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소비 채소작물인 시금치와 당근의 토양 중 엔도설판 흡수이행능
Plant uptake potential of endosulfan from soil by carrot and spinach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0 no.4, 2017년, pp.339 - 342  

최근형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정동규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 plus),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임성진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노진호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류송희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박병준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문병철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김진효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 plus),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dosulfan은 스톡홀름협약을 통해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로 지정되어 생산 및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여전히 국내 농업환경에서 검출되고 있고, 이로 인한 작물잔류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경작지 잔류 endosulfan으로부터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작물흡수이행능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지금까지 보고된 endosulfan의 생물농축계수(BCF)를 조사하였고, 당근과 시금치의 BCF를 시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문헌조사결과 endosulfan의 BCF는 0.002-4.460으로 작물별, 재배지역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실험을 통해 검증한 당근과 시금치의 BCF는 0.285와 0.040-0.047로 각각 나타났다. Endosulfan 중 작물에 주로 잔류하는 이성체는 endosulfan sulfate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idual endosulfan in an agricultural environment has been reported, although endosulfan was listed to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and banned. To produce the safe crop from endosulfan residue risk, the plant uptake potential of endosulfan from soil to crop should be studied. In here, the plant 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는 endosulfan에 대한 작물 별 흡수이행능을 분석함으로써 안전농산물 재배를 위한 농경지 안전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물에 대한 endosulfan의 흡수이행에 관한 연구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다소비 채소작물인 시금치와 당근에 대한 잔류이행성을 비교 분석하여 환경 잔류 POPs 물질이 작물 잔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ndosulfan이 잔류성유기오염물질로 지정된 이유는? 과거 유기염소계 살충제로 흔히 사용되던 endosulfan은 높은 생물농축성과 독성, 그리고 장거리 이동성으로 인해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로 규정되어 국제적으로 생산 및 사용이 금지되었다(Choi 등, 2017).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endosulfan에 대한 농약등록이 취소되었고, 2015년 환경부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목록에 등록되어 환경 잔류 endosulfan에 대한 관리가 한층 강화되었다(Ahn 등, 2017).
시금치의 잔류성유기오염물질 흡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4%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당근은 베타카로틴이 함유된 대표적인 근채류로서 국내 생산량 상위 품목으로 국내 생산면적 2,230 ha, 생산량 73,061 M/T (2016 기준)을 나타내었다(NAQS 2017). 잔류농약 부적합률은 평균 수준인 3.5%를 나타내었으나, 2018년 이후 전격적으로 시행될 Positive-List-System (PLS) 제도에 따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농약에 대한 안전 관리 강화와 함께 재배 환경 잔류 오염물질인 POPs에 대한 작물 잔류 연구도 필요하다. 특히, PLS제도 시행에 따라 endosulfan에 대한 작물 잔류허용기준은 모든 작물에서 최저 기준인 0.
국내 endosulfan의 관리법의 변화는? 과거 유기염소계 살충제로 흔히 사용되던 endosulfan은 높은 생물농축성과 독성, 그리고 장거리 이동성으로 인해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로 규정되어 국제적으로 생산 및 사용이 금지되었다(Choi 등, 2017).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endosulfan에 대한 농약등록이 취소되었고, 2015년 환경부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목록에 등록되어 환경 잔류 endosulfan에 대한 관리가 한층 강화되었다(Ahn 등, 2017). 하지만, 등록 취소 전까지 endosulfan의 생산 및 출하량이 연간 100 M/T 수준이었고, 농약등록 취소 이후에도 endosulfan에 대한 국내 농산물 중 잔류 보고와 가축 중독, 축산물 중 잔류 보고가 계속되고 있다(Lee 등, 2013; Hwang 등,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n JH, Park I, Kim WG, Han BH, You J (2017) Effect of an organochlorine insecticide, endosulfan on soil bacteria community as evaluated by 16S rRNA gene analysis. Korean J Pestic Sci 21: 1-8 

  2. Choi CM, Yook DH, Hong CK, Kim TR, Hwang YS, Hwang IS, Kim JH, Kim MS, Chae YZ (2011)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land from the Southern area of Seoul. Korean J Pestic Sci 15: 160-165 

  3. Choi GH, Lee DY, Jeong DK, Kuppusamy S, Lee YB, Park BJ, Kim JH (2017)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nd perfluorooctanesulfonic acid (PFOS) concentrations in the South Korean agricultural environment: A national survey. J Integr Agric 16: 1841-1851 

  4. Esteve-Turrillas FA, Scott WC, Pastor A, Dean JR (2005) Uptake and bioavailability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by plants grown in contaminated soil. J Environ Monit 7: 1093-1098 

  5. Hwang JI, Lee SE, Kim JE (2015) Plant uptake and distribution of endosulfan and its sulfate metabolite persisted in soil. PLoS ONE 10: e0141728 

  6. Hwang JI, Kwak SY, Lee SH, Kang MS, Ryu JS, Kang JG, Jung HH, Hong SH, Kim JE (2016) Establishment of safe management guideline based on uptake pattern of pesticide residue from soil by radish. Korean J Environ Agric 35: 278-285 

  7. KOSIS (2017) Crop production survey. In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s Korea. Website available: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T0028&vw_cdMT_ZTITLE&list_idF1H&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Accessed 8 Aug 2017 

  8. Lee BR, Lee HK, Lee KH, Yoon SS, Kim M, Park JW, Jeong SH, Lee MH, Bae YC (2013) Devastating endosulfan poisoning in Korean native cattle. Korean J Vet Res 53: 269-271 

  9. Lim SJ, Oh YT, Ro JH, Yang JY, Choi GH, Ryu SH, Moon BC, Park BJ (2016a) Investigation of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green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greenhouse soil and its leaves. Korean J Pestic Sci 20: 221-227 

  10. Lim SJ, Oh YT, Jo YS, Ro JH, Choi GH, Yang JY, Park BJ (2016b)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residues in greenhouse soil and strawberry organochlorine pesticides. Korean J Environ Agric 35: 6-14 

  11. Manirakiza P, Akinbamijo O, Covaci A, Pitonzo R, Schepens P (2003) Assessment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West African city farms: Banjul and Dakar case study. Arch Environ Contam Toxicol 44: 171-179 

  12. Mitton FM, Gonzalez M, Monserrat JM, Miglioranza KSB (2016) Potential use of edible crops in the phytoremediation of endosulfan residues in soil. Chemosphere 148: 300-306 

  13. NAQS (2017) 2017 Annual report of national residue survey.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Website available: http://www.safeq.go.kr/news/news/news.do. Accessed 8 Aug 2017 

  14. Park HJ, Choi JH, Park BJ, Kim CS, Ilm YB, Ryu GH (2004) Uptake of endosulfan and procymidone from arable soil by several vegetables I (green house study). Korean J Pestic Sci 8: 280-2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