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기록원과 권역별 기록관의 역할 재정립
Reestablishing the Role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he Branch Archive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7 no.4, 2017년, pp.155 - 175  

송정숙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과 권역별 기록관의 현단계를 점검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국가기록원에 대한 5개의 연구문제와 권역별 기록관에 대한 3개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국가기록원에 대해서는 1) 국가기록원은 대한민국의 기록관리자인가? 2) 국가기록원은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를 지원하고 있는가? 3) 국가기록원은 모든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를 지도 감독하고 있는가? 4) 국가기록원의 존재 이유는 무엇이며, 비전은 적절한가? 5) 국가기록원은 단순한 행정부처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점검하고, 권역별 기록관에 대해서는 1) 권역별 기록관은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인가? 2) <서울기록관>, <부산기록관>, <대전기록관>이라는 명칭은 적절한가? 3) 권역별 기록관은 단순 문서고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점검함으로써 국가기록원과 권역별 기록관의 역할 재정립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present state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and the branch archives and proposes development programs to reestablish their roles. With regard to the NAK, I discussed five issues, and for the branch archives, I discussed three. The issues on NAK are as follows: 1) 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국가기록원은 대한민국의 기록관리자인가? 현재의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으로서는 행정, 입법, 사법으로 삼권분립 된 대한민국의 모든 국가기관의 기록물을 영구보존, 관리할 수 없는 태생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국가기록원이 지방정부의 기록관리에 소홀한 점은 무엇인가? 국가기록원은 중앙정부의 기록관리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의 기록관리에 대해서도 지도, 감독할 의무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은 지방자치단체의 소관사항이라고 무관심한 것은 국가의 기록관리를 총괄하여야 할 책임에 대한 방기이다.
기록유산 후방 소산(疏散)계획의 목적은 무엇인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국가기록 관리를 위한 독립적인 정부기관으로는 1969년 8월 23일 총무처 소속으로 ‘정부기록보존소'가 설립되어 정부의 영구보존대상 문서, 도면, 카드 등의 집중 보존관리가 시작되었다. 서울에 밀집된 기록유산을 후방에 분산 보존하기 위한 ‘기록유산 후방 소산(疏散)계획’의 일환으로 1984년 11월에 정부기록보존소 부산지소가 개소되었으며, 1998년 7월 22일 정부대전청사로 정부기록보존소 본소를 이전하여 전산장비, 시청각기록물 보존서고를 확보하였다. 정부기록보존소는 행정자치부 조직개편에 따라 총무처에서 행정자치부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국진 (2015. 2. 3.). 서울기록관 vs 서울기록원 '이름전쟁'. 서울신문.(Gang, Gook-Jin (February 3, 2015). The Naming War: Seoul Archives vs. Seoul Archives. Seoul News.) 

  2. 국가기록원 (2009). 국가기록원 40년사. 대전: 국가기록원.(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9). The History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or 40 Years. Daejeo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3. 국가기록원. 검색일자: 2017. 3. 5. http://www.archives.go.kr(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Retrieved March 5, 2017. http://www.archives.go.kr.) 

  4. 김재순 (2003). 정부기록보존소 부산지소 건축설계와 기록물관리체계 분석. 국가기록연구, 16, 45-59.(Kim, Jae-Soon (2003). Analysi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Busan branch of Government Archives of Korea. National Archival Research, 16, 45-59.) 

  5. 서재교 (2009. 9. 1.). '미션과 비전' 재정립해 정체성 혼란 막아야. 한겨레신문.(Seo, Jae-Kyo (September 1, 2009). Redefining Mission and Vision to Prevent Confusion of Identity. The Hankyoreh. Retrieved September 3, 2017, from http://www.hani.co.kr/arti/economy/heri_review/374238.html#csidx38bdd3a1e8b9018a45610e040b53797) 

  6. 설문원 (2017. 2. 16). 국가기록관리기구의 권한과 권위. 그리고 분권화. 국가 기록관리기구 독립성 확보를 위한 토론회 자료집,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실.(Seol, Moon-Won (February 16, 2017). The Authority, Power and Decentralization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Proceedings of Conference for the Securing the Independence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The 8th meeting room of the National Assembly Hall.) 

  7. 송정숙 (1999). 미국문서관의 현황. 서지학연구, 17, 347-372.(Song, Jung-Sook (1999). The Present State of Archives in America.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17, 347-372.) 

  8. 송정숙 (2017. 4. 4). 국가기록원과 부산기록관의 역할 재정립. 부산.영남권 기록관리 학술회의 자료집.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Song, Jung-Sook (April 4, 2017). Reestablishing Role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he Busan Archives. Proceedings of Conference for the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of Busan and Yeongnam Regi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Busan Archives.) 

  9. 송정숙, 정연경. (2008). 전문직으로서의 기록관리직. 한국기록관리학회 (편).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 (pp. 335-379). 서울: 아세아문화사.(Song, Jung-Sook & Jeong, Yeon-Kyoung (2008). Archivist as a Professional. Korean Society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edit.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Seoul: Asian Culture Press.) 

  10. 이승일 (2011). 기록의 역사: 한국의 국가기록관리와 아카이브즈. 서울: 도서출판 혜안.(Lee, Seung il (2011). The History of Archives: Korea's National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eoul: Book Publishing Hyean.) 

  11. 이승일 (2014). 한국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혁과 국가기록원 개편. 기록학연구, 41, 39-73.(Lee, Seung il (2014). Reformation of the Korea's National Archiving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1, 39-73.) 

  12. 임재희 (2016. 5. 23.). '서울 역사를 한 곳에' 서울 기록원, 20일 기공식 현장을 가다. 아주경제.(Im, Jae-Hee (May 23, 2016). The Groundbreaking Ceremony of Seoul Archives. Aju News.) 

  13. 조민지, 이영남 (2017). 민주주의 관점으로 본 국가기록관리체계 평가와 전망. 기록학연구, 53, 5-43.(Jo, Minji & Lee, Young-nam (2017). Evaluation and Overlook on the National Archives System in the Perspective of Democrac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53, 5-43.) 

  14. 지수걸 (200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기록학연구, 21, 247-281.(Ji, Su-gol (2009).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rchiv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1, 247-281.) 

  15. 최재희 (2017. 2. 16.). 국가기록관리기구의 독립성 확보를 위한 제언. 국가 기록관리기구 독립성 확보를 위한 토론회 자료집,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실.(Choi, Jaehee (February 16, 2017). A Proposal for Securing the Independence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Proceedings of Conference for the Securing the Independence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The 8th Meeting room of the National Assembly Hall.) 

  16.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2017). 2017년도 정부산하공공기관 기록물관리 지침. 대전: 국가기록원.(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6). Guidelines on Records Management for Public Agencies. Daejeo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Busan Archives.) 

  17.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2016). 국가기록 주요통계. 대전: 국가기록원.(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6). Major Statistics of National Archives. Daejeo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18.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2016). 부산기록관 발전계획(안). 부산: 국가기록원.(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7). Developmental Plan of Busan Archives. Busa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Busan Archives.) 

  19. Charters of Freedom. Wikipedia. Retrieved October 3, 2017, from https://en.wikipedia.org/wiki/Charters_of_Freedom 

  20.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Retrived March 3, 2017, from http://www.naa.gov.au/about-us/ 

  21. The National Archives at New York City. Retrieved November 3, 2017, from https://www.archives.gov/nyc 

  22. The National Archives. Retrieved March 3, 2017, from www.nationalarchives.gov.uk 

  23.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s://www.archives.gov/about 

  24. "What is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s://www.archives.gov/about 

  25.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26.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