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서역할모델 및 독서유효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Role Model, Reading Effectiveness on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1 no.4, 2017년, pp.139 - 160  

정대근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역할모델(부모, 교사, 친구)과 독서유효성(독서지속의지, 독서몰입, 독서만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국어성적, 내신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국어성적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독서역할모델 중 아버지(1.9%)와 어머니(3.4%)였으며, 독서유효성 요인 중에는 독서지속의지(8%)만 유일하게 영향을 미쳤다. 내신성적의 경우 독서역할모델 요인 중 어머니(3.4%)만 유일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독서유효성은 독서지속의지(10.4%), 독서몰입(4.0%), 독서만족(1.9%) 모든 요인에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독서지속의지를 제외하고는 그 영향력이 미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reading role model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nd reading effectiveness (reading satisfaction, willingness to persistent reading, immersed reading) reflected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Korean Language performanc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독서실태 및 독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독서량에 대한 인식은 64%의 학생이 현재 자신의 독서가 부족하거나 매우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 이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독서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중학생의 독서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독서역할모델 및 독서유효성이 국어성적 및 내신성적에 미치는 영향력을 설문을 통해 조사․분석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이론적 검토를 기반으로 청소년의 독서와 학업성취 사이의 연결고리인 부모와 교사, 친구의 독서역할모델이 청소년의 국어과 학습성취 및 내신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부모의 경우 아버지의 역할과 어머니의 역할의 차이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가정과, 학교에서 학생들의 독서를 장려하고 있지만, 학생들은 정작 자신의 의지대로 책을 읽지 못하고, 학업성적에 혹은 입학사정관제 등의 대학입시를 위한 스펙쌓기, 대학논술 대비의 목적으로 독서를 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중학생들의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독서역할모델과 독서유효성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조사하고 올바른 독서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 청소년의 독서생활 및 학업성취와 관련된 연구는 이미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었으나, 기존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독서와 학업성취 사이에 상반된 연구결과와 이견이 존재함을 확인할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상반된 연구결과를 확인하고, 기존에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독서 유효성의 하위요소인 독서 만족, 독서 몰입, 독서 지속 의지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와 함께 부모, 교사, 친구 등 독서 역할모델이 국어성적과 및 내신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정대근(2014)은 2014년 전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독서 태도, 독서역할모델, 도서관 긍정성 등이 독서 유효성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여 독서 태도 및 독서역할모델, 도서관 긍정성이 독서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범주 중 위 연구에서 제외되었던 중학생을 대상으로 독서실태와 함께 독서 유효성을 조사하고, 더 나아가 독서역할모델 및 독서 유효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까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서만족이란 무엇인가? 독서만족은 자신의 독서활동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긍정적 태도와 감정의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과거의 독서활동을 토대로 미래의 자신의 독서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개인의 심리상태(정대근 2014, 50)라고 정의할 수 있다. 독서지속의지는 “어떤 상태가 오래 지속되거나 어떤 상태를 오랫동안 계속하는 것”을 의미 하는 지속과, 심리학적 개념으로 “선택이나 행위의 결정에 대한 내적이고 개인적인 역량”이라고 할 수 있는 의지의 조합적 개념이라고 할 수있다.
독서유효성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독서와 학업성취 사이의 관계를 설정함에 있어서 정대근(2014, 40)의 연구 에서 정의한 독서유효성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독서유효성이란 “개인의 독서활동을 통해 얻는 내적 평가로 독서활동에 대한 정의적 개념을 개인의 주관적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효과”라고 할 수 있으며, 독서유효성의 구성요소는 독서몰입, 독서만족, 독서지속의지로 구분할수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독서량이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인가? 9권으로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이에 대한 이유로는 학교나 학원 때문에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혹은 책 읽기가 싫고 습관이 되지 않아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독서생활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의 청소년들의 독서실태는 긍정적 이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곽수란. 2004. 가족배경이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16/17: 51-60. (Gwag, Su Ran. 2004. "Family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 Education Research, 16/17: 51-60.) 

