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직 여성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Work-life Balance in Female Service Worker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6 no.4, 2017년, pp.261 - 272  

조미경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이현경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간호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work-life balance in female service worke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an online survey of 234 service workers using volunteer panel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Ju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직 여성 근로자의 회복탄력성, 감성 지능, 직무 스트레스, 피로 정도를 파악하고,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서비스직 여성 근로자의 삶의 질적 향상 및 효과적인 건강 전략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과 삶의 균형이란? 또한,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 정도가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가 선행연구들을 통해 축적되면서, 건강관리자들은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옹호자로서의 역할을 요청받고 있다(Dow-Clarke, 2002).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이란 일과 일 외의 영역, 예를 들어 가족과 자기개발을 위한 시간을 적절히 분배하여 삶을 스스로 조절하는 것을 통해 삶에 대해 만족하는 상태를 의미한다(Kim & Park, 2008). 일과 삶의 균형은 균형을 이해하는 정도에 따라 초기에는 양적균형으로 접근하여 연구되어왔으나, 점차 질적 균형으로 바라보기 시작하면서 개인의 다양한 역할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일과 삶에 서로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고 하였다(Kim, 2014).
일과 삶의 불균형이 가져오는 건강적상의 부정적인 결과는? 하지만, 일과 삶의 불균형은 일과 관련된 영역(직무만족도, 직무몰입, 직무 수행도 등)과 일 이외의 영역(건강, 삶의 만족도, 가족 수행도 등)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Shobitha & Sudarsan, 2014). 특히, 건강 관련하여 일과 삶의 불균형은 근로자의 근골격계 증상이나(Kim & Cho, 2017) 소진 경험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Umene-Nakano et al., 2013) 건강 수준을 낮게 지각하는 결과를 보였다(Lunau, Bambra, Eikemo, Van der Wel, & Dragano, 2014). 이는 건강관리자들이 근로자의 건강결정인자를 이해할 때 일과 삶의 균형 유지를 저해하는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서비스직 종사자에게 생기는 감정적 문제는? 현대 사회의 산업 구조가 변화되면서 경제활동을 하는 많은 비율의 여성들이 서비스직에 종사하고 있다. 서비스직 종사자는 자신이 느끼는 감정에 관계없이 고객의 요구에 응대하는 과정에서 감정부조화나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 불안, 소진 등의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ong & Kim, 2012). 일과 삶의 균형과 관련된 국내연구를 살펴보면 간호사의 여가 만족도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Kim, 2017), 여성 건축자의 조직 몰입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Kim, 2014)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서비스직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파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mbra, C., Whitehead, M., Sowden, A., Akers, J., & Petticrew, M. (2008). "A hard day's night?" The effects of compressed working week interventions on the health and work-life balance of shift worker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2(9), 764-777. https://doi.org/10.1136/jech.2007.067249 

  2. Bohle, P., Quinlan, M., Kennedy, D., & Williamson, A. (2004). Working hours, work-life conflict and health in precarious and "permanent" employment. Rev Saude Publica, 38, 19-25. http://dx.doi.org/10.1590/S0034-89102004000700004 

  3. Chang, S. J., Koh, S. B., Kang, D. M., Kim, S. A., Kang, M. G., Lee, C. G.,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4. Chen, Y., Peng, Y., & Fang, P. (2016).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83(2), 91-107. https://doi.org/10.1177/0091415016648705 

  5. Choi, H. J., & Seok, E. J. (2013). An analysis of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75, 93-115. 

  6. Dow-Clarke, R. A. (2002). Work-life balance in an industrial setting: Focus on advocac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Journal, 50(2), 67-74. 

  7. Gatrell, C. J., & Cooper, C. L. (2008). Work-life balance: Working for whom? European Journal International Management, 2(1), 71-86. 

  8. Greenhaus, J. H., & Powell, G. N. (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1), 72-92. https://doi.org/10.5465/amr.2006.19379625 

  9. Hong, E. Y., & Kim, S. D. (2012). Health status and affecting factors related to job among Korean women employee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9), 4107-4118. 

  10. Jung, H. W., & Kim, C. H. (2007).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moder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4(3), 167-186. 

  11. Jung, M. S., Kim, H. L., & Lee, Y. J. (2017). Factors influencing work-life balance in Korean registered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6(2), 114-123. http://dx.doi.org/10.5807/kjohn.2017.26.2.114 

  12. Kim, C. W., & Park, C. Y.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work-life balance' scale. Journal of Leisure Studies, 5(3), 53-69. 

  13. Kim, H. O., & Seo, S. S. (2016). The influence of job-related stress and resilience on work-life balance in male employees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9(4), 1-22. 

  14. Kim, J. H. (2011). Resilience. Goyang: Wisdomhouse. 

  15. Kim, M. H. (2014). The influence of women architects' work-life bala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6. Kim, S. J., Oh, Y. A., & Lee, M. S. (2015).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level of female emotional labor workers based on occupational categories. The Journal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11(3), 231-245. 

  17. Kim, S. K. (2017). Nurse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leisure and work-life balance, and the 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8. Kim, Y. M., & Cho, S. I. (2017). Work-life imbalance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South Korean work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4(11), 1331. https://doi.org/10.3390/ijerph14111331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The adult health questionnaire. Retrieved May 8, 2017,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0. Lunau, T., Bambra, C., Eikemo, T. A., Van der Wel, K. A., & Dragano, N. (2014). A balancing act? Work-life balance, health and well-being in European welfare states.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4(3), 422-427. https://doi.org/10.1093/eurpub/cku010 

  21. Ng, L. P., Chen, I. C., Ng, H. F., Lin, B. Y., & Kuar, L. S. (2017). Influence of job demands and job control on work-life balance among Taiwanese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5(6), 438-448. https://doi.org/10.1111/jonm.12482 

  22. Park, H. J., & Lee, E. A. (2004). Work-family experiences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of married women.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20(2), 141-178. 

  23. Reivich, K., & Shatte,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7keys to finding your inner strength and overcoming life's hurdles. New York: Broadway Books. 

  24. Schwartz, J. E., Jandorf, L., & Krupp, L. B. (1993). The measurement of fatigue: A new instrumen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37(7), 753-762. https://doi.org/10.1016/0022-3999(93) 90104-N 

  25. Shobitha, P., & Sudarsan, N. (2014). Work life balance: A conceptual review. International Jornal of Advances in Management and Economics, 3(2), 1-17. Retrieved November 23, 2017, from http://www.managementjournal.info/view_archive.php?archiveid15 

  26. Shylaja, P., & Prasad, C. J. (2017). Emotional intelligence and work life balance.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19(5), 18-21. https://doi.org/10.9790/487x-1905051821 

  27.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and Medicine. (2000). Standardization of health statistics data collection and measurement. Seoul: Gyechuk Munwhasa. 

  28. Umene-Nakano, W., Kato, T. A., Kikuchi, S., Tateno, M., Fujisawa, D., Hoshuyama, T., et al. (2013). Nationwide survey of work environment, work-life balance and burnout among psychiatrists in Japan. PLoS One, 8(2), e5518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55189 

  29. Wong, C-S.,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 243-274.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Mental health in the workplace. Retrieved October 13, 2017, from http://www.who.int/mental_health/in_the_workplace/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