 노니는 폴리네시아인들에게는 2,000년 이상 질병치료를 위한 민간요법제로 사용되었으며 최근 유럽식품안전국에서 novel food로 선정되면서 건강기능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1).
Morinda citrifolia L.의 영양성분과 효능은 무엇인가? 노니는 폴리네시아인들에게는 2,000년 이상 질병치료를 위한 민간요법제로 사용되었으며 최근 유럽식품안전국에서 novel food로 선정되면서 건강기능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1). 노니에는 영양성분을 포함한 약 200여종 이상의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되어있으며, 노니에 함유된 주요 성분 중 스코폴레틴(scopoletin)은 쿠마린(coumarin) 계열 화합물로서, 주름개선 효과, 세로토닌(serotonin) 분비 조절, 혈당강하, 항산화 및 항고혈압 등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2-5). 뿐만 아니라 노니에는 루틴(rutin), 우르솔산(ursolic acid), 프로제로닌(proxeronine), 담나칸탈(damnacanthal) 및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항균, 항바이러스, 항고혈압,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과 관련되어있다(6-10).
최근 유럽식품안전국에서 노니가 건강기능식품으로 각광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는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흔히 노니(noni)라고 불리나 지역에 따라 indian mulberry, nonu, nono, ach, mengkudu, nhau, painkiller bush 및 cheese fruit 등으로 다양하게 불려진다. 노니는 폴리네시아인들에게는 2,000년 이상 질병치료를 위한 민간요법제로 사용되었으며 최근 유럽식품안전국에서 novel food로 선정되면서 건강기능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1). 노니에는 영양성분을 포함한 약 200여종 이상의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되어있으며, 노니에 함유된 주요 성분 중 스코폴레틴(scopoletin)은 쿠마린(coumarin) 계열 화합물로서, 주름개선 효과, 세로토닌(serotonin) 분비 조절, 혈당강하, 항산화 및 항고혈압 등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European Commission-Scientific Committee of Food (2002) Opinion of the Scientific Committee on Food of Tahitian $Noni^{(R)}$ Juice. SCF/CS/DOS/18 ADD 2 Final, Brussels, Belgium, p 1-13 

  2. Lee JN, Kim SW, Yoo YK, Lee GT, Lee KK (2006) Anti-wrinkle effect of Morinda citrifolia (Noni)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2, 227-231 

  3. Levand O, Larson HO (1979) Some chemical constituents of Morinda citrifolia. Planta Med, 36, 186-187 

  4. Lee HH, Yin LJ, Tai HM, Jiang ST (2016) Facilitating the release of bionutrients from Morinda citrifolia (noni) by cellulase hydrolysis and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and their effects on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activities. J Mar Sci Technol, 24, 648-655 

  5. Ikeda R, Wada M, Nishigaki T, Nakashima K (2009) Quantification of coumarin derivatives in Noni (Morinda citrifolia) and their contribution of quenching effect on reactive oxygen species. Food Chem, 113, 1169-1172 

  6. Chan-Blanco Y, Vaillant F, Perez AM, Reynes M, Brillouet JM, Brat P (2006) The noni fruit (Morinda citrifolia L.): A review of agricultural research, nutritional and therapeutic properties. J Food Compos Anal, 19, 645-654 

  7. Ulloa JA, Tapia NTG, Ulloa PR, Ramirez JCR, Rangel BEU (2015) Effect of soaking in noni (Morinda citrifolia) juice on the microbiological and color behavior of Haden minimally processed mango. J Food Sci Tech, 52, 3079-3085 

  8. Deng S, West BJ, Jensen CJ (2010)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phytochemical components in global noni fruits and their commercial products. Food Chem, 122, 267-270 

  9. Pawlus AD, Kinghorn AD (2007) Review of the ethnobotany, chemistry, biological activity and safety of the botanical dietary supplement Morinda citrifolia (noni). J Pharm Pharmacol, 59, 1587-1609 

  10. Wang MY, Su C (2001) Cancer preventive effect of Morinda citrifolia (Noni). Ann N Y Acad Sci. 952, 161-168 

  11. Yoo JS, Hwang JT, Yoo ES, Cheun BS (2004) Study on herbal extract on the Noni (Morinda citriforia). Korea J Biotechnol Bioeng, 19, 110-112 

  12. Bartsch H, Nair J (2000) New DNA-based biomarkers for oxidative stress and cancer chemoprevention studies. Eur J Cancer, 36, 1229-1234 

  13. Deng S, West BJ, Jensen CJ (2010)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phytochemical components in global noni fruits and their commercial products. Food chem, 122, 267-270 

  14. Folin O, Denis W(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5. Blois ML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6. Re R, Pellegrini N, Proteggene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7. Dussossoy E, Brat P, Bony E, Boudard F, Poucheret P, Mertz C, Giaimis J, Michel A (2011) Characterization,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osta Rican noni juice (Morinda citrifolia L.). J Ethnopharmacol, 133, 108-115 

  18. Kim EM (2011) Formul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ni Beverages Mixed with Red Ginseng, Rubus Coreanus and Pomegranate Extracts. Korea J Culinary Res, 17, 259-269 

  19. Burin VM, Falcao LD, Gonzaga LV, Fett R, Rosier JP, Bordignon-Luiz MT (2010) Colour,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juice. Food Sci and Technol. 30, 1027-1032 

  20. Lu Y, Foo LY (2000)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olyphenols from apple pomace. Food chem. 68, 81-85 

  21. Lin YL, Chang YY, Yang DJ, Tzang BS, Chen YC (2013) Beneficial effects of noni (Morinda citrifolia L.) juice on livers of high-fat dietary hamsters. Food chem, 140, 31-38 

  22. Son MJ, Son SJ, Lee SP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rot juice containing Phellinus linteus extract and beet extract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798-804 

  23. Kang MH, Oh MK, Bang JK, Kim DH, Kang CH, Lee BH (2000) Varietal difference of lignan content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in Korean sesame cultivars. Korean J Crop Sci, 45, 203-206 

  24. Chang JP, Doh ES, Kil KJ, Yang JK, Yun CW, Lee GH, Jung YH, Ji YS, Kim BR, Choi MS (2011) Antioxidative activity of A.victorialis var. platyphyllum extracts. J Korean For Soc, 100, 408-416 

  25. Lee SJ, Ahn B. (2009)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wines from different region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62-667 

  26. Fernandez de Simon B, Perez-Ilzarbe J, Hernandez T, Gomez-Cordoves C, Estrella I (1992) Importance of phenolic compound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fruit juices. J Agric Food Chem, 40, 1531-1535 

  27. Wu T, Guan Y, Ye J (2007) Determination of flavonoids and ascorbic acid in grapefruit peel and juice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Food Chem, 100, 1573-1579 

  28. Sun T, Tang J, Powers JR (2005) Effect of pectolytic enzyme preparations on the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paragus juice. J Agric Food Chem, 53, 42-48 

  29. Wang CY, Ng CC, Su H, Tzeng WS, Shyu YT (2009) Probiotic potential of noni juice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Int J Food Sci Nutr, 60, 98-106 

  30. Cho M, Lee HJ, Kang MH, Min H (2017)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prevention of lymphocyte DNA damage by fruit and vegetable juices marketed in Korea. J Nutr Health, 50, 1-9 

  31. Dasgupta N, De B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leafy vegetables of India: A comparative study. Food Chem, 101, 471-4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