  2. 교육과정평가연구원. 2008. 200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국어. 서울: 교육과정평가연구원.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8. 2007 A Study on National Achie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Korean Language.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3. 김경근, 변수용. 2007. 한국사회에서의 학업성취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7(1): 23-51. (Kim, Kyung Keun and Byun, Soo Yong. 2007. "The Impact of Cultural Capital on Student Achievement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7(1): 23-51.) 

  4. 김대희, 엄해영. 2012. 부모의 읽기 태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학생의 읽기 태도와의 상관성 연구. 한국초등교육, 23(4): 39-51. (Kim, Dae Hee and Um, Hae Young. 2012.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onsciousness about Their Parents' Reading Attitude and Students' Own Reading Attitude."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3(4): 39-51.) 

  5. 김병주. 1975. 아동의 독서실태에 관한 분석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Kim, Byong Ju. 1975. An Analytical Study on Reading Status of School Children.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6. 김양분, 김난옥. 2015.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교육학연구, 53(3): 31-60. (Kim, Yang Boon and Kim, Nan Ok. 2015. "Exploration of Student and School Factors Influencing on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3(3): 31-60.) 

  7. 김재철. 2005. 성별과 학습선호도 유형에 따른 독서흥미, 독서량, 인지전략, 학문적 자신감, 읽기소양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19(1): 93-114. (Kim, Jae Chul. 2005.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Interest, Reading Amount, Cognitive Strategy, Academic Confidence and Reading Literacy in Terms of Gender and Learning Styl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1): 93-114.) 

  8. 류보라. 2012. 청소년 독자의 문식성 실행과 정체성 구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Ryu, Bora. 2012. A Study on Adolescent Readers' Literacy Practices and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Ph.D. diss.,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Korea.) 

  9. 문화체육관광부. 2015. 2015년 국민독서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 2015 National Reading Actual Survey.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0. 박은아, 송미영. 2008.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국어과의 읽기 능력과 사회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사회과교육, 47(3): 241-266. (Park, Eun Ah and Song, Mi Young. 2008.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tudies Educational Achievement and reading capability by using NAEA data." Social Studies Education, 47(3): 241-266.) 

  11. 박혜숙. 2008. 시간에 따른 중학생의 독서태도, 독서습관, 독서시간과 국어성취도와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39(3): 27-49. (Park, Hye Sook. 2008. "A Longitudinal Study of the Correlates among Reading Attitudes, Reading Behaviors, Time Spent on Reading, and Korean Reading Achievem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9(3): 27-49.) 

  12. 백병부, 김경근. 2007. 학업성취와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구조적 관계. 교육사회학연구, 17(3): 101-129. (Baek, Byoung-bu and Kim, Kyung-keun. 2007.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apital." Sociology of Education, 17(3): 101-129.) 

  13. 변미경. 2013. 초등학생들의 독서 실태와 독서 지도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전공. (Byeon, Mi Kyeong. 2013. Actual Reading Condition and Perception on Reading Guide of Elementary Students. M.A. thesis, Major in Lifelo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yungnam University, Korea.) 

  14. 소연희. 2008. 독서흥미, 독서활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성이 국어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방법연구, 20(2): 75-90. (So, Yeon Hee. 2008. "The Effects of Reading Interest, Reading Activ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Sociality on Korean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0(2): 75-90.) 

  15. 오승호. 2015. 사회과 대화교육의 한계와 대안에 관한 연구. 법교육연구, 10(2): 29-54. (Oh, Seung Ho. 2015. "A Study on Limits and Alternative of Social Studies Conversation Education." Journal of Low-Related Education, 10(2): 29-54.) 

  16. 유백산, 김경근. 2013. 가정배경, 가정 내 의사소통 방식, 학업성취 간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51(3): 1-33. (Yu, Baeksan and Kim, Kyung-keun. 2013.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Background, Family Communication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1(3): 1-33.) 

  17. 이병기. 2010. 초.중등 학생의 독서 플로우 성향과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51-72. (Lee, Byeong-Ki. 2010. "An Analysis on the Affecting Factors, Reading Disposition of Reading Flow of Elementary and Second Studen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4): 51-72.) 

  18. 이순영. 2006. 독서 동기와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독서연구, 16: 359-381. (Lee, Soon-young. 2006. "A Theoretical Review on the Factors Affecting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Reading." Journal of Reading Research, 16: 359-381.) 

  19. 정대근. 2014. 청소년 독서유효성 영향요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Jeong, Dae Keun. 2014.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Reading Effectiveness. Ph.D. dis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20. 정옥년. 1998. 책 읽기와 사람됨: 독서(讀書)와 청소년(靑少年) 지도(指導). 독서연구, 3: 183-220. (Jeong, Oc Nyoun. 1998. "Reading and Manning: Reading and Youth Guidance." Journal of Reading Research, 3: 183-220.) 

  21. 정옥분. 2008. 청년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Jeong, Oc Bun. 2008. Adolescence: An Introduction. Seoul: Haggisa.) 

  22. 정이화. 2016. 부모와의 대화, 독서, 학습활동이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교육, 55(2): 19-35. (Jung, Yi-hwa. 2016. "The Impact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Reading, Learning Activities on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tudies Education, 55(2): 19-35.) 

  23. 조증열, 이임숙. 2004.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 독서, 학업효능감 및 학업성적간의 인과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17(1): 127-143. (Jo, Jeung Yeol and Lee, Im Sug. 2004. "Causal Relations among Reading Ability, Reading Activ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im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7(1): 127-143.) 

  24. 최숙기. 2010. 중학생의 읽기 능력 발달 양상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Choi, Sook Ki. 2010. A Study on the Asp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Ability Development. Ph.D. diss., Korea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5. 허재영. 2006. 독서 교육 연구사: 학교 독서 교육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15: 207-240. (Heo, Jae-young. 2006. "A History of Research on Reading Education: Focused on School Reading Education." Journal of Reading Research, 15: 207-240.) 

  26. Arroyo, A. et al. 2012.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 and Adult Child Shyness, Social Skills, and Perceived Family Communication." Journal of Family Communication, 12(4): 249-264. 

  27. Baker, L., Dreher, M. J. and Guthrie, J. T. 2000. Engaging Young Reader: Promoting Achievement and Motivation.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8. De Graaf, N. D., De Graff, P. M. and Kraaykamp, G. 2000. "Parental Cultural Capital and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Netherlands: A refinement of the Cultural Capital Perspective." Sociology of Education, 73(2): 92-111. 

  29. Dimaggio, P. 1982.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S High School Studen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2): 189-201. 

  30. Downing, J., Ollila, L. and Oliver, P. 1977. "Concepts of Language in Children from Differing Socio-Economic Background."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0(5): 277-281. 

  31. Gambrell, L. B. 1996. "Creating Classroom Cultures that Foster Reading Motivation." The Reading Teacher, 50(1): 14-25. 

  32. Kush, J. C. and Watkins, M. W. 1996. "Long Term Stability of Children's Attitudes Toward Read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9: 315-320. 

  33. Manning, G. L. and Manning, M. 1984. "What Models of Recreational Reading Make a Difference?" Reading World, 23(4): 375-380. 

  34. McGee, L. M. and Richgels, D. J. 1990. Literacy' Beginnings: Supporting Young Readers and Writers. Massachusetts: Allynd Bacon. 

  35. McKenna, M. C. 1994. Toward a Model of Reading Attitude Acquisition. In Fostering the Love of Reading: The Affective Domain in Reading Education. Edited by Cramer, E. H. and Castle, M. New Jersey: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8-40. 

  36. McKenna, M. C., Kear, D. J. and Ellsworth, R. 1995. "Children Attitude Toward Reading: A National Survey." Reading Research Quarterly, 30(4): 934-956. 

  37. Wheldall, K. and Entwistle, J. 1988. "Back in the USSR: The Effect of Teacher Modeling of Silent Reading on Pupils' Reading Behavior in the Primary School Classroom." Educational Psychology, 8(1-2): 5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